• 제목/요약/키워드: 자궁 크기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9초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시 자궁의 크기와 위치 변화 (Positional Change of the Uterus during Definitive Radiotherapy for Cervix Cancer)

  • 박원;허승재;이정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35-142
    • /
    • 2003
  • 목적: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과 치료 중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삼차원입체조형치료나 강도변조방사선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궁의 크기 및 위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7부터 2000년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중간에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한 47명의 환자를 대상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골반조사와 강내조사가 시행되었는데 전골반조사는 골반 전체에 통상적 4문 조사법으로 매일 1.8 Gy씩, 주 5회 실시하며 총선량 50.4$\~$55.8 Gy (30.6$\~$45 Gy 이후에 골반중심부차폐) 조사하였고, 강내조사는 A점에 4 Gy씩, 매주 2회 시행하여 총선량 24 Gy까지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은 방사선치료 시작 전과 치료 시작 후 3$\~$4주경 강내조사와 골반중심차폐를 하기 전에 실시되었다.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중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의 T2 강조 시상면 영상과 축면 영상에서 자궁의 변화를 알기 위하여 자궁경관 크기, 자궁 크기, 자궁체부 크기, 자궁경관 굴곡각, 자궁체부 굴곡각, 과 자궁체부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궁경관 크기는 치료 전에 평균 36.7 mm에서 치료 후 27.8 mm로 감소하였고, 자궁체부 크기는 평균 2.5 mm 감소하였으며, 자궁크기 차이는 평균 6.4 mm였다. 자궁경부에서 자궁저부까지의 거리 차이는 평균 15.2 mm였으며, 이 중 6예에선 30 mm 이상 크기가 줄었는데 이 경우에 종양의 크기가 모두 4 cm 이상이었다. 자궁경관 굴곡각은 평균 13.2$^{\circ}$, 자궁체부 굴곡각은 평균 16.9$^{\circ}$ 자궁체부 회전각은 평균 13.1$^{\circ}$ 차이가 있었다. 회전이나 굴곡 중 어느 하나라도 30$^{\circ}$이상 변화된 경우가 전체 환자 중 9예(19.1$\%$)가 있었다. 연령과 자궁경관 굴곡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구한 연관이 있었고, 종양 크기에 따라 자궁경관 크기, 자궁 크기, 자궁체부 크기와 자궁경관 굴곡각은 모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인 경우에 자궁경관의 크기, 자궁 크기와 자궁체부의 크기 변화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궁경부로부터 자궁저부까지 거리 차이는 종양 크기가 4 cm 미만인 경우는 5.3 mm였으나 4 cm 이상일 때는 19.4 mm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자궁경관 굴곡각은 60세 미만인 경우 60세 이상보다 8$^{\circ}$ 정도 더 변화가 있었고,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일 때 미만일 때보다 2배 이상 굴곡 변화가 있었다. 결론: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치료에 따른 자궁 크기 및 위치 변화가 다양하고 개별적으로 예측하기 쉽지 않으므로, 특히, 60세 미만이거나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인 경우, 삼차원입체조형치료나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를 이용한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치료 중 개별환자의 계획용표적체적의 변화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및 이들 길항물질(拮抗物質)이 흰쥐의 자궁근(子宮筋) 운동성(運動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and Their Antagonists on the Uterine Motility in the Rat)

  • 유규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2
    • /
    • 1988
  • 평골근(平滑筋)으로 된 자궁근(子宮筋)은 자동성(自動性)을 가지고 있어서 신경지배(神徑支配)와 관계(關係)없이 근자체(筋自體)로 운동(運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궁근(子宮筋)의 형태적(形態的) 및 기능적(機能的) 정상상태유지(正常狀態維持)에는 estrogen의 작용(作用)이 불가결(不可缺)한 요소(要素)로 되어 있으며 이 estrogen의 작용(作用)에 의하여 histamine의 자궁근(子宮筋)에 대한 (작용)作用이 수용체(受容體)의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를 알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는 histamine과 5-hydroxytryptamine 및 이들 길항물질(拮抗物質)들의 자궁근(子宮筋) 운동성(運動性)에 대한 수축(收縮) 및 이완작용(弛緩作用)을 조사(調査)하였다. 자궁근(子宮筋)의 운동성(運動性)은 physiograph를 통(通)해 자궁수축(子宮收縮)의 빈도(頻度)와 크기를 기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5-hydroxytryptamine에 대한 phenoxybenzamine의 억제작용(抑制作用)은 phenoxybenzamine의 길항성(拮抗性)의 결과(結果)이다. 2. histamine은 $H_1$-receptor를 통해서 흰쥐의 자궁평활근(子宮平滑筋)의 운동성(運動性)은 증가(增加)한다. 3. 반면 histamine은 $H_2$-receptor를 통해서는 자궁평활근(子宮平滑筋)의 운동성(運動性)을 이완(弛緩)시켰다. 4. 흰쥐의 자궁근(子官筋)에서 $H_2$-receptor 차단제(遮斷劑)가 $H_1$-receptor 차단제(遮斷劑)의 작용(作用)보다 더욱 강하였다.

  • PDF

자궁근종과 생식력 (Fertility Issues in Patients with Myoma)

  • 김소라;채희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191-198
    • /
    • 2010
  • 자궁근종은 환자마다 다양한 조성, 크기, 위치, 개수를 가지는 양성 종양으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식력에 영향을 준다. 자궁근종이 생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자궁근종의 위치와 크기는 향후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장막하근종은 임신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자궁내강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점막하근종과 근층내근종은 임신율을 감소시키며 자연 유산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보조생식술을 시행하기 전에는 먼저 제거하는 치료가 충분히 상의되어야 한다. 자궁내강을 변형시키지 않은 근층내근종이 있는 환자도 임신율의 저하를 보였지만, 확실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근층내근종의 치료로 근종절제술이 생식력을 향상시킨다는 증거는 아직 불충분하므로 환자의 상태와 의사의 경험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말티즈 암캐에 있어 Gartner´s Duct 낭종례 (Gartner´s Duct Cyst in a Maltese Bitch)

  • 정원일;이차수;박상준;정규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2-184
    • /
    • 2001
  • 2001년 4월 19일에 11살 된 말티즈 암캐의 비정상적 자궁에 대한 검사의뢰가 들어왔다. 육안적 검사에서 얇은 막으로 된 다양한 자궁 낭종이 관찰되었다. 그 수는 5개이며 그중 2개는 자궁체의 장막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7∼8 mm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었다. 나머지 3개는 직경 1∼2 mm 정도의 크기이며 자궁각의 장막면에 위치하고 있었고, 절개시 모든 낭종들은 장액성 액체들로 가득 차 있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는 모든 낭종들이 자궁의 장막하에 존재하고 있었다. 낭종의 상피세포들과 이들의 위치는 모두 Gartner's duct와 동일한 것들이었고, 따라서 Gartner's duct cyst로 진단하게 되었다.

  • PDF

흰쥐 자궁에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와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s of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and Its Receptor Gene in the Rat Uterus)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21-2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흰쥐 자궁에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과 그 수용체 유전자들이 발현되는가와 각각 어떠한 유형의 transcript들이 발현되는가를 조사하였고, 이를 위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을 시행하였다. 시상하부와 정소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함이 알려진 PACAP common exon 부위에 해당되는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자궁을 포함한 모든 조직에서 에상대로 297 bp의 band가 확인되었다.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PACAP mRNA에 정소 특이적인 exon 1이 포함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정소 특이적인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정소에서만 예상대로 586 bp의 band가 검출되었고 자궁을 포함한 다른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흰쥐의 PACAP 수용체 PCR에서는 자궁에서 923 bp와 839 bp크기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알려진 PACAP type I수용체의 splicing variant 들 가운데 hip-hop (923bp)과 hip- 또는 nop-type (839bp)의 예상 크기와 일치하였다. 인위적으로 성적인 성숙을 유도한 PMSG 주사모델하에서 자궁내 PACAP transcript 수준은 주사 24 시간 후 실험군에서 증가하여 생식주기상 proestus 시기에 해당되는 주사 48 시간까지 증가하였다가 72 시간후에는 control 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는 자궁의 PACAP 유전자발현이 생리적으로 조절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흰쥐의 자궁에서 PACAP과 그 수용체 isoform들의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 자궁 자체에서 발현되는 PACAP이 autocrine 또는 paracrine하게 자궁의 생리 및 기능 조절을 담당함을 시사한다.

  • PDF

마커 정보와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자궁 경부진 암종세포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Carcinoma Cell of Uterine Cervical Using Marker Inform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 이동균;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368
    • /
    • 2009
  •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전암(前癌) 단계가 존재하므로 조기에 발견할 경우 생존율이 높다. 그러나 검체 적정성의 부족과 검체 체취의 오류로 인해 질병이 있음에도 음성으로 나타나는 위음성률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포 도말검사에서 사용되는 자궁 경부진 세포에서 암종 세포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배경 그리고 핵과 세포질 영역의 구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조기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핵의 추출은 Lighting Compensation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명암도 분포가 가장 작은 B 채널과 명암도 분포가 높은 R채널과의 OR 연산을 적용한 후, $3{\times}3$마스크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을 이진화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종 세포의 후보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 객체에서 핵의 크기, 핵의 면적과 핵의 외곽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백혈구와 잡음으로 구성된 객체를 제거한다. 세포 도말검사 과정에서 겹쳐진 부분은 거리 함수와 명암도를 이용하여 마커를 추출하고 추출된 마커 정보와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겹쳐진 암종 세포를 분리한다. 자궁경부 편평 세포진 400 배율 영상과 자궁 경부 상피내 종양 400 배율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자궁 경부진 암종 세포 추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암종 세포 영역이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자궁의 악성혼합뮬러리안 종양의 자기공명영상: 자궁내막암과의 비교 (MR Imaging of Uterine Malignant Mixed M$\ddot{u}$llerian Tumor: Comparison with Endometrial Carcinoma)

  • 조재호;김진우;장재천;박복환;김정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96-301
    • /
    • 1999
  • 자궁의 MMMT와 자궁내막암을 감별진단할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궁적출술에 의해 병리적으로 확인된 5례의 MMMT와 14례의 자궁내막암을 대상으로 종괴의 크기, 자궁근층 및 자궁경부의 침범 유무, 종괴의 성장 양상, 신호강도와 조영증강의 정도 및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종괴의 장경은 MMMT가 1.5-9cm(평균, 5.7cm)이었고, 자궁내막암은 0.5-6.0cm(평균, 2.5cm)이었다. MMMT 5례 중 3례에서 자궁경부의 침범이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자궁강과 자궁경부의 내강을 확장시키면서 외자궁구로 성장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자궁내막암은 14례 중 1례에서만 자궁경부 침범이 확인되었다. 자궁근층 침범의 유무, T1- 및 T2-강조영상에서의 신호강도와 균일성, 조영증강의 정도와 양상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MMT와 자궁내막암을 감별할 수 있는 특이한 소견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종괴가 5cm 이상으로 크고, 자궁경부 내강을 확장시키면서, 자궁경부를 침범하는 경우에는 MMMT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자궁경부암: 개정된 2018 FIGO 병기와 자기공명영상을 중심으로 (Uterine Cervical Cancer: Emphasis on Revised FIGO Staging 2018 and MRI)

  • 장원;송지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083-1102
    • /
    • 2021
  • 자궁경부암(uterine cervical cancer)은 발생 빈도가 높은 부인암 중 하나로서 병변의 조기발견과 정확한 병기설정 및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영상 검사는 병기설정 및 치료계획과 추적 관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자기공명영상은 높은 연부 조직의 대조도를 통해 병변의 크기와 침범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2018년 국제 산부인과 학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이하 FIGO)에서 병기설정이 개정되었으며, 원발종양의 크기를 세분화하고 림프절 전이를 포함하게 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이전 연구 및 최근 개정된 FIGO 병기를 바탕으로 한 자궁경부암의 병기설정과 여러 가지 치료 후 영상에 대해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자궁경부암 근접방사선치료 시 2차원, 3차원 치료계획 비교평가 (Comparison of 2D and 3D Brachytherapy Planning for Cervical Cancer)

  • 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303-30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의 치료를 위한 전산화단층촬영(computer tomography)영상을 이용한 3차원 근접치료계획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1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2차원 근접치료계획을 시행하였고, 동일 자세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3차원 근접치료계획 프로그램(ECLIPSE treatment planning system v6.5, Varian Medical System, USA)를 이용하였으며, 고위험임상표적체적(High risk CTV, HR CTV)에 5 Gy를 처방하였다. 3차원 근접치료계획의 제한은 적어도 고위험임상표적체적의 90%에 처방선량인 5 Gy가 조사되도록, 방광의 $2cm^3$에 7.5 Gy 미만으로 들어가도록 그리고 직장의 $2cm^3$에 5 Gy 미만이 들어가도록 하였다. 계획의 평가는 선량체적표(dose-volume histograms; DVHs)를 이용하여 육안적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for brachytherapy; $GTV_B$), 고위험임상표적체적, 직장과 방광에 조사되는 선량을 구하였다. 크기가 큰 종양이나 자궁의 위치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Point A에 처방한 2차원 근접치료계획을 하였을 경우에는 고위험임상표적체적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3차원 근접치료계획은 이러한 환자들에서 직장이나 방광의 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고위험임상표적체적을 잘 포함할 수 있었다. 2차원 근접치료계획에서 높은 선량부터 $2cm^3$에 들어가는 직장선량은 10명 중 1명에서, $2cm^3$에 들어가는 방광선량은 6명에서 5 Gy를 넘었으므로 ICRU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Units) 방광선량이 직장선량에 비해 과소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 이용한 3차원 근접치료계획은 종양과 위험장기에 대한 선량평가가 가능하므로, 직장과 방광의 부작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크기가 큰 종양이나 자궁의 위치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위치 설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