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갈함량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Influence of Gravel Content and Nitrogen Application on Nitrogen Leaching by the Leachate and Chinese Cabbage Growth in Highland (자갈함량과 질소시비량이 고랭지 배추재배시 침투수에 의한 질소용탈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 Park, Chol-Soo;Lee, Gye-Jun;Jung, Yeong-Sang;Joo, Jin-Ho;Hwang, Seon-Wo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4 no.1
    • /
    • pp.1-5
    • /
    • 2005
  • Continuous monocropping of Chinese cabbage in Gangwon highland increased gravel and sand contents due to surface soil erosion. Nutrient leaching and Chinese cabbage growth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treatments of gravel contents and nitrogen application levels by using $0.5m^2$ Wagner pots. Gravel contents were 0, 10, 30, 50, 70, and 90%(w/w), nitrogen application levels were 60, 120, and 240 kg/ha, and manure compost application rate was 15 ton per hectare, respectively. Wagner pots were filled with loamy sand soil mixed with 5 cm-sized gravels. Fresh weight of Chinese cabbage was decreased as gravel contents in soil increased, and particularly severely decreased at 240 kg-N/ha. Yields of Chinese cabbage were remarkably decreased at the rate of 60 kg-N/ha with 30% gravel content and 120 kg-N/ha with 50% gravel content. Most of Chinese cabbages were severely wilted by heavy N application at the rate of 240 kg-N/ha in the middle of growth stages regardless of gravel contents, while about 50% of Chinese cabbage showed wilting symptom in the treatment of more than 50% of gravel contents and 120 kg-N/ha. N content in leachate increased as gravel content and N application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vel content and N contents showed linear regression: N in leachate = 0.014(gravel content) -0.039 (r = 0.961). Particularly, $NH_4-N$ contents in leachates with more than 30% gravel content and 240 kg-N/ha ranged from $139{\sim}339mg/L$. Chinese cabbage growth in loamy sand soil containing 30%, and 50% gravel contents could be adversely affected by N application at the rate of 240, and 120 kg-N/ha, respectively.

Mobility of pesticides in different soil textures and gravel contents under soil column (토양 column을 이용한 토성 및 자갈함량별 농약 이동특성)

  • Lee, Sang-Min;Kim, Seong-Soo;Park, Dong-Sik;Hur, J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9 no.4
    • /
    • pp.330-337
    • /
    • 2005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pesticide mobility in three different soil textures(Heongseong sandy loam; Chuncheon, loam; Taeback, silty clay loam) and four different gravel contents(0, 20, 40, 60%) of Taebaek soil using soil column. Carbofuran, which ranks the highest water solubility among 7 pesticides(carbendazim, carbofuran, chlorpyrifos, cypermethrin, dimethomorph, diniconazole and endosulfan) was defected over 87% in leachate samples within all soil types from early sampling time. Amount of 5 residual pesticides excluding carbendazim and carbofuran were ordered silty clay loam > loam > sandy loam, indicating pesticide residues are related to percentage of clay contents in soils. Comparing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s in soil column(upper, middle and lower layer), 6 pesticides apart from carbofuran were found in the range of $50{\sim}92%$ on the upper layer of silty clay loam and loam. Mobility of pesticides either in soil or leachate samples is dependant on water solubility of pesticide and clay content of soil. The results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gravel contents of Tacback soil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ree different soil textures. Also it was found that more the gravel contents, faster the flow velocity of leachate water. These results possibly provide an idea to select proper pesticides and to reduce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at alpine and sloped-land.

Effects of Bulk Density, Volumetric Water and Gravel Contents on Hardness in Prepared Sandy Loam (충전(充塡) 사양토(砂壤土)에서 용적밀도(容積密度), 용적수분(容積水分) 및 자갈함량(含量)이 경도(硬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o, Jae-Hyun;Kim, Kwang-Rai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1
    • /
    • pp.46-50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in soil physical properties to control the soil hardness in tamped condition. Sandy loam soil was taken and fill it up to wood cubes and then differently trampling experimental cubic lots which were mulche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leaves, wood plates and bricks.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2" core and samples were taken at 250 sites with soil hardness.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il hardness and bulk density, and between bulk density and water conte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oil hardness and water content, and between soil hardness and gravel cont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creased by multiple correlation between soil hardness, bulk density, volumetric water and gravel content. Bulk density was the main factor to control the hardness, and volumetric water and gravel contents were less effected to soil hardness.

  • PDF

A Study on Soil Particle Size in Mountains of Seoul Vicinity for Forest Restoration (생태 복원을 위한 서울근교의 삼림 토양 입자 크기에 관한 연구)

  • Kim, Jae 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6
    • /
    • pp.1-8
    • /
    • 2002
  • 서울근교에 존재하는 소나무림은 낙엽활엽수림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므로 서울근교의 산림에 대한 조사는 자연 식생형 산림 특히 소나무 복원에 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근교에 존재하는 8개 산의 15개 지소를 선정하여 그곳에 존재하는 식생형을 파악하고,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산림 복원 시 고려할 토양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개 산에서 선정된 15개 조사지소는 소나무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으로 나누어 물리적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의 평균 중요치는 소나무군락에서 137이었으며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에서는 8이었다. 평균 바위분포 면적-토양 깊이-경사는 소나무군락에서 26-22-31,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에서 7-53-32, 낙엽활엽수군락에서 14%-34cm-$28^{\circ}$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의 임상 및 토양에 존재하는 총 유기물량은 각각 2490, 1757, and $2107g/m^2$로 조사되었다. L층에서의 유기물량은 모든 군락 유형에서 비슷하였으나, F층과 H층에서는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 F층은 소나무군락에서 가장 발달하였고 H층은 낙엽활엽수군락에서 가장 발달하였다. 통계처리 결과는 바위분포 면적, 고도, 경사, 사면은 군락의 유형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토양의 깊이, 자갈의 함량, 세사와 미사의 함량은 군락의 유형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소나무군락의 토양이 자갈과 세사의 높은 함량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H층의 발달이 미약하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2-10mm의 자갈이 40% 이상되는 장소에는 분해가 덜된 유기물과 소나무를 사용할 때 복원의 성공가능성이 높으며, 자갈의 함량이 30% 이하이며 모래의 함량이 50% 이상인 장소에는 분해된 유기물의 함량을 높이고 낙엽활엽수를 이용하는 것이 복원성공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Analysis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ault Materials using Laboratory Tests (실내시험을 통한 단층물질의 물리·역학적 특성 분석)

  • Moon, Seong-Woo;Yun, Hyun-Seok;Seo, Yong-Seok;Chae, Byung-G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1
    • /
    • pp.91-101
    • /
    • 2017
  • Fault materials has various properties depending on their areas, rock types, and components because they are formed by heterogeneous and complicated mechanisms.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ault materials, 109 fault materials distributed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to conduct various laboratory tests with them and analyze thei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unit weight, specific gravity, porosity, gravel content, silt/clay content, clay mineral content, friction angle, and cohesion) according to areas, rock types, and components. As for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rock type, gneiss shows the highest medians in the unit weight ($17.1kN/m^3$) and specific gravity (2.73), granite does so in the porosity (45.5%), schist does so in the gravel content (20.0 wt.%) and cohesion (38.1 kPa), and phyllite does so in the silt/clay content (54.4 wt.%), clay mineral content (30.1 wt.%), and friction angle ($38.2^{\circ}$). With regard to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component, fault gouge was shown to have lower values than cataclasite and damage zones in all factors other than porosity and silt/clay contents.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s by Infiltration and Permeability in Soil Originated from Lime Stone (석회암 유래 토양의 침투 및 투수속도 평가에 따른 수문유형 분류)

  • Hur, Seung-Oh;Jung, Kang-Ho;Sonn, Yeon-Kyu;Park, Chan-Won;Ha, Sang-Keon;Kim, J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97-1204
    • /
    • 2008
  • 강원도 남부(영월)와 충북 제천, 단양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은 점토 및 철분함량이 많은 식질계 토양이며 pH와 염기포화도(Base Saturation)가 높은 붉은색 토양이다. 이 토양은 식양질과 식질 등의 세립(細粒)질로만 구성이 되어 있고 자갈이 있는 토양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토양의 침투 및 투수속도가 우리나라 토양의 주 모재인 화강암이나 화강편마암 유래 토양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세립질 특성을 보이는 석회암 유래 토양의 지표면에서의 침투속도와 토양층위별 투수속도를 측정해 복잡하게 세분되어 있는 토양의 종류를 수문학적인 목적에 따라 단순화하기 위해 만든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이용된 토양은 과림, 모산, 장성, 마지, 안미, 평안통의 6개 토양이었고 장력 침투계(Disc tension infiltrometer)와 투수속도 측정계(Guelph permeameter)로 침투 및 투수속도를 측정했다. 현장측정 이후 추정식의 개발을 위해 토양층위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조건에서 입도분포, 유기물함량을 측정했다. 토양통별 침투 및 투수속도를 측정한 결과는 유기물 층이 존재하는 과림통은 공극이 많고 토층 내에 나무 및 식물뿌리가 존재해 전체적으로 침투 및 투수속도가 빠른 특성을 보여 수문유형을 A로 분류되었다. 모산통은 토층 내에 자갈함량이 아주 높고 투수속도가 다른 토양에 비해 월등히 빠른 특성을 나타냈으나 50cm이내에서 암반층이 존재하는 관계로 수문유형이 C로 분류되었다. 토층이 깊지 않은 장성통은 토층 내에 나무 및 식물뿌리가 많고 암석노출지가 존재해 침투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C 수문유형으로 분류됐다. 자갈이나 잔돌이 많은 마지통은 잔자갈이 존재하고 침투나 투수속도가 빠른 편으로 A유형이었다. 논으로 사용되는 안미통은 다른 석회암 유래토양에 비해 토층이 깊은 편이며 석회암 충적층에서 유래된 토양으로 선상지 및 곡간지에 분포한다. 관개된 상태에서 로타리 작업에 의해 표토의 특성이 교란되는 논으로 이용되는 특성 때문에 침투 및 투수속도는 느려 C유형으로 분류됐다. 잔돌이 존재하는 평안통은 석회암 붕적, 퇴적층으로부터 유래된 토양으로 산록경사지 및 선상단구에 분포하며 표토층인 A층에서 중입상구조를 보이며 공극이 많고 작물뿌리가 매우 많아 침투속도는 빠르나 B층에서는 점토 함량이 감소했다 증가하면서 토성이 급격히 바뀌는 특성을 나타내 투수속도는 느린 값을 보였으나 수분학적 토양유형은 B유형으로 분류됐다.

  • PDF

경주시 양남 제4기 역질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내 앨로패인(allophane) 교결층의 기원

  • 정기영;배진한;정창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15-115
    • /
    • 2001
  • 경주시 양남면의 4기 단층으로 추정되는 수렴단층에 의해 절단되는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에서 저결정질 광물인 앨로패인 교결층을 기재하였다. 이들은 자갈퇴적층 내에 협재하는 수조의 모래층에 한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3-17 cm 두께로 연장성이 매우 좋다. 편광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모래층에는 사장석편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앨로패인은 광학적 등방성의 치밀한 점토집합체들로서 사장석 입자를 선택적으로 교대하거나 자갈과 모래입자들을 피복하고 있다. 앨로패인은 광학적 이방성인 상하위층의 고령토질 점토피복물과 명확히 구분된다. 앨로패인의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Al/Si 원자비가 1.3-1.7 범위이고 평균값은 1.5이다. X선회절분석 결과 3.49$\AA$과 2.26$\AA$에서 두 개의 넓은 회절대가 관찰된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관찰에 의하면 앨로패인을 특정한 입자형태 없이 치밀한 겔상태를 이루고 있다. 열분석에 의하면 96$^{\circ}C$에서 큰 흡열피크와 992$^{\circ}C$에서 발열피크가 관찰되며, 총 45% 정도의 중량감소를 보인다. 사장석의 평균조성은 An$_{87}$이며, 사장석내 유리포유물의 전자현미분석결과는 화산암 화학분류도에서 현무암 영역에 도시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현무암질 라필리응회암이나 사장석편을 제외하고 벤토나이트화되어 있다. 따라서 해빈환경에서 사장석이 벤토나이트에서 분리되어 퇴적한 것으로 보인다. 앨로패인 교결층은 해수면 강하로 단구퇴적층이 지표로 노출된 후, Al의 함량이 높고 비교적 풍화에 약한 사장석이 선택적으로 풍화되어 생성되었다. 앨로패인으로 피복된 모래층 내의 자갈은 풍화반응이 지체되어 상하위층의 자갈과 비교하여 풍화도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 PDF

The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Korean Soil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퇴적암 유래토양의 분류 및 해설)

  • Sonn, Yeon-Kyu;Seo, Myung-Chul;Park, Chan-Won;Hyun, Byung-Keun;Zhang, Yong-Se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6
    • /
    • pp.387-392
    • /
    • 2008
  • It is very important to characterize five major properties of topography, drainage class, soil texture, available soil depth, and gravel content for soil survey. We use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for analyzing five major properties for the soils originated from sedimentary rocks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s. We simplified 5 major characteristics on soil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That is, topographic factor was 15 to 9, soil texture was 32 to 6, drainage class was 6 to 5, available depth was 4, and gravel content was 3. For the viewpoint of eigenvector, from dimension 2, 3 to dimension 1, 4, mountain soils and more fine soils dominated. By eigenvalue, there was no tendency, but in details, was some tendency between small groups. Like this, closely observe exceptional distribution of soils, we need improved intra-group homogeneity based on weight control of soil factor, addition and subtraction of soil factors. Also, we carefully analyzed soil characteristics involved intra-group, then we need reconsideration of past classification units.

A Vertical and Spatial Study of Sediment Deposits Developing Along Yeongsan River (영산강유력(榮山江流域) 퇴적층(堆積層)의 수직적.공간적(垂直的.空間的) 발달(發達) 연구(硏究))

  • Eun, Ge-Yeo-Na;You, Hoan-Su;Kim, Dong-J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18 no.6
    • /
    • pp.540-552
    • /
    • 1997
  • For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study of sediment deposits along Yeongsan river, total 13 core samples were taken from Yeongsan river. The thickness of sediment deposits is 22.0m at YS 1, 20.0m YS 2, 18.5m YS 3, 12.0m YS 4, 3.0m YS 5, 5.5m YS 7, 3.0m YS 8, 5.9m YS 9, 5.0m YS 10 on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The thickness of deposit is increasing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composition of sediments dominates sandy gravel on the upstream and the lower part on the downstream, and mud deposits of $11m{\sim}16m$ thick on the upper part of on the downstream(YS 1, YS 2, and YS 3). Contents of organic carbon and calcium carbonates occur being contrary to each other toward upstream. The content of organic carbon increases upstream, that of calcium carbonates decreases. According to size analysis of sediment, the content of gravel increases and mud decreases from downstream to upstream. Sediment deposit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whether gravel is or not. But this boundary is clear in the downstream(YS 1$\sim$YS 4) but is vague in the upstream.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provided engineering,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with geological background as the essential basis.

  • PDF

Improvement of Dry-blasting Efficiency for Ballast used as Aggregate of Paved Track (포장궤도 골재용 도상자갈의 건식 블라스팅 효율 향상 연구)

  • Lee, Il-W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1
    • /
    • pp.78-83
    • /
    • 2010
  • On the paved track, the ballast is used as aggregate for the filling layer using the pre-packed concrete techniqu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of aggregate is adhesive strength with mortar. To satisfy this condition, surface of aggregate should be cleaned by water or others. In a paved-track method to be introduced domestically, an environment-friendly dry-washing technology which will replace the water-wash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A dry-washing method was designed to blast the crushed weight material with a diameter of 0.3~0.5mm at high pressure to peel the surface of the aggregate. The study was intended to enhance the washing efficiency of dry-blasting technology and to that end, the tests including blasting material, content of fine aggregate depending on time elapsed, content of chloride, LA abrasion rate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conducted to recommend the efficient washing material and th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