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 미백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15% 치아미백제의 potassium nitrate와 fluoride(PF) 함유 여부에 따른 치아색조와 미세경도 변화 (Effect of 15% Carbamide Peroxide Agents with and without Potassium Nitrate and Fluoride(PF) on the Tooth Color and Surface Microhardness of Human Enamel)

  • 우희선;심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53-3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자가 미백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15% carbamide peroxide(CP)에 potassium nitrate와 fluoride(PF)가 함유된 제품과 미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여 색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건전한 소구치 30개를 이용하여 3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고, 각 각 10개씩 3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대조군 (Distilled water), 2군은 15% CP, 3군은 15% CP(3% potassium nitrate and 0.11% fluoride 함유)이다. 치아미백은 14일 동안 하루에 6시간 미백하고 이후 시간은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색 측정은 미백 전과 14일에 측정하였고, 표면미세경도는 미백 전, 7일, 14일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색변화를 본 결과 미백하지 않는 대조군 1군과 미백제가 함유된 2군과 3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고(p<0.05), 2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표면미세경도 변화를 비교해보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을 제외하고 2군과 3군에서는 미백 전 경도 값에 비해서 미백 후 유의하게 경도의 감소를 보였고(p<0.05), 특히 미백 7일째 경도 값의 차이가 미백 후 14일보다 컸다. 미세경도 감소율을 보면 대조군인 1군은 7일과 14일에 각 각 1.7과 0.8로 차이가 거의 없으나 2군은 21.9,와 3.5이고, 3군은 16.7과 1.4로 미백 7일째에서 유의하게 감소했고(p<0.05), PF가 미 함유된 2군의 7일째 미세경도 감소율이 가장 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F는 치아미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으며, 미세경도 변화에서는 PF가 함유된 미백제에서 경도 감소율이 적었다. 따라서 PF가 함유된 치아미백제는 미백효과와 함께 치아법랑질의 경도 감소를 줄일 수 있다.

과일 및 미백치약으로 처리한 치아의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with Fruit and Whitening Toothpaste)

  • 공민지;김세원;김솔지;안현주;채우리;홍승지;남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27-1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치아미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과일들을 이용한 천연 치아미백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20개의 소구치를 4개씩 5 그룹으로 딸기(A), 레몬(B), 바나나 껍질(C), 베이킹소다(D), 미백치약(E)을 법랑질 표면에 칫솔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치아의 표면에 아침, 점심, 저녁 3분씩 동일한 시간에 칫솔을 이용하여 처리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가 보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총 4주 동안 반복하였으며, 1주 간격으로 치아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4주간 치아에 적용한 결과, 3주후부터 치아의 색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 중에서도 딸기와 레몬은 미백치약보다 높은 색의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딸기와 레몬은 미백치약보다 높은 미백효과를 가져다주며 미백치약에 함유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성분을 대신하여 딸기와 레몬을 사용해 보다 안전한 천연미백술로 미백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미백제의 효용성 평가 (A CLINICAL EVALUATION OF EFFICACY OF AN OFFICE BLEACHING GEL CONTAINING 30% HYDROGEN PEROXIDE)

  • 김신영;박재억;김창현;양성은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40-50
    • /
    • 2010
  • 30%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미백제인 레메화이트(Remewhite, Remedent Inc., Deurle, Belgium)를 시험군 피험자 31명, 시험용 미백제에서 과산화수소를 제외한 동일한 제재를 대조약으로 대조군 피험자 31명에게 1일 3회씩, 2차례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미백의 임상적 효용성은 Colorimeter,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전체 색변화량$({\Delta}E^*)$을 측정하였다. 14주 후와 26주 후의 색변화량을 측정하여 군 간 색변화량을 비교하였고, 각 군 내에서의 색변화량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olohmeter를 이용한 평가시에 시험군에서 전체 색변화량$({\Delta}E^*)$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한 평가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2.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 복원 현상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미백 시행 14주 후와 26주 후에도 미백의 효과가 유지된다고 할수 있다. 3. Colohmeter를 이용한 평가시에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한 평가시보다 작은 색변화량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2.9%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부착형 미백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CLINICAL EVALUATION OF A BLEACHING STRIP CONTAINING 2.9% HYDROGEN PEROXIDE)

  • 박은숙;성소래;홍성태;김지은;이소영;황수연;이신재;진보형;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4호
    • /
    • pp.269-281
    • /
    • 2006
  • 2.9%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시험용 부착형 미백제 (Medison dental whitening strip, Samsung medical Co., Anyang, Korea)를 실험군 피험자 23명, 시험용 미백제에서 과산화수소를 제외한 동일한 제재를 대조약으로 대조군 피험자 24명에게 매일 1시간 30분씩, 2주간 적용하여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Shade Vision, Chroma Meter 및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전체 치아의 색변화량 $({\Delta}E^{*})$은 세 가지 측정법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5),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도였다. 2. 색변화는 색좌표 상에서 병도의 증가와 녹색조 및 청색조로의 변화에 의해 얻어졌다. 3. 치아별로는 어두운 견치의 색변화량이 가장 컸고, 측절치, 중절치 순으로 감소하였다. 4. 47명의 피험자 중 5명이 경도의 과민증을 경험하였으나 곧 완화되었고, 치은염증지수와 전기치수검사 결과 시험 전후에 차이가 없어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8.3% Carbamide Peroxide 함유 펜 형 자가미백제인 BlancTis Forte의 색조개선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F SHADE IMPROVEMENT AND SAFETY OF POLYMER-BASED PEN TYPE BlancTis Forte WHITENING AGENT CONTAINING 8.3% CARBAMIDE PEROXIDE)

  • 이진경;민선홍;홍성태;오소람;정신혜;황영혜;유성엽;배광식;백승호;이우철;손원준;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54-161
    • /
    • 2009
  • 8.3%의 carbamide peroxide를 함유한 펜형 코팅용 미백제인 BlancTis Forte (NIBEC, Seoul & JinCheon)를 실험군으로, 3% hydrogen peroxide를 함유한 Whitening Effect Pen (LG, Seoul) 제재를 대조군으로 각각 피험자 20명에게 2시간씩 1일 2회 제조사의 지시대로 치아표면에 4주간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색조개선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미백 전 및 미백 2주, 4주, 및 미백 종료 4주 후에 $Shadepilot^{TM}$을 이용하여 색 변화를 측정하였고. 매 내원시기마다 모든 환자는 치수생활력 검사와 치주 및 치태 검사를 통해 부작용 여부 (치아과민증 및 구강 내 연조직의 부작용)를 기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 및 대조군의 색 변화량 (${\Delta}E$)은 2이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 변화를 보였으며, 두 제품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p > 0.05) 유사한 미백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 미백효과는 명도의 개선보다는 주로 a, b값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특히 실험군에서 b값의 변화, 즉 황색조의 개선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3. 치아나 치은의 과민증이나 이상증상을 호소하는 피험자는 없어 두 제품 모두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 Carbamide Peroxide가 심미수복재의 표면조도와 착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Staining of Esthetic Restoratives)

  • 김수화;최혜숙;노지연;김광만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73
    • /
    • 2013
  • 본 논문은 미백 후 수복재의 종류에 따른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미백제에 의한 표면변화가 수복재의 착색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가미백제로 널리 사용되는 15% carbamide peroxide가 대표적인 심미수복재인 콤포지트 레진(composite resin, CR),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글라스아이오노머(glass ionomer, GI)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백 후의 착색감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커피용액에 일정 시간 보관한 후 수복재의 색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백 전과 미백 후의 색변화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모든 재료에서 ${\Delta}L^*$, ${\Delta}a^*$, ${\Delta}b^*$, ${\Delta}E^*$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Delta}E^*$${\Delta}L^*$값은 RMGI, GI, CR 순으로 색변화가 많이 나타났고(p<0.05), ${\Delta}a^*$값은 GI, RMGI, CR 순으로 미백 후 감소하였으며, ${\Delta}b^*$값은 RMGI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미백 전과 미백 후 표면조도는 CR, RMGI, GI 모두 미백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RMGI가 미백 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p<0.05). 3. 실험군과 대조군을 커피 용액에 착색시킨 후의 ${\Delta}E^*$값은 GI, RMGI, CR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GI와 RMGI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한 실험군의 색 변화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Delta}L^*$값은 GI와 RMGI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하고 착색한 경우 명도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elta}a^*$값보다 ${\Delta}b^*$값의 증가가 훨씬 더 크고 뚜렷하였다. 4. 커피 용액 착색에 따른 시편의 표면 변화는 CR, RMGI, GI 모두 착색 전과 착색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심미수복재의 색안정성은 심미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치아미백 또한 심미를 목적으로 하는 술식이다. 따라서 치과에서는 수복재의 종류에 따라 미백제나 착색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술식을 제공받는 내원자들이 착색을 야기할 수 있는 음식이나 음료에 대해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주름억제,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 (Anti-Melanogenic, Anti-Wrinkl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Xylosma congesta leaf Ethanol Extract)

  • 이재연;안은경;고혜진;조영락;고운철;정용환;최경민;최미래;오좌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65-371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도 해변의 벌판에서 드물게 자라는 산유자(Xylosma congesta) 잎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ulture model 및 in vitro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미백,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 세포독성 없이 효과적으로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melanin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 능력을 procollagen 합성시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TGF-${\beta}$ 만큼은 아니지만 농도별로 각각 120, 122%의 procollagen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murine macrophage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능을 분석함으로써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이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PPH 법, ABTS 법, ORAC 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5.2, 99.1% 증가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 되었고, DPPH와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와 유사하게 $50{\m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573.74{\pm}0.79{\mu}M$ TE/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산유자 잎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미백과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미백제 스크리닝용 단백질칩의 개발 (Developing a Protein-chip for Depigmenting Agents Screening)

  • 김은기;곽은영;한정선;이향복;신정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16
    • /
    • 2005
  • 미백 물질 탐색 방법으로, MC1R 발현 인자인 Mitf (microrhthalmia transcription factor)를 이용한 protein chip을 적용하였다. MC1R promoter와 Mitf 결합의 저해 인자로써, DNA 상의 결합 부위인 E-box (CATGTG)와 유사한 서열을 가진 oligomer를 사용하였고, E-box 내외부의 서열 변화에 따른 저해율 또한 측정하였다. 그 결과 DNA-Mitf 결합 저해율에 있어서, E-box 서열 내 변화를 준 oligonucleotide 경쟁자는, E-box 이외의 서열 변화를 준 경쟁자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자가 미백 처치 기간 중 커피 종류별 적용이 치아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petitive tasting of different blending types of coffee on teeth stain during home bleaching)

  • 김은희;이동현;오혜승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55-963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coffee on teeth stain during home bleaching. Methods : Twenty five premolars that were extracted within the past month and healthy without any signs of dental caries or restorations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teeth of a control group were bleached everyday for two weeks, and the teeth of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bleached everyday for two weeks and then deposited respectively in four different types of coffee solution: brewed coffee, black coffee, coffee with sugar, and coffee with sugar and cream. Afterwards, the color of the teeth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was checked by a shade pilot. Results :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lightness and color according to the blending type with the lapse of time during home bleaching. Concerning changes in lightness and hue, there were the larges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deposited in coffee with sugar and cream, followed by coffee with sugar, black coffee and brewed coffee. When the extent of change in lightness and hue was investigated after home bleaching, the experimental group deposited in coffee with sugar and cream was stained the least, and the experimental group deposited in brewed coffee was stained the most.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 intake of coffee that is the cause of stain should be reduced during bleaching, and in case of having a cup of coffee, it's advisable to have coffee with c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