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중합 레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적층가공과 절삭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 간의 인장결합강도 비교 (Tensile bond strength of chairside reline resin to denture bases fabricated by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 김효성;정지혜;배지명;김정미;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77-184
    • /
    • 2020
  •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의 인장 결합강도와 비교 및 평가하여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직접 첨상을 임상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열중합형 의치상 레진(Lucitone 199), 절삭가공용 의치상 레진(VITA VIONIC BASE), 적층가공용 의치상 레진(NextDent Base)을 이용해 가로 25 mm × 세로 25 mm × 높이 3 mm의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한 의치상 레진 시편을 30일간 37℃ 증류수에 보관한 뒤, 건조하여 자가중합형 polyethyl methacrylate (PEMA) 직접 첨상용 레진(REBASE II Normal)을 사용해 결합하였다.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용 의치상 레진을 실험군으로, 열중합형 의치상 레진을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각 군 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모든 시편을 24시간 동안 37℃ 증류수에 보관한 뒤 꺼내어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10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파절 양상을 관찰하여 접착 파절, 응집 파절, 혼합 파절로 분류하였다. 의치상의 제작 방법에 따른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Bonferroni's method)을 시행하였다 (α= .05). 결과:절삭가공용 의치상 레진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2.33 ± 0.39 MPa)는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2.45 ± 0.39 MPa)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 > .999). 적층가공한 의치상 레진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1.23 ± 0.36 MPa)는 나머지 두 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1). 열중합형과 절삭가공한 의치상에서는 혼합 파절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적층가공한 의치상에서는 혼합 파절과 접착 파절이 동일한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직접 첨상용 레진과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인장결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은 절삭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 열중합형 의치상보다 유의하게 낮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제작방법에 따른 임시 수복용 레진의 마모저항성에 관한 연구 (In vitro evaluation of the wear resistance of provisional resin materials fabricated by different methods)

  • 안종주;허중보;최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0-117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법, 절삭 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법, 전통적인 방법에 따른 임시 수복용 레진의 마모 저항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제작방법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은 전용의 임시 수복용 레진을 사용하였다: S3P군,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3D 프린터 및 전용의 광경화성 수지로 제작한 군; D3P군,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프린터 및 전용의 광경화성 수지로 제작한 군; MIL군, Milling machine 및 밀링용 레진 블록으로 제작한 군; CON군, 전통적인 방법 및 자가중합형 레진으로 제작한 군. 한편, 3D 프린팅된 레진 시편을 제작함에 있어 적층 각도와 층 두께를 각각 $0^{\circ}$$100{\mu}m$로 설정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하여 열순환 처리와 수평, 수직운동이 가능한 2축 chewing simulator를 사용하였으며, 하부에는 한쪽면이 편평하게 제작된 임시 수복용 레진을, 상부에는 끝이 3 mm 직경을 가지는 원뿔형의 steatite를 고정하여 마모시험 진행하였다(5 kg, 30,000회, 0.8 Hz, $5^{\circ}C/55^{\circ}C$). 임시 수복용 레진의 마모량은 마모 전후의 Standard Triangulated Language (STL) 파일과 전용의 CAD software를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마모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S3P군, D3P군, MIL군의 마모량은 CON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P < .05), S3P군, D3P군, MIL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마모면을 관찰한 결과, S3P군과 D3P군에서는 대합치의 운동 방향에 대해 수직적으로 갈라진 흔적이 발견되었다. MIL군에서는 전반적으로 균일한 마모면이 보인 반면, CON군에서는 대합치 운동 방향으로의 뚜렷한 마모 흔적과 다수의 기포가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3D 프린팅된 임시 수복용 레진은 치과용으로서 적절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다.

치과용 재료의 적층가공에 대한 문헌고찰 (Review on additive manufacturing of dental materials)

  • 원선;강현구;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1호
    • /
    • pp.1-15
    • /
    • 2021
  • 치과용 재료의 적층가공제작은 기존 제작방식에 비해 복잡한 형태까지 제작할 수 있으며 절삭가공에 비해서도 기구나 재료의 소모가 적어 지속가능성이 장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적층가공 제작은 7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폴리머는 적층가공에 가장 적합한 재료로 용기중합방식으로 제작하며 기존 자가중합방식에 비해 높은 물성과 적합도를 가져 상용화에 더 적합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로 인해 임시수복물로 주로 이용된다. 금속은 PBF (powder bed fusion) 방식을 주로 이용하며 주조방식에 비해 파괴인성과 밀도가 높지만 잔류응력이 높아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세라믹은 분말과 레진폴리머를 혼합한 재료를 용기중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제작 후 폴리머제거나 소결과 같은 후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상용화되려면 세라믹 적층가공에 의한 결과물의 낮은 강도와 체적정확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적층가공은 어떤 재료이건 공정조건에 따라 물성과 표면환경이 달라지므로 가장 적합한 공정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식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application methods of one-step self-etching adhesiv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최철규;손성애;하진희;허복;김현철;권용훈;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03-210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의 적용이 직접 복합 레진 수복의 미세 인장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3종류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Clearfil Tri-S Bond, Adper Prompt L-Pop, G-Bond)와 적용 방식에 따라 1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다음의 방식으로 상아질에 적용하였다. 1) single coating, 2) double coating, 3) manual agitation, 4) ultrasonic agitation. 접착제 적용 후, 광중합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한 후, 각 군당 15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Manual agitation, ultrasonic agitation군은 single coating, doub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다. Double coating군은 sing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 manual agitation군과 ultrasonic agitation군 간에는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착제 종류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중 Clearfil Tri-S Bond가 가장 높았다. 결론: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법과 재료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접착제 종류에 관계없이 manual agitation과 ultrasonic agitation은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임플란트 보철 합착 시 잔여 시멘트 최소화를 위해 열가소성 접착제를 이용한 복제 지대주 제작 방법: 증례보고 (A technique for fabricating abutment replica with hot melt adhesive material to minimize residual cement in implant restoration: a case report)

  • 서치원;한아름;서재민;이정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240-245
    • /
    • 2016
  • 치은 연하 변연을 갖는 임플란트 수복물 장착시 잔여 합착제의 제거는 임플란트 생물학적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치은 연하 잔여 합착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상용 실리콘이나 자가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복제 지대주를 제작하는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열가소성 접착제(hot melt adhesive material)를 이용하여 복제 임플란트 지대주(abutment replica)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부가적인 기공과정이 필요 없어 진료실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부가적인 산부식이 자가산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ditional etching on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 system to enamel)

  • 유선진;김영경;박정원;진명욱;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4호
    • /
    • pp.263-268
    • /
    • 2006
  • 최근 많이 소개되고 있는 자가산부식 접착제는 상아질에 대한 접착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법랑질에 대한 접착은 인산에 비해 낮은 산도로 인해 충분한 부식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산도를 가진 1 단계 혹은 2 단계의 자가산부식 접착제에서 부가적인 산부식이 법랑질과 복합 레진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90 개의 발거된 우치의 순면을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600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여 평활한 법랑질을 노출시킨 후, 임의로 6군으로 분류했다. 사용재료는 Clearfil SE $Bond^{\circledR},\;Adper^{TM}$ Prompt L-Pop, 그리고 Tyrian $SPE^{TM}$를 사용하였으며, 각 재료에 추가적인 산부식을 시행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표면 처리한 후, 제조사의 지시대로 접착과정을 시행하였다 . 각 시편에 복합레진을 2 mm 두께로 충전하고, 40 초간 광중합을 하였다. 그 후 시편을 $37^{\circ}C$, 100% 상대습도에서 24시간 보관 후 전단응력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치는 independent t - tes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Clearfil SE $Bond^{\circledR}$에서 부가적인 산부식을 시행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p < 0.01). $Adper^{TM}$ Prompt L-Pop과 Tyrian $SPE^{TM}$에서는 부가적인 산부식이 결합강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p > 0.01).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강산을 함유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가적인 부식 처치가 접착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나, 약산을 함유하고 있는 접착제의 경우에는 부가적인 산부식이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 수복재에 불소 도포제 적용 후 불소유리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FLUORIDE RELEASE AND RE-UPTAKE OF SEVERAL RESTORATIVE MATERIALS)

  • 김수연;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8-419
    • /
    • 2007
  • 본 연구는 불소 유리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흡수 양상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복 후 45일간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고, 이후 APF 젤과 불소 바니쉬 도포 후 재흡수된 불소의 유리 양상과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합레진, 유동성 복합레진, 컴포머,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시편으로 제작하여 시편에서 방출되는 불소의 양을 처음 일주일 동안은 1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8일에서 38일 사이는 3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불소가 완전히 유리된 후 APF 젤과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여 4주간 불소 유리의 변화와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 유리 수복재에서 38일 동안 불소 유리는 유동성 복합레진은 1 ppm이하로, 컴포머는 1-2 ppm, 글라스 아이오노머는 2-8 ppm 으로 지속적인 유리가 관찰되었고, 실험 45일 경과 후 불소 유리는 거의 되지 않았다. 2. 불소 도포 후의 불소 유리는 불소 바니쉬보다 APF 젤 도포 후가 증가되었다. 불소 도포 첫날의 불소 유리에서 불소 바니쉬는 0.6-0.2 ppm, APF 젤은 0.6-2.6 ppm으로 유의 할 만한 차이를 보였고 (p<0.05), 나머지 4주간은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유리를 보였다. 3. 주사전자현미경적 소견은 불소를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불소를 도포시킨 실험군이 거친 표면을 나타냈다. APF 젤과 불소 바니쉬 도포 후 APF 젤보다 불소 바니쉬의 표면 거칠기가 적었다.

  • PDF

골유착 재현 레진 모델에서 골 상태 및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 안정성에 관한 연구 (Implant s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bone condition, fixture diameter and shape in the osseointegration simulated resin model)

  • 권택가;여인성;김성훈;한중석;이재봉;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8-137
    • /
    • 2011
  • 연구 목적: 자기공명주파수 분석, 페리오테스트, 풀림 토크는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방법들은 골 상태와 임플란트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골유착이 재현된 아크릴 레진 실험 모델에서 임플란트가 결합된 골의 양을 변화하고 경부의 골 상실양이 증가하였을 경우, 자기공명주파수 분석, 페리오테스트, 풀림 토크 측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골 유착을 재현하기 위하여 임플란트를 알루미늄 틀에 나사로 고정한 후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의 가루와 용액을 틀 안에 부어서 중합을 시켰다. 임플란트와 결합된 레진의 두께를 조정하여 골 결합 두께를 각각 1, 3, 5, 10 mm인 경우로 재현하였다. 그 후 임플란트 주변 경부 골 상실 양이 1, 3, 5 mm인 경우를 재현하였다. 각각의 재현된 골 조건에서는 4 mm 직경의 직선형 임플란트, 같은 직경의 tapered 형 임플란트, 5 mm 직경의 tapered 형의 3가지 임플란트가 각각 5개씩 사용되었다. 모든 골 조건에서 자기공명주파수 분석과 페리오테스트 측정이 이루어졌으며 골 결합 두께 1, 3 mm 시편에서는 풀림 토크가 측정되었다. 결과: 골 결합 두께가 증가하거나 임플란트 직경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ISQ 값은 증가하였고, 페리오테스트 값은 감소하였다 (P<.001, P<.001). 임플란트 경부에 주위 골 상실 양이 커질수록 ISQ 값은 감소하였고, 페리오테스트 값은 증가하였다 (P<.001). ISQ 값과 페리오테스트 t값은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 = -0.99, P<.001). ISQ값과 풀림토크는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 = 0.52, P<.001), 페리오테스트 값과 풀림 토크도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 = -0.52, P<.001). 결론: 레진으로 재현한 골의 양이 증가할수록, 임플란트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경부의 골 상실양이 적을수록 임플란트 안정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ISQ 값과 페리오테스트 값의 강한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최근 5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환자 분포 및 치료 경향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Treatment Trend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5 Years)

  • 강정민;이효설;최형준;최병재;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4-144
    • /
    • 2014
  • 본 연구는 환자분포 및 치료경향을 조사하여 소아치과의 변화하는 진료 양상을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초진환자와 비선택 진료의사 1인당 환자 수는 감소하였고 외국인 환자수가 급증하였다. 신환은 만 0~2세의 연령층이 가장 많았고, 내원 주소는 치아우식증, 외상, 부정교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복치료의 분포 결과 복합레진 수복, 아말감 수복, 치면열구전색술은 감소하였고, 자가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예방적 레진수복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다내원근관치료가 감소하고 당일발수 근관 충전이 증가했으며, 치수복조술과 치수절단술과 같은 보존적 치수치료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정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아산화질소의 이용이 주를 이루었다. 내원 환자의 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고, 최신 치료 경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상용 트레이의 종류와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이 임플랜트 주모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The Accuracy of Master Cast for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the Types of Impression Tray and Splinting Methods of Impression Copings)

  • 이지혁;최유성;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33-4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주모형으로부터 인상체를 제거한 후 인상용 코핑이 인상체 내에 남아있는 개방형 트레이 인상법의 이용 시,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에 따른 효과와 인상 채득 시 사용될 수 있는 수종의 트레이가 주모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자가중합형 트레이 레진으로 제작한 개인 트레이, 플라스틱 금속 복합 트레이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 등의 3종류의 트레이가 사용되었고, 각 트레이 마다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 여부에 따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나누어진 총 6개의 군에서 각 실험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임플랜트 유사체와 지대주 사이에 발생한 수직오차의 측정에는 1-screw test법을 이용하였다. 1시편 당 총 6부위를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하여 동일한 수치를 나타낼 경우에 기록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인상용 코핑의 연결고정 여부와 상관없이 개인 트레이군, 플라스틱 금속 복합 트레이군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개인 트레이, 플라스틱 금속 복합 트레이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한 경우 패턴 레진으로 연결고정한 군이 비연결고정 군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