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중합 레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Silane coupling agent인 MPS 농도별처리에 따른 열중합 레진과 자가중합 레진 간의 전단결합강도 (Effects of Treatment of Silane Coupling Agent in MPS Concentrat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Self Curing Resins and Heat Curing Resin)

  • 최에스더;권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44-351
    • /
    • 2015
  • 본 논문은 치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ilane coupling agent로 표면 처리한 의치상 레진과 자가중합 레진 간의 전단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치상 레진에 silane coupling agent 농도별 표면 처리 후 자가중합레진을 주입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Silane coupling agent(MPS)의 농도별 표면 처리에 따른 의치상 레진과 자가중합레진 간의 전단결합강도에서는 Vertex self curing resin에서 5%, 7%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Kooliner에서는 5%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의치상 레진과 자가중합레진 사이에 MPS 5%를 이용한 표면처리가 전단결합강도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사료된다.

중합방법이 이중중합 레진시멘트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modes on micro-hardness of dual-cure resin cements)

  • 이기덕;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2호
    • /
    • pp.132-138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3종의 이중중합 레진시멘트에서 자가중합법과 이중중합법이 중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알아보고자 시간경과에 따라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을 위해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인 Maxcem Elite (Kerr)와 Rely-X Unicem (3M ESPE) 및 전통형 레진시멘트인 Rely-X ARC (3M ESPE)를 사용하였으며 각 레진시멘트를 동일한 크기의 테플론 몰드에 채우고 자가중합법과 이중중합법으로 중합을 하여 각각 10개씩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중합 시작 후 10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이 지난 시점에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각 시점에서 레진시멘트별로 중합법 사이의 비교를 위한 independent samples t-test 및 모든 실험군 사이의 비교를 위한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정을 95% 유의수준에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실험군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Maxcem에서 중합 1시간 후 부터를 제외하고 이중중합이 자가중합에 비해 높은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0.05). 3. 매 시점에서 자가중합법의 Rely-X Unicem이 가장 낮은 미세경도를 보였으며 이중중합법의 Rely-X Unicem이 가장 높은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이중중합 레진시멘트의 충분한 중합을 위해서는 광조사를 반드시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중간레진의 친수성이 상아질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MEDIATE RESIN HYDROPHILICITY ON BOND STRENGTH OF SINGLE STEP ADHESIVE)

  • 김용성;박상혁;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45-458
    • /
    • 2007
  • 단일과정 접착제를 이용함에 있어 복합레진과의 부적합성을 개선하고자 중간레진이 결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Experimental single step system (Bisco Ltd., Schaumburg, IL)을 대조군으로 하고 6종의 중간레진을 접착제의 중합여부, 복합레진의 광중합-자가중합 여부로 분류하였다. 상아질에 대한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계면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간레진의 적용은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2.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는 중간레진을 적용할 경우 증가하였다. 3. 중간레진의 적용 전 접착제의 중합여부는 결합강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중간레진이 친수성일 때 소수성 중간레진을 적용할 때 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수복 시 단일과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초기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을 단일과정 접착제와 사용할 때는 접착층의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소수성의 중간레진을 적용하여 부적합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이 포스트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METHODS OF RESIN CEMENTS ON BOND STRENGTH AND ADHESIVE INTERFACE OF POST)

  • 김문홍;김혜정;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03-11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종의 이원중합 레진시멘트 (RelyX ARC와 Variolink II)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 (자가중합과 광중합)이 섬유포스트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단근관을 갖는 발거된 32개의 하악 소구치에 근관을 충전한 후, FRC Postec system의 Reamer로 9 mm 깊이의 포스트 공간을 형성하였다.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중합방법에 따라 4개의 군 (R-SC군, R-LC군, V-SC군, V-LC군)으로 분류하였다. 포스트 공간에 각 군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레진시멘트를 주입하고, No. 3 FRC Postec 포스트를 위치시켜 자가중합 또는 광중합시켰다. 각 군의 치근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동안 보관한 다음, 저속의 diamond wheel saw를 이용하여 치관부에서 치근단부를 향해 1.5 mm두께로 연속적으로 횡절단하여 1개의 치근에서 3개의 절편을 얻었다. 각 군의 절편 (31개)은 만능시험기에서 push-out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군의 강도 값은 반복측정 two-way ANOVA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 군의 절편 (3개)은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섬유포스트, 레진시멘트 및 치근 상아질 간의 계면을 관찰,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 부식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섬유포스트를 포스트 공간에 합착할 경우,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광중합보다 자가중합 방법 이 우수한 결합강도와 계면을 나타내었다.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와 결합된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 접착 (ENAMEL ADHESION OF LIGHT-AND CHEMICAL-CURED COMPOSITES COUPLED BY TWO STEP SELF-ETCH ADHESIVES)

  • 한세희;김은성;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69-179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2단계 자가산부식 접착제를 이용하여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의 결합강도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현미경적 인 관찰을 통하여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법랑질에서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비적합성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Isomet Low Speed Saw를 이용하여 발거한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 mm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여러 개의 절편을 만들었다. 치아의 절편들을4개의 군으로 분류한 후,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SE Bond 군, AdheSE 군, Tyrian 군 Contax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접착제를 각 절편의 법랑질 표면에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 또는 화학중합 복합레진 (Luxacore Smartmix Dual)을 접착하였다.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복합레진과 법랑질의 접착계면이 파절될 때까지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를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two-way ANOVA와 Tukey HSD검정 및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p = 0.05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위해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이나 설면의 법랑질 일부를 Isomet Low Speed Saw로 절단한 후 각 군의 접착제와 광중합 복합레진 또는 화학중합 복합레진을 축조하여 각 군당 2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접착제 및 복합레진 계면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 모두에서 SE Bond 군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 강도는 다른 3개의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2. 광중합과 화학중합 복합레진 모두에서 AdheSE 군, Tyrian 군 Contax군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 전단 결합 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모든 군에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화학중합 복합레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4. 모든 접착제와 법랑질 계면은 긴밀한 접합을 나타내어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접착제 간에 비적합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중합방법에 따른 여러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의 기계적 성질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everal dual-cure resin cements by curing modes)

  • 김수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15
  • 목적: 중합방법 및 측정시기에 따른 여러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의 기계적 성질인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개의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인 FujiCEM 2, 2개의 전통적인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인 RelyX ARC와 Multilink N, 2개의 이중중합 자가접착 레진 시멘트인 RelyX U200과 G-CEM LinkAce를 사용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시멘트를 혼합하여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중합방법 및 측정시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멘트에 따라 4가지 실험 조건으로 나눴고, 만능시험기로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 측정하였다. 각각의 강도 값을 계산 후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압축강도에서는 RelyX ARC의 광중합과 Multilink N의 광중합, 간접인장강도에서는 RelyX ARC의 광중합을 제외하고 모든 중합방법에서 24시간 뒤 측정된 강도가 즉시 측정한 강도보다 더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FujiCEM 2는 시멘트간 비교에서 가장 낮은 강도 값을 보였다(P < 0.05). 결론: 치과용 시멘트 중에서 최근 출시된 이중중합 자가접착 레진 시멘트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 비교시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정용 레진장치의 레진주입방법에 따른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by resin injection method of orthdontic acrylic resin)

  • 조정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1-346
    • /
    • 2020
  • 가철성 교정장치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자가중합 레진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는 현대 치의학 분야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아크릴릭 레진이다. 장점으로 색과 체적의 조직 친화성, 안정성 등 있어 치과에선 교정장치 재료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PMMA의 제작은 활성화 방법에 따라 자가중합방식과 열중합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자가중합 레진은 치과 교정장치로 오래동안 사용되고 있다. 레진의 주입방법은 크게 적층법(sprinkle-on method)와 혼합법(mixing method)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장치의 레진 주입방법에 따른 기계적 특성인 강도, 탄성계수 경도, 표면조도를 실험 해보고자 한다. Orthodontic PMMA 의 직사각형 시편 (1.4×3.0×19.0 mm)에 3점 굽힘강도 실험한 결과 강도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조도도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Orthodontic PMMA는 교정용 장치의 레진주입 방식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코어용 레진의 두께가 중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ickness on the Degree of Cure of Composite Resin Core Material)

  • 권병철;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52-358
    • /
    • 2006
  • 본 연구는 코어용 이중 중합 레진의 중합도에 미치는 두께의 영향과 빛이 감소된 깊은 와동에서 자가 중합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Luxacore Dual과 Luxacore Self (DMG Inc, Hamburg, Germany) 두 종류의 코어용 레진 수복재를 지름 10 mm, 두께가 2, 4, 6, 8 mm 의 Teflon mold에 주입하고 자가중합 시키거나 혹은 $500 mW/cm^2$의 광도로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중합 후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동안 저장하였다.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Knoop's hardness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ANOVA로 통계 분석 하였고 Tukey'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Luxacore Self와 Luxacore Dual을 자가중합 시킨 군의 중합도는 두께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Luxacore dual을 광중합한 경우 중합은 2 mm, 4 mm와 6 (적층충전) mm군에서는 밑면의 효과적인 중합이 일어났으나 8 (적층충전) mm군, 6, 8 (단일충전) mm군은 밑면에서 불완전한 중합을 보였다 (p < 0.05). 따라서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4 mm를 초과하는 경우 단일충전보다 적층충전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용 접착제가 복합레진 인레이와 레진시멘트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HESIVE APPLICATION ON SHEAR BOND STRENGTH OF THE RESIN CEMENT TO INDIRECT RESIN COMPOSITE)

  • 송미혜;박수정;조현구;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5호
    • /
    • pp.419-427
    • /
    • 2008
  • 본 연구는 레진시멘트의 레진인레이에 대한 접착 시 접착제 혹은 primer의 사용이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직경 5mm,높이 4.5mm의 원기둥 형태로 제작한 레진인레이 (Tescera, Bisco, USA)의 표면을 1000번, 1500번 그리고 2000번 사포로 주수 하에서 연마하여 평편한 면을 형성한 후 레진인레이의 표면에 sandblasting을 시행한 후 표면에 1분 동안 silane을 도포하였다. 2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대조군으로, 다른 한 군은 표면에 동일한 제조사의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중합하였다. 레진인레이 상에 3mm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아크릴판을 고정하고, 구멍에 레진 시멘트를 주입하여 경화시켰다. 레진 시멘트는 Panavia-F (Kurary), Varolink-II(Ivoclar-Vivadent), RelyX Unicem(3M ESPE), Duolink(Bisco)와 자가중합형인 Multilink (Ivoclar-Vivadent)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시편을 만능물성시험기에 위치시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p<0.05). 하지만 Variolink-II와 Panavia-F는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각 레진 시멘트간에 전단결합강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1) Variolink-II가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 반면, 자가중합형인 Multilink가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하지만,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군에서는 각 제품간에 전단결합강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원중합형이나 자가중합형 레진시멘을 이용하여 레진인레이 부착 시 silane 처리 후 접착제나 프라이머의 도포가 결합 강도의 증가를 위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