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관리프로그램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1초

정신보건센터 재활프로그램 참여.비참여 만성정신장애인의 자가관리 및 가족부담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Participating and Those not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 Mental Health Centers and Their Families' Feeling of Burden)

  • 백영숙;정안순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propose basic materials to prepare the mentally disabled for rehabilitation nursing mediating plans, by comparing the degree of self-care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resid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between those who participate in daytim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those who do not as well as the degree of perceived burden of the two groups' familie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1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men, who participated in daytime rehabilitation programs in three mental health centers in Gyeonggi-do and their families, and 53 in-hous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men, who did not participate and their families.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self-care consisted of ten spheres (65 questions and 5 points a standard). To quantify the feeling of burden of families, the measuring equipment developed by Montgomery et al. was used. Results: The degree of self-care of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men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were higher than that of men not participat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amilies in the group not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s had higher score than those in the group participat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fluenced improvement of self-care and also lessened a feeling of burden of families somewhat.

  • PDF

기관절개관을 보유하고 있는 가정간호대상자를 위한 기관절개관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Caregiver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Tracheostomy Tube Management for Homecare Client: Focus on Caregivers)

  • 마초원;이주연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3호
    • /
    • pp.329-33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train caregivers in tracheostomy tube care using a self-management program to assist patients with an 'at home' tracheostomy procedure. Caregivers' self-efficacy and knowledge of tracheostomy managemen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as also identified.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main caregivers for patients with tracheostomies who were affiliated with a 'Home Healthcare Center'. Training and observation were done at 'A Hospital' and 'G Hospital' both affiliated with 'K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 2010 to January 25, 2011 and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SPSS program version 12.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pre and post evaluation of the 'self-management program' for the implementation of tracheostomy car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elf-management program' improved the main caregivers' knowledge of tracheostomy tube management (Z=-3.599, p<.001). Conclusion: Results show that this program has identified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omoting the caregivers' knowledge of tracheostomy care and self-efficacy. We recommen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test primary caregivers' maintenance of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tracheostomy tube management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the care of these patients.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 평가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Occupational Health Nurses)

  • 이효진;백대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7-83
    • /
    • 2016
  • 이번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도모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며, 근로자 구강보건사업의 지지 및 참여를 높이고자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수행하여 교육 전 후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수준을 비교하여 평가함으로써 근로자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 전 후 자가인지 구강건강수준 및 구강건강관리법에 대한 인지 및 권장수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의 시행 후, 자가인지 구강건강수준과 구강건강관심도는 교육 시행 전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치실 혹은 치간솔 사용, 법정 구강검진을 포함한 정기검진, 정기적인 치면세마를 포함한 치주병 예방법에 대한 인지수준이 교육 전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구강질병 예방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관리법에 대한 권장수준도 교육 전에 비해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연관된 요인을 확인해 본 결과, 구강건강관심도가 낮을수록 치주병 예방법별 인지수준과 구강건강관리법별 권장수준의 향상 정도가 모든 항목에서 크게 나타났다. 산업간호사의 근로자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근로자를 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항목으로는 구강보건교육 전후 모두 '산업간호사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이 1순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산업구강보건의 중요한 협력자인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 시행이 필요하고, 이러한 교육을 통해 산업간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가 향상된다면, 앞으로 근로자 구강보건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산업간호사의 지지와 참여를 효율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for Nursing Students)

  • 송미옥;문정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79-38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교육 내 환자안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 3-4학년 3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과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 대처 능력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대처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을 고려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심장판막수술 후 프로트롬빈 INR 모니터링형 자가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Prothrombin INR Monitoring for Patients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 전현례;박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54-56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INR monitoring for patients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Methods: This program was comprised of five weekly sessions based on Sousa's Enhance-Behavior Performance Model. The first session included individual teaching, and the other four sessions included Prothrombin Tim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s (PT INR) self-monitoring, telephone counseling and self-management checklist recording. Participants were patients who had cardiac valve replace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Sixte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elf-management program and sevente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care. Self-management knowledg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behavior and PT INR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Mann Whitney U-test, t-test and ANC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self-management knowledge (t=5.86, p<.001), self-efficacy (F=18.32, p<.001), and self-management behavior (t=3.44, p=.00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in maintaining the treatment range of PT IN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hi}^2=4.80$, p=.02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PT INR monitoring showed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management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management behavior as well as maintaining treatment range of PT INR of patients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서비스직 유무에 따른 아르바이트 종사자 대학생의 자가구취인식도가 구강보건관리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perception of halitosis on oral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 정혜민;조한아;정성균;김아영;김예린;김유림;이예진;이은아;정민주;임도선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1-39
    • /
    • 2019
  •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중인 대학생 150명, 비서비스직인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26일부터 5월 5일까지 자가구취인식도가 구강보건관리실천도에 미치는 영향력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비스직군에서 칫솔질을 하는 목적은 '충치와 잇몸병 예방'과 '구취' 항목이 주를 이룬 반면, 비서비스직군에서는 '충치와 잇몸병 예방'과 '상쾌한 기분' 항목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x2=18.21, p<0.001). 2. 서비스직군과 비서비스직군 모두에서 구취의 원인은 백태와 음식물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x2=10.95, p=0.027). 3. 서비스직 유무에 따른 자가구취인식도와 구강보건관리실천도의 평균분석에 따르면, 서비스직군에서 모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4. 자가구취인식과 구강보건관리실천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γ=-0.11, p<0.05). 5. 성별과 학년을 보정한 회귀분석모델에서, 자가구취인식도가 한 단위 증가하면 구강보건관리실천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185, p=0.02). 이상과 같이 서비스직 유무에 따른 아르바이트 종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가구취인식도가 구강보건관리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서비스직 아르바이트에 종사하는 대학생의 자가구취인식도가 높을수록 구강보건관리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것을 근거로 서비스직 종사자의 구강건강향상 및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 프로그램 및 홍보등의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Nurses')

  • 박종덕;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07-315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소병원 내 환자안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00-300명 미만 중소병원 5곳에 근무하는 총 191명의 간호사이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은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결과,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태도(β=.39, p<.001), 자기효능감(β=.25, p<.001), 및 환자안전문화인식(β=.17, p=.006)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1.8%였다. 따라서, 중소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보육교사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지식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을 중심으로 (A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nd Management of Allergic disease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 ; atopic dermatitis, asthma, allergic rhinitis)

  • 이선영;문인오;이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7-48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지식과 알레르기 질환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J도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의 지식에서는 연령(p=.013), 교육경험(p=.049),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의 관리에서는 교육경험(p=.045), 교육필요성(p=.03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토피피부염의 지식과 관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과 알레르기비염 지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알레르기 질환 관리, 연령으로 36.2%를 설명하였다.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알레르기 질환 지식, 교육경험, 교육필요성으로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관리의 43.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를 위한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분열병환자를 위한 웹기반 약물 및 증상 자가 관리 교육 프로그램 효과* (Effectiveness of a Web-based Learning Program for Medication and Symptom Management Education of the Schizophrenia Patient)

  • 손경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5-29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schizophrenic patients in order to identify symptoms, facilitate medication and prevent recurrence.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si 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patients in the psychiatric day hospitals in Busan; 14 schizophrenic patients for the web-based education group (Exp.I); 14 schizophrenic patients for the web-based education with face -to- face education (Exp.II); and 16 schizophrenic patients for the face -to- face education as control group (Con. 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th 2007 to January 28th 2008 and were analyzed with $\chi^2$-test, ANOVA, ANCOVA and Bonferroni test in SPSS Win 11.0. Results: After receiving education, each with different methods, the Exp.I group attained the highest learning achievement in the knowledge of medication and symptom management. In addition, the Exp.I group and Exp.II group attained the lower scores in the relapse warning symptom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A web-based learning program for medication and symptom management education is an effective rehabilitation program that reduces the relapse rate of schizophrenic patients.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emale)

  • 강혜승;이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18-525
    • /
    • 2017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118명 중년여성 이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과 타인에 관하여 희망적일수록, 자가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외상 후 성장을 극복했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순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년기의 전 단계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길어진 삶 속에서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