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검진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관리 실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actice of the Industrial Workers)

  • 윤미숙;권현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35-544
    • /
    • 2012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산업체 근로자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인식수준에서 충치나 치주질환 예방 인지도는 높았지만, 잇솔 외 구강위생용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강보건관리 실천 수준의 경우, 잇솔질 시 혀 세척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구강검진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낮은 인식을 보이고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평균 소득이 200~300만원인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보다 구강보건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행동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은 최근 2년 내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자,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가 3회 이상인 자, 지난 1년 간 치과 내원 경험이 있는 자, 구강보건 교육 경험이 있는 자가 구강보건인식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은 잇솔질을 3회 이상 하는 근로자와 지난 1년 간 치과 내원 경험이 있는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보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관심 정도와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은 구강건강 에 대한 관심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구강보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관리 실천에서는 구강건강 관심 정도와 구강건강 상태에 따라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인식과 구강보건관리 실천과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구강보건 인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보건소 내소 여성의 유방자가검진과 유방암 검진의 관련요인 (The Behavior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Breast Cancer Screening)

  • 최종숙;박재용;한창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7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plans to promote the fulfillment of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breast cancer screening, which 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about women's having breast cancer exam in some part of our country with searching for the primary causes which have an effect on their fulfill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40 literate volunteers who were of age from 20 to 69 and who visited 8 health centers in Taegu. The survey research was made through questionares in the 8 health centers in Taegu from the 15th to the 30th of September, 1998. Based on Becker's health belief model asking medical staff's opinions with bibliographi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urvey was as follow. The fulfillment rate of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the breast cancer screening was 37.8%(204 subjects), 27.6% (149 subjects) each. Getting breast self-exam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bject's age, income of family, religion, occupat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As far as the breast cancer screening was concerned, there was remarkab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ir age, marital status, religion, occupation, income of family, the number of children, ways of nursing and parturition age of the first baby. The subjects in their for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Based on the fulfillment of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the breast cancer screening, the average points of all the variables presented from the health belief as well as the points of the susceptibility, seriousness, benefits, knowledge and level of health concern of interest in healt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oints of non-fulfillment of the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hereas the barriers was lower than them. In consequence of the multiple-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utt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the breast cancer screening in dependent variables, occupation, knowledge, seriousness, benefits, barriers and cues to 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east self-examination against breast cancer. Looking more attainments, thinking diseases more seriously, feeling more usefulness and there being any patient around with breast cancer led to the higher rate of the breast self-examination against it. On the other hand, feeling more impedition as well as housewives caused the lower rate of it. The breast cancer screening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sensitivity, usefulness, impedition and behavior momentum as well. The cases who are older, feeling more sensitivity against breast cancer, more usefulness of the examination and where any patient around, the fulfillment rate was higher. Contrarily the more impedition they felt, the lower the fulfillment rate was. Accordingly, the study of the cause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ulfillment of the self-examination and the breast cancer screening in order to find it in an early stage,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proper education for public health through carrying on campaigns and stepping up public relations must be indispensable.

  • PDF

예비고령층과 고령층의 건강정보 경로별 인식과 활용 (Recognition and use of health information for preliminary elderly and elderly people)

  • 정우식;강형곤;한세미;김은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19-42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고령층과 고령층의 건강정보 획득경로와 경로별 인식 및 활용실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예비고령층 200명, 고령층 200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대면조사를 시행하였으며, MINITAB17을 활용하여,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군의 건강정보 획득경로는 전문의료인을 통한 획득은 비슷한 수준인 반면, 대중매체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획득 빈도는 예비고령층이 높았다. 특히,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건강정보 획득은 고령층보다 4배 이상 높았다. 경로별 건강정보 활용내용은 예비고령층이 건강검진 및 예방에 집중한 반면, 고령층은 예방뿐만 아니라 질환치료 등 건강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였다. 획득된 건강정보에 대해 두 군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향후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건강관련 정보의 전달에 있어 인터넷 사이트를 포함한 모든 경로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층의 자가건강관리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 개발에 연령적 특성과 경로별 활용 건강정보 영역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건강 진단 수검 여성들의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the Breast Self-examination in Women who got health check up)

  • 정수진;최순석;박준한;엄상화;정귀원;이채언;배기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40-750
    • /
    • 1998
  • The methods for the early diagnosis of breast cancer are mammography, physical examination, breast self-examination(B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BSE by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of mammography, physical examination of breast, knowledge and practice of B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2 females between 20 and 69 year old who visit to the Health Care Center of College of medicine of Inje University from December 1997 to February 199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omen who have Soften the regular mammography are 8.19% of these subjects and women who have gotten the regular physical examination by doctors are 4.19% of these subjects. 2. Regarding BSE, 77.4% of these subjects said that they knew BSE and 3.88% of these subjects said that they practiced BSE regularly. It was that women who knew BSE were more younger, better-educated and higher economic status(p=0.001) and lived a normal life with he. husband(p=0.033). And women who practiced BSE regularly were more younger, and married(p=0.001). 3. The most common barrier to doing BSE is 'Do not see the needs/worry unnecessarily', and the most common reasons for doing BSE is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4. The overall frequency and percentage distribution of recommended BSE step in Korea is lower than U.S.A.

  • PDF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 유형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and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 Type among Unmarried Women)

  • 임영숙;조해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95-1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를 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21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여성의 33.9%가 HPV 예방접종을 시행하였고 7.9%가 Pap test를 시행하였다. Pap test와 HPV 예방접종을 모두 시행한 그룹은 6.7%, Pap test 또는 HPV 예방접종을 시행한 그룹은 28.5%이었다.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라 자궁경부암 가족력,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건강 전문가가 가장 의미 있는 지원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혼 여성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해야 한다.

행위중심적 유방자가검진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ion Oriented Breast Self-examination(BSE)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박소미;허혜경;박미정;송희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effects of action oriented BSE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test of time serial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prevent diffusion of the experiment. Out of 53 nursing students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in the third grade at a nursing college, 27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were first given a traditional lecture on BSE.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26 students action oriented BSE education consisted of lectures, demonstrations with breast models, and BSE skill practice by micro teaching.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and BSE-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Results showed that action- oriented BSE educ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Education for students should incorporate strategies reinforcing confidence by practicing actual BSE skills as well as acquiring knowledge of BSE, so that students can become competent and practical cancer prevention educators.

  • PDF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생체신호 획득 시스템 (Bio-Signal Acquisi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김형배;권만준;차은종;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49-35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의 생체신호를 보다 쉽게 취득 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병원을 직접 내원하여 검사를 받거나 진단을 받는 일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지에서의 병원이나 타 의료장치에서 취득된 생체신호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블루투스로 전송하고 이 데이타를 블루투스가 내장된 PDA에서 획득하여 화면상에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표현하는 생체신호 획득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서 이전의 생체신호와 현재의 생체신호를 쉽게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자신의 건강상태를 자가 점검하거나 의료기관의 의사에게 보내어짐으로서 검진 받을 수 있는 원격진료가 가능하다.

기초 수급 노인들의 구강건강 행태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n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welfare recipients)

  • 조민정;박의정;신해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37-5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 수급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노인들의 불소도포 및 스켈링 사업을 통하여 그들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행태를 살펴보고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65세이상 기초 수급자 노인 6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구강검진을 통하여 틀니사용 유무와 잔존 치아 수 등을 조사하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잔존 치아 수는 줄어들었으며, 성별, 연령,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자가 구강상태 진단, 점심 식사 후 칫솔질 유무에 따라서 잔존 치아 수에 차이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잔존 치아 수는 대상자 개인의 구강 예방에 대한 관심과 노력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인들의 구강건강 행태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융복합적 용인을 샆펴보고,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 진료의 확대와 보건관리의 제공을 유지하기 위한 구강관리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었으면 한다.

등산로(登山路) 관리상태(管理狀態)에 대한 구간별(區間別) 중요도(重要度)-성취도(成就度) 분석결과(分析結果)의 비교(比較)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Managerial Conditions of Trails by Trail Section)

  • 김상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351-36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무등산 도립공원 내 등산로 상태에 대한 구간별 중요도-성취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구간별 IPA 결과와 구간별 구분없이 각 등산로 구간에서 수집된 자료를 총괄적으로 분석하는 전반적 조사방법의 IPA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IPA를 위한 전반적 조사방법의 이용타당성을 검진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2000년도 9월중 무등산 도립공원 내에 위치한 4개의 등산로구간을 대상으로 현지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총 258명의 조사대상자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중요도-성취도분석 결과, 선정된 총 26개 등산로 관리속성 중 23개 속성(88.5%)이 적어도 1개 등산로구간 이상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개 등산로구간을 통합하여 산출한 전반적인 IPA 결과도 마찬가지로 23개 속성(88.5%)에서 각 등산로구간의 IPA 결과와 적어도 1개 등산로구간 이상에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IPA를 활용하여 등산로 관리전략을 결정할 경우, 전 등산로를 대상으로 한 총체적 조사보다는 등사로 구간별 분할조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한 인지.행동 통합 유방암 예방교육 효과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Effects on Nursing Students of Cognition-Behavior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Using an Interchangeable Nodule Model)

  • 박소미;김보환;박미정;안양희;정재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6-176
    • /
    • 2010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on-behavior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in which a breast model with interchangeable nodules was utilized, on the self-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performing breast cancer educa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A traditional lecture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49 3rd year college of nursing students (control group) while the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was given to 47 3rd year students in the same college one year later (experimental group). The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cogni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in education on breast cancer. Results: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rough all study variables: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t=7.79, p <.001), breast cancer risk awareness (t=2.05, p <.05), self-competency of breast self-exam (t=8.27, p <.001), and intention to teach breast self-exam (t=3.87, p <.001). Conclusion: The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was useful to improve not only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but competency in performing breast examination for nursing students who acquired technical skills from various simulation nodules. As the program helped the students to be prepared as confident educators, future application of the module is recommended for academic curric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