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간호행위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 당뇨환자에서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과 당화혈색소 조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Control and Diabetes Self-care Knowledge, Competenc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n Diabetes elderly)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57-366
    • /
    • 2017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가관리 효능감, 자가 관리 행위와 삶의 질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로 D시에 소재한 시민건강증진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60세 이상의 당뇨노인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의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자가관리 지식은 $6.99{\pm}2.17$점, 당뇨 자가관리 자신감은 $71.27{\pm}10.21$점, 당뇨 자가관리 행위는 $62.78{\pm}1.29$점, 삶의 질은 $0.86{\pm}0.11$점으로 조사되었다.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간에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삶의 질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 자가관리 행위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17, p=.031), 자가관리 행위는 교육수준(t=2.17, p=.031), 시민건강증진실 방문횟수(t=16.497, p=.001) 및 BMI(t=.01, p=.01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앞 선 세 변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당화혈색소 수치와 당뇨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결과를 근거로, 당뇨 노인의 지식수준과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될 것을 제언한다. 아울러, 지역사회 당뇨 환자들이 바람직한 당뇨 자가관리를 꾸준히 시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접근성이 높은 건강관리 기관이 도처에 마련될 필요가 있다.

암환자교육이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of Oncology Patients: A Meta-Analysis)

  • 오복자;최형지
    • 종양간호연구
    • /
    • 제12권4호
    • /
    • pp.257-26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102 studies were retrieved from 6 electronic databases in Korea. From these studies, 18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850 participants. Two autho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by Cochrane's Risk of Bias and Methodological Items for Non Randomized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vMan 5.1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Overall effect size of education interventions on anxiety was -2.12 (95% CI:-3.90, -0.34) (p<.001). The effects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 care behavior were -1.08 (95% CI:-1.73, -0.43) (p=.001), and -1.41 (95% CI:-2.13, -0.68) (p<.001), respectively. Publication bias was detected as evaluated by funnel plot, but the fail-safe number was moderat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can relieve anxiety and self-care.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 on depression.

당뇨병 캠프의 자가간호 교육이 제1형 당뇨병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care Education at a Diabetes Camp on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 강나래;안영미;이지은;손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68-175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당뇨병 캠프에 참여한 1형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가간호 교육을 제공하고, 이 교육이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그리고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단편적 서술연구로 인천지역 1개 대학병원에서 시행되었고, 대상자는 당뇨병 캠프에 참여한 제1형 당뇨병을 가진 만 8세-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편의추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임상적 변수를 포함하여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그리고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을 자가보고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15명으로 평균 만 12 (${\pm}2.3$)세였고 여자가 53.3%로 약간 많았으며, 평균 HbA1c는 8.8 (${\pm}2.0$)%였다. 자가간호 교육 후, 당뇨관리행위($.56{\pm}.13$ vs $.60{\pm}.17$, p =.101)와 당뇨지식($70.2{\pm}15.7$ vs $71.6{\pm}14.7$, p =.606)은 점수가 향상하였고, 당뇨관리 자아효능감($6.2{\pm}2.1$ vs $6.1{\pm}2.6$, p =.883)은 감소하였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자가간호 교육 후 향상된 당뇨관련 행위점수와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사회 심리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해 본 결과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없었다. 결론 당뇨병 캠프 안에서 자가간호 교육 제공은 제1형 당뇨병 아동 및 청소년의 당뇨에게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의 일부 영역을 향상시켰다. 앞으로 이러한 아동들의 다양한 건강 요구를 반영하면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개발되어야 한다.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 홍세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39-3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고,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2017년 9월 25일부터 10월 8일까지 W군에 위치한 일 개 대학의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22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210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t=-0.489, p=625), 대인관계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고(간호대학생 $2.92{\pm}0.52$, 일반대학생 $2.94{\pm}0.53$), 건강책임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간호대학생 $2.01{\pm}0.50$, 일반대학생 $1.96{\pm}0.52$), 성별, 건강관련 강의 수강여부, 흡연 여부,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하위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학 및 지역사회 보건기관이 협력하여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기효능 정보자원 프로그램이 관상동맥 질환 환자의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a Self-Efficacy Information Resources Program on Perceived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신주영;김순용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4-124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 self-efficacy information resources program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Bandura (1986) would increase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AD. Method: The study wa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pre-experimental design research. The Self-Efficacy Information Resources Program was composed of a video tape program and a telephone coaching program and based on vicarious experiences and verbal persuation. The Program was used as an experimental treatment from February 27. to May 27, 1999. Twenty patients participa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ree days later after a pretest the telephone coaching program was given. It was repeated weekly during a 3 week period. At the end of this period post-test data were collected by mail. Data were analyzed with a random permutation test using SAS program. Result: 1) Scores on self-efficacy after the Self-Efficacy Information Resources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program (p=0.06). 2) Scores on self-care after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subjective self-care, p=0.0005; objective self-care, p= 0.0002) than before the program. Conclusion: The Program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elf-efficacy and self-care. When nurses who care for CAD patients plan to increase their patients' self care ability, they should always consider the concept of self-efficacy.

  • PDF

고혈압을 가진 저소득층 여성노인의 자가간호 행위와 우울증상 -초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Low-Income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 성기월;김미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93-602
    • /
    • 200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between the young old (65-74 yr) and the old-old (75-84 yr) in low-income women with hypertension.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elderly women over 65 yr living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7 through personal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Self-care behaviors, functional status, and number of medic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 elderly and middle elder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52.2% of variance in self-care behaviors of young elderly and 76.8% of variance in self-care behaviors of middle elderly were explained by depressive symptoms, number of medications, and functional statu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depressive symptoms to improve the self-care behaviors of low-income elderly with hypertension. Depressive symptoms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hypertension programs for low-income elderly women.

고혈압 환자의 혈압자가측정에 관한 문헌고찰 (A Review of 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 for Self-Management of Hypertension)

  • 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104
    • /
    • 2007
  • 연구목적: 고혈압환자의 효과적인 자가관리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혈압자가측정(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에 대한 특성, 장점, 범위 및 제한점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1996년부터 2005년까지 PubMed에 수록된 고혈압환자의 자가관리 방법중 혈압자가측정방법이 포함된 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전체 69개 자가관리방법을 적용한 논문 중에서 혈압자가측정이나 가정에서의 혈압측정(home monitoring)에 대한 45개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혈압자가측정 방법은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가 혈압을 자가측정한 방법에서 평균 혈압, 수축기 혈압, 맥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장기적 프로그램에서 혈압조절율이 향상되거나, 이완기혈압의 감소효과도 보고되었다. 혈압자가측정의 기준치는 연구마다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135/85mmHg 수준이 정상혈압의 상한수준으로 제시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가정 내 혈압측정이 24시간혈압측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 추천되었다. 보다 정확한 혈압자가측정을 위해서 신뢰성 있는 혈압측정기구의 사용과 정확한 측정방법이 환자들에게 교육될 필요가 있다. 결론: 혈압자가측정은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에 유용한 방법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고혈압의 진단, 혈압치료와 고혈압 약물복용 행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자기조절프로그램에 혈압자가측정법을 포함하는 것이 추천되며, 추후 한국에서 시도된 관련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PDF

노인간호실습 전후 간호대학생의 노인돌봄태도와 치매의사소통행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lderly Care Attitude and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 beforeand after Geriatric Nursing Practice)

  • 문숙자;이지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61-67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간호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노인돌봄태도와 치매의사소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59명의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 노인간호실습 전후 노인돌봄태도와 치매의사소통행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노인간호실습 전에 비하여 노인간호실습 후에 대상자의 노인돌봄태도와 치매의사소통행위가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대학생의 실습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행위 (Self Care Behavior of Hemodialysis Patients)

  • 조미경;최명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05-117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s: first,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 care behavior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and secon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 care behavior and the physiologic indices. Method: The subjects were 52 hemodialysis patients, male and female, who have regularly received hemodialysis dialysis at the Dialysis Room in a leading teaching hospital, Seoul. The patients responded to the self care behavior questionnaires including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pondents have regularly recorded the self care log book. The physiologic indices, clin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isease and hemodialysis were collected by the chart review.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self care behavior was 3.46. The mean score of the self care behavior on categories demonstrated as follows: medication 4.29, fistula management 4.13, management of physical problem 3.71, diet 3.28, exercise and rest 3.22, blood pressure and body weight management 2.97 and social adjustment 2.05 in order. Thirty patients managed discomfort of their fistula. Eleven patients took exercise for 0.5-1 hr/week. Thirty patients measured their body weight daily and thirty two measured their blood pressure daily. The score of self care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ean weight gains between the dialysis sessions(r=-.312, p=.05). The mean weight gains between dialysis sessions was found to be high as the level of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increased(r=-.316, p=.05, r=-.465, p=.01).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s that nursing intervention to the hemodialysis patients to improve self care behavior should be encouraged and further developed.

  • PDF

자기효능증진 운동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Hypertensives)

  • 김유정;김수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87-497
    • /
    • 2014
  • 본 연구는 약물치료를 하지 않고 있는 제 1기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기효능증진 운동프로그램은 고혈압 노인을 위해 최대 심박출량 40~60%강도의 율동적인 운동과 자기효능증진 자원을 접목한 프로그램이다. 연구는 실험군 33명, 대조군 32명 총 65명을 대상으로 주 3회, 총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처치 후에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t=11.280, p<.001)과 운동에 대한 구체적 자기효능감(p<.001), 자가간호행위 정도(p<.001)가 높게 나타났고, 수축기 혈압(p<.001)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12주간의 자기효능증진 노인 운동프로그램은 고혈압 노인의 간호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