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잇솔질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 지식 및 실천정도 분석 (The Analysis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Actual Oral Health Care of Middle Schoolers in Some Regions)

  • 이춘선;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7-122
    • /
    • 2008
  • 중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교육 활성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한 본 연구는 중학교 재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인식 지식 및 실천정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정도에 있어 관심이 있는 경우가 56.7%인 반면, 별로 관심이 없거나 전혀 관심이 없는 경우도 43.2%나 되었다. 2. 현재 인지하고 있는 구강상태 정도는 '건강하다' 가 36.7%, '무언가 이상이 있거나 충치 및 잇몸병이 있다' 응답한 경우가 63.3%로 나타났으며, 구강에 나타나는 증상 및 증후의 자기평가 정도는 턱관절 관련 25.8%, 잇몸질환 관련이 30% 정도 인지하고 있었다. 3. 잇솔질 습관과 관련하여 점심식사 후 잇솔질을 하는 경우에 있어 여학생(45.2%)이 남학생(13.6%)에 비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잇솔질 방법과 잇솔질하는 부위에 있어서는 남녀간에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구강보건지식에 있어서는 여학생(7.05점)이 남학생(6.36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정도가 높을수록 지식점수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 치과방문경험에 있어서 당분섭취제한 및 주기적 검진의 실천정도는 방문경험이 있는 경우(2.62점, 2.50점)가 방문경험이 없는 경우(2.32점, 1.74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DF

잇솔질 후 양칫물 온도가 구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of rinsing water after brushing on oral malodor)

  • 최우양;김현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65-470
    • /
    • 2012
  • Objectives : In general, the active of volatile compounds which become usually known as the principal ingredient of bad breath is closely connected with temperature.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was made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malodor and the temperature of rinsing water. Specifically, an analysis was made of saliva in rinsing water with relation to amount, flow and pH. In addition, a calculation was made of O'Leary index.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for oral malodor reduction plans. Methods : A total of 30 women who are in their 20s without any systemic disease and teeth braces and non-pregnant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 research was carried during 3 weeks from 28 Mar to 11 Apr in 2011. Results : Saliva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rinsing water, in connection with saliva amount, saliva flow and saliva pH. The O'Leary index and oral malodor was the highest in warm water, but the subjects preferred rinsing with cold water. Conclusions : In conclusion, oral malodor was found to be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of rinsing water. Thus, it is recommended to rinsing water with warm water after tooth brushing.

임플란트 환자의 잇솔질 교육경험에 따른 유지관리행태 연구 (Study of maintenance behavior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tooth brushing instruction for implant patient)

  • 전지현;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3-410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healthy implants through finding out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oothbrushing and the oral hygiene management for the implant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maintenance measure. Methods : From April 1 to october 1, 2012, 250 patients in the dental clinic in Daejeon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 As for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oothbrushing, 66.4 percent received the training for toothbrushing and 33.6 percent had not received the training for toothbrushing. Those who brushed three times a day accounted for 74.1 percent. Those who received the training for toothbrushing comprised 56.0 percent and took regular check up of every 6 months. Approximately 50.0% received regular scaling service every 6 months. Periodical medical check up comprised 55.6% among those who received toothbrushing education. Approximately 63.9% thought that periodical medical check up is the most important to maintain oral health. Conclusions : There were important factors for oral health. They were tooth-brushing, the utilization of various oral hygienic products, and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oral hygiene management. The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implemented as regular as possible.

잇솔질 교육 프로그램이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Tooth-brushing Education Program on Oral Health of Preschool Children)

  • 강복희;박선남;송경애;문정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914-922
    • /
    • 2008
  •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 of tooth-brushing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of preschoole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wo kindergartens were selected and 39 preschoolers from one kindergart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ooth-brushing education and 39 from the other kindergarten to the control group. The tooth-brushing education program included 1 session on oral health education, individual tooth-brushing instruction for 1 week and supervised tooth-brushing after lunch for 4 weeks. Oral health behavior including use of tooth paste, tooth-brushing time and method of tooth-brushing, plague,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and dental cari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paired t-test with the Window SAS 9.1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of tooth paste, tooth-brushing time and the practice of correct tooth-brushing and a decrease in plague and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is tooth-brushing education was partially effective in improving oral health of preschoolers.

치과위생사의 자기구강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al Conditions of the Management of Dental Hygienists' Self-Oral Health)

  • 이경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5-49
    • /
    • 2005
  • 본 연구는 구강보건의 전문적 지식과 관리능력을 습득한 치과위생사의 현재 자기구강건강 관리능력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구강관리 능력을 평가하고 공중구강보건의 현장과 치과임상의 현장에서 그 시기에 알맞은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치과처치의 담당자로서 보다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2년 4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설문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설문에 응답한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20-24세가 52.7%, 25-29세가 38.5%였고 81.1%가 미혼이었다. 근무처는 치과의원이 55.6%, 치과병원이 34.3%를 차지했고 근무연수는 0-2년차가 38.5%, 3-5년차가 36.7%였으며 근무처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 수는 4명 이상이 74.6%로 나타났다. 2. 구강위생 지식에서는 치면열구전색과 치면세마가 $3.82{\pm}.39$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잇솔질 교습으로 $3.70{\pm}.53$, 불소도포 $3.70{\pm}.48$, 구강보조용품 사용방법 $3.52{\pm}.63$ 순으로 나타났다. 3. 자기구강위생 관리실태에서는 치과위생사들의 현재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 조사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이 '보통이다' 혹은 '건강하다'라고 지각했다. 잇솔질 횟수로는 전체적으로 3회가 62.1%로 가장 많았고 잇솔질 방법으로는 rolling법이 85.2%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다. 사용하는 칫솔의 종류로는 중간모 69.2%, 부드러운 모 28.4%순이었으며 잇솔질 시간으로는 49.7%가 3분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잇솔질 시기로는 점심식사 후가 27.8%, 아침식사 후가 2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하는 치약에 불소함유 유무는 '예'라고 응답한 수가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잘 모르겠다'가 19.5%, '아니오'라고 응답한 수가 14.2%순으로 나타났다. 사용하고 있는 구강보조용품으로는 구강양치액이 23.1%로 가장 많았다. 치실이나 치간칫솔 사용 여부는 78.1%가 사용한다고 응답하였고 1일 1-2회 사용이 42.4%였으며 1회 소요시간은 1분 미만이 53.8%로 나타났다. 본인의 구강건강관리 활동으로는 식사후 껌저작이 17.2%로 가장 많았고 정기적 치과방문이 8.3%, 금연이 5.3%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치과위생사의 경우 교육기관에서 전문적인 이론 및 임상실습으로 일반인보다는 구강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아직도 불소나 예방치료에 대한 지식과 관리 측면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구강보건을 책임지는 전문가적 한사람으로서 일반인과 환자들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스스로가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이러한 실천은 환자 개개인에게 적절한 구강건강행위의 변화 및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 수 있게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강보건교육에 반영되고 응용되어져야 된다고 사료된다.

  • PDF

장애인 구강건강관리인력에 따른 구강환경관리능력 지수 비교 (The comparison of Patient Hygiene Performance(PHP) Index according to the number of Oral Health Care worker with Disabled)

  • 김소연;김수지;김연선;김지홍;김효진;정승민;홍지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6-126
    • /
    • 2019
  • Objectives: 현재 장애인의 구강건강은 구강건강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가 아닌 사회복지사가 책임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 복지시설에 상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구강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Methods: 2019년 4월 13일부터 2019년 4월 20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o' 장애인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1급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식후 치과위생사 4명과 사회복지사 4명이 잇솔질 시행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전에 사회복지사 4명에게 잇솔질(회전법)을 교육하였으며, 잇솔질 방법과 검사 측정 도구를 통일하였다.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구강보건지식점수 및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 점수의 평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Microsoft Office Excel ver.2016 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산출하였다(N%). Results: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의 구강보건지식 조사에서 모든 문항에서 치과위생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잇솔질(회전법) 실시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연령별, 성별 모든 분류에서 치과위생사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 2차에 걸쳐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잇솔질(회전법) 실시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1차, 2차 모두 치과위생사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 Conclusions: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애인들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 치과위생사가 사회복지사보다 구강건강관리능력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입소시설에 치과위생사가 구강건강관리전문 인력으로 배치되어 장애인 및 사회복지사의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하며,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도 장애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교과목이 개설되어 전문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성인의 비만과 치주질환과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ce of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 이유희;최정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15-222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 비만자를 대상으로 구강관리행태와 치주질환 유병을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4381명의 성인을 추출하였고 체질량지수, 잇솔질횟수, 음주, 흡연 및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빈도 및 카이제곱 검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잇솔질횟수가 많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은 낮아졌고,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잇솔질 횟수가 영향을 주며 두 변수는 궁극적으로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건강이슈인 비만의 경우 구강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구강보건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