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원실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1초

구글 티처블머신을 활용한 정신과적 응급 대상자의 병실 안전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Monitoring Program for Psychiatric Emergency Using Google Teachable Machine)

  • 이은민;김태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613-61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화면을 통해 격리실에 입원한 대상자가 안정 상태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지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프로그램의 동작인식 모델은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을 통해 학습하여 구축되었다. 3개 동작에 대해 900장의 이미지가 사용되었으며, 본 프로그램은 모든 환경을 지원하기 위하여 웹용으로 개발되었다. 모델은 격리실에 입원한 대상자의 상태에 대해 높은 정확도로 판단하였으며, 기존의 격리실 모니터링 시스템에 응용하여 적용가능하다.

일개 대학병원 의무기록정보 통계를 활용한 산부인과 병원경영 예측에 관한연구 (The Research about Expected Hospital Management in Gynecology area based on the Medical Information Record of a University Hospital)

  • 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5-197
    • /
    • 2009
  • 본 연구는 산부인과 내원환자에 대한 미래경영 예측하고자 한 대학병원 의무기록정보통계를 활용하여 외래환자, 입원환자 및 분만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신환환자의 경우 평균 140.9명이었며, 각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 최초년도(2001)에 212.6명이던 것이 최종년도(2007)에는 80.9명으로 약 140여명의 환자가 감소하였다. 입원 실인원의 경우 평균 124.6명이었며, 각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 최초년도(2001)에 144.6명이던 것이 최종년도(2007)에는 104.8명으로 약 40여명의 환자가 감소하였다. 입원 환자 특성 및 분만관련 요인 등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입원환자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입원환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환, 연인원 분만수 등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2.8%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 병원은 마케팅보다 환자관리라는 서비스가 우선되어야 하지만 환자 유인 효과도 현재 무시할 수 없으며 이는 환자의 병에 대해 관심을 써주는 병원의 배려가 신뢰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 (Consultations to Department of Dentistry for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with Dental Trauma)

  • 조찬우;김지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03-41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대한 본원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2011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년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의과에 입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조사 항목으로 협진 의뢰 주소와 치과적 진단명, 협진 의뢰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의 관계, 외상으로 의과에 입원하는 것과 치과적 외상 발생의 관계, 치과적 외상의 원인과 발생 나이, 치과적 외상에 대한 치료, 치과적 외상 환자의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 등이 있었다. 협진 의뢰 주소와 치과적 진단명에서 치과적 외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협진 의뢰과는 외과 계열의 진료과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외상을 이유로 의과에 입원하는 것과 치과적 외상 발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이 있었고, 교통 사고로 인해 의과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100% 치과적 외상이 동반되었다. 입원실에서 발생한 치과적 외상 환자의 나이는 유의하게 적었다. 치과적 외상과 입원 중 치료, 치과적 외상과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교통 사고에 의해 의과에 입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에 대해서 치과적 외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크고, 치과 협진 의뢰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 어린 소아 환자의 경우 입원실에서 치과적 외상의 발생 가능성이 크다. 또한, 치과적 외상 환자의 입원 중 치료와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에 대해 협진 의뢰 체계의 개선, 입원 병동 내 전담 인력 배치와 치과 시설 및 장비 구비, 의과 주치의에 대한 교육, 주치의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과와 치과의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되어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관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일병원 신생아 환자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 (Coloniz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최수영;한상우;윤혜선;기모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11-120
    • /
    • 2012
  • 목 적 :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을지대학교 서울 을지병원 신생아 입원실에 입원하여 MRSA 감시배양검사를 시행받은 1,73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MRSA 감시배양검사는 비강, 서혜부, 직장에서 시행하였고, 퇴원 시까지 매주 반복 시행 하였다. MRSA 감시배양결과에 따라서 보균자와 비보균자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환자 1,733명 중에 415명(23.9%)이 MRSA 보균자였다. 제태기간, 출생체중, 분만 방식, 분만전 산모에게 항생제 투여 여부, 출생장소, 입원전 체류 장소에 따라서 MRSA 보균율에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검사에서 분만전 산모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가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신생아가 MRSA 보균자가 될 위험도가 2.8배(OR=2.77; 95% CI, 1.88-4.07), 출생장소가 외부인 경우가 본원인 경우에 비해서 2.3배(OR=2.28; 95% CI, 1.17-4.42)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MRSA 보균율은 23.9%로 상대적으로 높은 보균율을 확인하였다. 환자특성을 고려하여 추정한 HA-MRSA 보균율은 51/511명(10%), CA-MRSA 보균율은 309/858명(36%) 이었다. 본병원 신생아에서 MRSA 보균과 연관된 요인은 산모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여부와 출생장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재입원 여부에 따른 심질환자의 간호요구 비교 (Comparison in nursing needs of heart disease patien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readmitted)

  • 최영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19-526
    • /
    • 2014
  • 본 연구는 재입원 여부에 따른 심질환자의 간호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심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자기 스스로 직접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입원을 경험하지 않은 신규 환자의 경우 전체 간호요구는 $4.12{\pm}.49$점, 재입원한 대상자는 $3.89{\pm}.63$ 점이었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46). 두 군 모두 간호요구 하위 항목 중 치료중재 간호요구항목이 다른 간호 요구 항목 보다 높았다. 또한 재입원에 따라 두 군 간에 간호 요구 하위 영역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항목이 있었고, 간호 요구 순위도 각각 달랐다. 간호요구 하위 항목 중 신체적, 사회 심리적, 교육적, 치료적 간호요구는 모두 서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에 기초 한 간호수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for Handicapped Patients in Day Care Units: 2 Years' Exper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박창주;염광원;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6
    • /
    • 2002
  • 연구배경: 장애인의 치과치료는 일반인의 치과치료와는 달리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 환자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는 치과마취과를 중심으로 임상 각과가 협진하여 외래마취 기반 하에 1999년부터 장애인 진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치료방법을 소개하고 그 동안 치료받은 장애인 환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마취과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치료받은 총 54명의 장애인 환자들의 치료기록지와 마취, 그리고 회복실 기록지를 검토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전신질환, 수술 전 시행된 검사, 치료에 참여한 협진과, 마취 유도제와 유지제, 총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 그리고 회복실에서 관찰된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58건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한 건의 의식진정 법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sodium, 근이완제는 vecuronium과 succinylcholin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마취 유지를 위해서는 enflurane과 isoflurane의 흡입마취제를 이용하거나 TCI를 이용한 propofol 지속정주를 이용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은 $160.2{\pm}55.5$분이었으며 회복실에서의 체류시간은 $132.8{\pm}50.1$분, 그리고 완전한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병동에 단기 입원시킨 소아환자에서는 $58.7{\pm}16.8$분이었다. 회복실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지속적인 감시를 위하여 4명의 환자가 입원을 권유받았으나 특별한 합병증 없이 다음 날 퇴원하였다. 결론: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은 외래마취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보다 긴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일회 방문으로 장애인 환자들에게 필요한 치과치료를 모두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의료기관 이용자 특성별 차이와 입원만족도, 보건의료 제도 인식과의 관계 (Nursing Service Experience according to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with Satisfaction of Hospitalization and Perception of the Health System)

  • 홍경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672-680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이용자의 특성과 입원 특성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사 서비스 경험과 보건의료 제도 인식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입원 경험이 있는 574명의 응답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입원 전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자 중 10일 이상 입원하였던 대상자의 간호사 서비스 경험 평균이 1~3일, 4~9일 입원한 자의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입원 전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간호사 서비스 경험 평균이 낮았다. 입원실의 변경에 따른 구분에서는 다인실에서 변경이 없었던 대상자에게서만 입원일수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간호사 서비스 경험 평균이 높을수록 입원에 만족하는 군, 보건의료 제도에 대해 만족, 신뢰하는 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입원 경험을 구분하여 간호사 서비스 경험을 해석하여야 하며 간호사 서비스 경험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영향요인을 밝힐 수 있도록 해당 조사에 간호사 배치수준과 같은 의료기관 특성 관련 사항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서울시내 종합 병원 공기중의 미생물 분포 (Distribution of Hospital Airborne Microorganisms in Seoul, Korea)

  • Hong, Jun-Bai;Chung, Yun-Hee;Yun hee Cha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03
  • 서울에 위치한 20개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일반병동 입원실, 환자대기실과 병원 실외 4곳 공기중의 일반 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하였으며, 기회 감염균을 검출하였다. 97-410 cfu/㎥의 일반세균수와 37-77 cfu/㎥의 진균이 검출되었으며 중환자실이 가장 낮은 미생물의 오염도를 보였으며 환자대기실이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18종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Aspergillus spp.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Penicillium, Alternaria, Cladosporium 속 등이 검출되었다. Staphylococcus spp. 중에서는 S. haemolyticus와 S. epidermis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Staphylococcus spp. 중 47%가 중환자실에서 검출되었다.

후두실 탈출증 1례 (A case of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 권우영;손학선;백문찬;김종애;조진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7.1-7
    • /
    • 1977
  • 후두실의 탈출은 Bryce 및 Cranston에 의하면 후두실 점막이 염증성 비후 또는 부종으로 인해 후두강내에 탈출된 것이라고 했다. 환자는 53세의 여자로서 1977년 3월 11일 호흡곤란과 사성의 주소를 갖고 본원에 입원하였다. 입원당시 후두소견은 가성대 하부에 표면이 평활하고 둥근 연홍색의 종물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도를 거의 폐쇄하고 있었으며, 종물에는 궤양은 없었으며 주위 조직에 침윤된 소견은 볼 수 없었다. 경부에는 임파선비대를 촉진할 수 없었다. 호흡곤란이 심하여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후에 직달후두경하에 조직검사를 하였으며, 검사결과는 만성염증으로 판정되었다. 1977년 4월 2일 전신마취하에 후두절개술을 시행하여 후두강을 관찰한 결과, 후두실의 앞에서 뒤까지 전역에 걸쳐 기시된 표면이 평활한 판상의 연홍색 종물이 양쪽에서 상대적으로 후두강내로 자라나와 중앙부에서는 거의 서로 맞닿아 있었다. 제거된 종물의 조직검사 결과도 술전과 같이 염증성비후로 나타났다. 수술후 경과는 양호하여 현재 호흡곤란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음성은 경도의 사성을 호소할 뿐이고 후두강내에는 종물의 재발 증후는 없었다. 본증은 임상증상, 수술시의 후두강 소견 및 조직소견으로 보아 "후두실 탈출증"이라고 진단되었다. 이 후두실 탈출증은 문헌상 희소한 것으로서 일증례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일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진료과별 낙상특성 및 위험요인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n Acute Hospital Setting across Clinical Departments)

  • 장인실;이순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4-27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inpatient fall rat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and to explore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and standardized fall reports of 416 patients admitted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12 were review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atistical tests were used, including: t-test, ${\chi}^2$-test, ANOVA. Results: The total fall rate per 1,000 inpatient days was 0.49. Fall rate,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such as age, type of fallers and mean MFS (Morse Fall Scal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clinical departments. Conclus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all rates,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cute hospital inpatient falls varied significantly across clinical depart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spitals should consider differences in fall related characteristic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when implementation fall preven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