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면특성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픽셀화기법을 통한 건축물 외벽의 하자와 입면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Building Facade Elements and Defects through "Pixelization Method")

  • 김우람;전용덕;신정란;정기창;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0-48
    • /
    • 2016
  • 건설산업은 수요층의 질적 성장에 따른 건축물 설계의 다양화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중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하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오히려 건축물의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때문에 건축물의 특성과 하자에 대한 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념을 건축물 외부에 적용하여 건축물 입면 요소와 하자에 대한 관계를 정량화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에 정성적, 경험적으로 인지했던 입면 요소와 하자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명확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픽셀화기법이라 지칭하였으며, 이는 건축물의 입면을 단위구획으로 구분하여 단위구획의 특성에 따른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화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픽셀화기법을 통해 건축물 입면 요소와 하자에 대한 관계를 정량화하고, 이에 대한 능동적 대처 방안의 기틀을 구축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FACADE특성에 따른 매장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The Visual Expression in a St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Facade)

  • 송인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20
    • /
    • 1998
  • 상업공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현대의 고도 산업사회에서는 대량생산, 대량유통체계의 판매촉진수단으로서 극히 중요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생활의 질적 향상으로 인해 다양화, 개성 화되고 있는 고객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그 역학이 한층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상업건축물의 입면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있어서 매장의 레이아웃을 비롯한 전시공간 설정 및 표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장의 입면 유형은 정보를 제공하는 선전 소구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공간구성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입면을 이루고 있는 도입부공간은 매장의 일부이며 가로(街路)공간과도 관련되어 있어 그 기능적인 문제와 표현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매장과 가로의 양측 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내부와 외부의 절충공간으로서의 도입공간을 중심으로 매장에 있어 서 입면이 갖는 제반 특성을 파악하고 각 특성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매장의 입면유형이 매장환경에 미치는 제반요소인 구획, 유도계획, 배치계획 등과의 관계를 제 조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서울 명동소재의 패션전문매장이 현황조사를 통해 입면 유형과 비주얼 프리젠테이션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개념에 입각한 공간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시환경 이미지 조성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Facade와 Sign(옥외광고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tion factors for making-up Urban im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acade and sign)

  • 우영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3-143
    • /
    • 2000
  • 최근 들어 지방자치제 활성화 방침과 더불어 도시의 특성화가 활발해지고 있다.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로 경관이 절대적인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고, 또한 많은 가로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디자인되어지고 있다. 가로경관을 특성화하는 데는 여러 요인이 포함되나, 그 중 파사드(가로입면)는 가장 일차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지역의 바람직한 특성으로 정체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찾아내기 위함이고, 이를 위하여 지역별 가로의 입면이 조사분석 되었다. 조사대상 지역으로는 가로의 기능과 성격이 서로 상이하여 가로의 특성화가 나타날 것이라 예상되는 전통가로지역(서울, 종로구, 인사동), 아파트 주거단지 상가지역(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개발 신도시지역(대전, 서구, 둔산동)을 선정하였고, 이들 각 지역의 조사 분석된 건물입면 요소는 창문, 입구, 사인물, 쇼윈도우, 출입문, 차양 등이며, 각 요소별로 색상, 재질, 형태, 구조 등의 유형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Evaluation of Old Dwelling Façade Design Factor

  • Park, Jin-A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33-340
    • /
    • 2013
  • 생활양식이나 형태 변화에 따른 전통적인 주거건축들의 전통성, 공공성과 사유권의 균형, 계승 발전, 보존에 부가되는 공동체의 활성화와 효용성 등 환경 개선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들 역사 경관 권역의 경관훼손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 경관의 고유한 특성과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속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면디자인 평가척도 (지붕, 창호, 기둥, 벽면, 마루, 주초석, 기단)를 기준으로 쌍대비교를 실시하여 도출된 Synthetic Evaluation Value를 Fuzzy 방법을 통해 Fuzzy Integral (Choquet Integral) value를 추정하여, 가치속성을 규명하였다. 속성 간 가중치 산정결과에 ${\lambda}$-value를 이용하여 Sensitivity Analysis를 실시하여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가치속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이며, 복합 가치속성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 PDF

파사드의 형태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분석 (The Color Analysis Based on Formative Continuity of the Facade)

  • 송인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45-252
    • /
    • 2000
  • 건축물의 파사드는 상업공간인 경우, 매장의 일부이며 가로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그 기능적인 문제와 표현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매장과 가로공간의 양측면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가로 공간의 구성요소인 파사드와 색채의 상호연관성의 고찰을 통하여 사인물을 비롯한 매장의 디자인 나아가 건축디자인의 색채계획에 있어 형태적 특성에 따른 접근 방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개별 건축물의 특성보다는 2차원적인 건축물의 입면이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명동을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입면 유형에 따른 종횡방향의 연속성과 입면 구성요소의 색채분석을 실시하여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앞으로 도시환경의 색채계획은 결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개의 강조보다는 건축물의 형태적 특성에서 비롯되는 관련성을 고려한 전체 틀 속에서 검토되어야하며, 이는 곧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PDF

빌라 사보아의 건축입면 주시특성 연구 - 건축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Gaze Characteristic of The Villa Savoye -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Architecture Major Group and Non-Architecture Major Group)

  • 조형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724-731
    • /
    • 2016
  • 본 연구는 아이트래킹 기법을 이용하여 관찰자가 빌라 사보아 입면 이미지를 바라볼 때의 주시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이트래킹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피험자를 모집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대상으로는 근대건축을 대표하는 빌라 사보아 주택을 선택하였다. 근대건축 5원칙을 표명하면서 꼬르뷔제는 수평으로 긴 창과 필로티 기둥, 옥상정원 등의 요소를 제안하였으며, 빌라 사보아는 이러한 원칙이 잘 반영된 주택이다. 한편, 실험을 진행하면서 건축 전공 유무에 따른 주시특성의 차이를 알기 위해 피험자를 건축전공자와 비전공자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면적 비율을 반영한 주시빈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현관 및 창문과 같은 개구부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근대건축 5원칙에서 건축입면으로 표현이 되는 요소 중 가로로 긴 창에 대한 시각적 주목도가 다른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건축물을 바라볼 때 건축전공집단과 비전공집단 사이에 주시특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건축 전공집단은 비전공집단에 비해 빌라 사보아를 주시할 때 층별로 골고루 관심을 보이고 있어 건축물의 입면을 바라볼 때 건축 전공집단은 탐색적 주시를 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일조환경으로 본 경북북부지역 뜰집의 건축계획적 특성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Ddeuljip in Northern Area of Kyongsang-Bukdo Focused on Sunshine Environment)

  • 이형삼;김화봉;유재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11-121
    • /
    • 200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rive the quantitative result and method from the solar simulation on the traditional architectonic control methods and their effects for the sunshine on Ddeuljip in Northern Area of Kyongsang-Bukdo Province, Korea. The Ddeuljip(rectangular-shaped housing plan having an inner court) has distinctive form to introduce plentiful sunshine deep inside to the house in spite of disadvantageous condition resulted from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housing composition, that is, Ickrang(linkage block connecting buildings). From the research on the Ddeuljip,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n the plan the sunshine environment was improved by placing the master bedroom on the right diagonally, or projecting it toward the Ickrang when there isn't enough space for the inner court and the Daechung(wooden floored main hall). Second in the elevation specific sunshine control methods were developed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master bedroom, reducing the eaves of south elevation, or differentiating the height of ceiling structure gradually.

한국전통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 분석을 통한 의미 고찰 - 조선조 추사고택을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the composition and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 On Choosa-Gotack in the Chosun dynasty -)

  • 천진희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01-110
    • /
    • 1996
  • 추사고택은 조선조 상류주택의 전형적인 사례로서 실내공간의 구성방법과 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다양한 요인을 배경으로 한 분화과정 속에서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진 전형화 된 공간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계단식의 입면을 구성하는 엄격한 계층성에 의한 장소 성을 표현되는 일례가 되며, 마루와 온돌의 높이는 신분상의 위계질서와 음양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입면을 구성하는 목가구식 구조의 노출천장과 창호는 4계절의 기후변화 속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적합하며, 자연미와 전통적 조형미가 어우러져 한옥 고유 미를 창조하고 있다. 추사고택에서 천장 고와 입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치수를 조사해본 결과, 대청의 입면 적 척도는 각 부재의 치수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치수와 관계가 있었다. 평면 구성상의 특징은 규격화이며, 이것은 칸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둥 간격 차이는 성별, 인체 치수 차이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1칸을 기본 모듈로 하여 규칙적인 공간 단위를 병렬로 증식시켜 확장한 것은 주인의 일상생활이 하인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기 때문에 동선을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은 결과이다. 추사고택 안채는 폐쇄적인 ㅁ 자형, 사랑채는 개방적인 ㄱ 자형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는 조선조의 남녀 지위차등과 내외사상, 그리고 자연 환경 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주거의 평면 구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가 조선시대 상류 주택 중 한 사례에 한정되었으므로, 현존하는 많은 사례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본 연구의 미비점이 보완되어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울산지역 누정의 공간구성과 형태특성 분석 (Analysis for Form and Space Composition of Traditional Pavilion in Ulsan Province)

  • 이재현;이창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82-491
    • /
    • 2011
  • 본 연구는 울산지역 누정(樓亭)의 특성을 현장 문헌조사 통해 고찰하였으며, 목적은 울산지역 누정의 규모 형태 입면 구조 등을 분석하여 형태특성을 규명하여 누정의 콘텐츠화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울산은 1960년대 이후 공업화의 일변도를 걷다가 최근 생태와 문화에 관련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특히 영남의 3대루 중의 하나였던 태화루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언양읍성의 영화루 복원 등 누정에 대한 콘텐츠 개발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울산의 누정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여, 기초자료 확보 및 울산 누정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번의 연구가 있었고, 그 조사결과 울산의 누정은 경주지역의 정면3칸 후면부진입형 강변입지형 누정과 유사함을 찾아내었다. 이는 울산이 고대로부터 경주문화권에 속해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누정이 인접지역간 콘텐츠 융합의 좋은 대상이라는 점을 찾아낸 것에 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