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치위생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19초

임상치과위생사의 성격유형과 직업소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ense of voca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

  • 조미숙;천세희;김창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689-694
    • /
    • 2014
  • Objectives :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ense of vocation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 Methods :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21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the City of Changwon(unified), Busan Gyeongsangnam-d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program. Result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and a sense of vocation was higher for the dental hygienist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ttainment, higher monthly salary,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extroverted personality, and the dental hygienists in a low neurotic group(p<0.001).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results among job satisfaction, personality type and the sense of vocation, a sense of voca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sense of vocation and neurotic tendency have a negative correlation(p<0.01). The results of logistic-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vocation are as follows: education attainment(p<0.001), salary(p<0.05), extroversion(p<0.001) and neurotic tendency(p<0.05). Conclusions : Nature of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fessional vocation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임상 치과위생사의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이혜진;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2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Methods: A total of 190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23 and then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PASW Statistics 26.0. Results: Mean scores for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tention intention were 3.22, 3.46, 3.57 and 3.46 respectively. Retention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0.299), job crafting (r=0.214), and job satisfaction (r=0.649).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job satisfac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retention intention, explaining 24.1% of the total variance (F=4.550, p<0.001). Conclusions: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identified, with job satisfaction emerging 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 retention intention.

포괄치위생관리(CDHC) 과정 적용에 따른 스케일링 경험 대상자의 구강건강신념과 만족도 (Oral health belief and satisfaction after scaling experience with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care)

  • Kim, Mi-Hye;Moon, Sang-Eun;Kim, Yun-Jeong;Kim, Seon-Yeong;Cho, Hye-Eun;Kang, Hyun-Jo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괄치위생관리(Comprehensive Dental Hygiene Care; CDHC) 과정 적용에 따른 스케일링 경험 대상자의 구강건강신념과 만족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9월 20일까지 치과 병·의원에서 스케일링을 받은 대상자 18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chi-square,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건강행태는 CDHC 적용 그룹에서 칫솔, 치약 외 구강관리용품 사용 92.4%(p<0.001), 구강관리를 위한 정기적인 치과 방문이 67.4%였다(p<0.00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신념은 CDHC 적용 그룹에서 연령 '50-65세'가 2.41로 가장 높았고, 사후검정 결과 '20-29세'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01). CDHC 적용 그룹에서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신념은 스케일링 주기 '3개월'이 가장 높았다(p<0.05). CDHC 적용 그룹의 구강건강신념 하위 요소인 유익성(p <0.01)과 중요성(p<0.05)이 높을수록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CDHC 적용이 스케일링 경험 대상자들의 구강건강신념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DHC 과정 적용은 구강건강신념과 만족도를 높이는 매개로써 임상에 더욱 확산하여야 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Emotional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 정경이;한옥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0-28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광주지역의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를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경우 4년제졸업 및 대학원 이상이 3.72,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3.85로, 월 소득 수준은 200만원 미만이 3.76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정소진에서는 연령에서, 이직의도는 연령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에, 치과병원에서 근무한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은 감정소진(r=0.280, p<0.01)과 이직의도(r=0.194,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감정소진은 이직의도(r=0.359,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 5일제 근무를 안 하는 경우, 감정소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감정노동을 완화 및 관리하기 위한 개인 및 조직적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이직요인 연구 (A Study on the Work and Turnover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유은미;한화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6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이직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한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8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무기관별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주 업무는 진료협조가 가장 많았고, 치과위생사가 가장 힘들어 하는 업무에 대해서는 치과의원(54.3%)과 치과병원(30.0%)모두 진료상담으로 조사되었다. 2. 경력별로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견해에서 주 업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진료협조라고 가장 많이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가장 힘든 업무에 대해서는 진료상담이라고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근무기관 별 주력해야 할 업무로는 치과의원(35.5%), 치과병원(50.2%)가 예방치과처치 업무로 조사되었으며, 경력별 주력해야할 업무도 2년 미만, 2-4년, 4-7 년, 7년 이상 모두 예방처치업무가 높게 조사되었다. 4. 개선분야에 있어서 치과의원은 근무환경개선(27.2%), 치과병원은 급여인상(37.1%)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7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치과 위생사들에게선 기혼자 재취업(25.9%)이 높게 조사되었다. 5. 근무기관별 치과위생사의 이직이유에 대해서 치과의원에서 직장상사와의 불화(39.3%)가 가장 많았으며 치과병원에서는 급여 불만족(28.6%)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보건계열학생이 인식하는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Image Perceived by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 김미정;이혜경;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3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후 실무에서 함께 일할 보건 인력이 치과위생사를 어떤 이미지 지각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3월 14 부터 6월 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39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총점은 145점 만점에 86.57점이고, 평점은 5점 만점에 2.99점이었다. 2. 지역별 치과위생사 이미지 총 평점은 지역별로는 대도시 대학생이 89.07점으로 중소도시 학생들 85.03점 보다 치과위생사 이미지 총 점수가 조금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학과별로는 물리치료과가 88.89점, 치기공과, 방사선과는 86.91점, 임상병리과가 83.28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46). 3. 지역별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하위 4개 영역(자질, 역할, 사회참여, 대인관계) 차이는 자질(p=0.000), 역할(p=0.006), 대인관계(p=0.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과별로는 물리치료과 학생이 4개 영역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또한 사회참여영역(p=0.021)과 대인관계영역(p=0.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이미지 형성을 준 복수 응답 문항은 응답자의 67.9%가 '치과(병)의원에서의 치과위생사 모습'에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포커싱적 태도가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cusing manner on job performance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 노은미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6-83
    • /
    • 202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ner of focus and job performa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ability and focusing manner and appreciation of the experience proces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performance ability and focusing manner, r=.161 (p<0.1) and appropriate distance r=.229 (p<0.1) indicated a positive (+)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re type of workplace (β=-0.381), focusing attitude (β=0.166), marital status (β=-0.156), and age (β=0.152). Therefore,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ing and job performance ability, we inte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dental hospital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치과위생사의 스켈링 작업 시 발현되는 두경부 및 견부 주위 근육들의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특성 분석 (Analysis Characteristic the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of Head Neck and Around of Shoulder Muscles Express Scaling Working of the Dental Hygienist)

  • 전은숙;남건우;하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7-442
    • /
    • 2012
  • 이 연구는 20명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켈링 실습 시 발현되는 근육들의 활성도와 통증부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작업자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켈링 시 근활성도의 측정은 free EMG를 이용하였고, 근골격계 통증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Nordicsty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에 따른 스켈링 시 통증의 발현은 팔꿈치, 등, 다리, 무릎, 발목/발은 그룹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 어깨, 손목/손, 허리에서는 자세에 따라 통증의 정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2. 자세에 따른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올바른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승모근과 상완요골근에서 변화를 보였고, 나쁜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후두부근, 상승모근, 상완요골근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근활성도에서 두 군간의 변화양상은 좋은 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나, 나쁜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근활성도가 과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켈링을 실시하는 것이 근육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수 있었고, 앞으로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직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임상치과 핵심역량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dental competencies in dental hygienists)

  • 문소정;노희진;배성숙;김선경;정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1-293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the clinical dental tasks in the dental hygienists using the frequency of dental hygienists' tasks in the Korean dental clinics,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core competencies for achieving these.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evaluation of a self-reported survey. The dental hygienists were investigated upon classification of their tasks into direct and assistant performances, and the dentists were investigated by the competency level of the dental hygienists. The data from 481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67 dentis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excluding the subjects who provided incomplete or inappropriate responses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sults: The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y task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divided into 4 tasks for common dentistry, 4 for periodontics, 5 for conservative dentistry, 5 for pediatric dentistry, 5 for dental prosthodontics, and 3 for dental orthodontics.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y task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performed more frequently of tasks performance than 8.0, and dentists required competenc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most dental hygienists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i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urricula of the universities include the competencies for the students enough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tasks and the core competencies need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a. The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ies need to be agreed by dental hygienists, and it is necessary to be organized as the evaluation guide of the institute of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utilized as the national examination.

임상에서 쓰이는 저 출력 초음파(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가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steoblast like Cell on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Used in Current Clinical Practice)

  • 박상례;김지영;최별보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6
    • /
    • 2014
  • 본 연구는 저 출력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osteoblastlike MG-63 세포에 1 MHz, 3 Mz 강도의 초음파 처리 후 조골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3 MHz 강도의 주파수를 osteoblast-like MG-63 세포에 처리한 결과 7일 후 성장률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저 출력 초음파가 골의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였을 때 ALP, osteocalcin, VEGF, colla 1A1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1 MHz 주파수 처리시 integrin alpha 2의 발현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osteonectin, osteopontin, fibronectin, MMP 2 등은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저 출력 초음파 장치는 뼈 치유 촉진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켜 구강 내 외과적 수술 시 골 치유 촉진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임상에서 골 치유 촉진을 위한 장비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