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치과교과목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포커스 그룹을 이용한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Dental Hygienist by Focus Group Interview)

  • 최진선;마득상;정세환;박덕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임상가와 교육자의 견해를 확인하기 위해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교수의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고, 각 초점집단의 견해를 해석하고 개념화하여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교육시기와 방법', '교과목 표준화와 교육환경',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인식'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교육시기', '교육방법', '임상현장실습', '표준화된 교과목의 부재', '교수역량 향상', '평가방법', '국가고시 도입', '교수와 학생의 태도'라는 8개의 하위범주를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인문사회학적 소양은 대학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다만, 치과위생사 초점집단은 임상현장에서의 시행착오적 학습도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강조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대학졸업 이후에도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연속성을 위해 보수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치과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불만사례를 적용한 역할극을 요구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교과목 학습목표와 실습모듈 표준화를 요구하였고, 교육 환경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더불어,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담당 교수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연구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계발을 위하여 임상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술기능력평가와 교과목간의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소아치과학의 교육과정 평가 (Evaluating Course of Pediatric Dentistry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ntal Students' Achievements of Subjects and OSCE)

  • 방재범;임재영;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3-259
    • /
    • 2013
  • 본 연구는 졸업시점의 치의학전문대학원생 79명을 대상으로 소아치과학 OSCE(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성적과 이전까지 이수한 소아치과학 교과목들 성적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소아치과학 교육과정 운영을 평가하고 발전적 시사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소아치과학이론 교과목은 이전 이수과목인 임상전단계실습 성적(r = 0.449, p = 0.000), 이후 이수과목인 임상실습성적(r = 0.437, p = 0.000)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졸업시점의 OSCE성적은 단지 임상전단계실습 과목 성적(r = 0.302, p = 0.003)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OSCE 신뢰도가 Cronbach's ${\alpha}0.733$을 고려하면 OSCE 자체 문제보다는 교육과정 상에 있어서 임상실습 교과목 운영에 문제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치과대학병원에서 교수의 특진을 선호하고 학생들에 의한 진료를 기피하는 진료 현장에서 학생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도와 피드백을 통해 임상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생 지도를 위한 교수 수 확보와 같은 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이론적 지식 및 술기교육이 임상진료 현장에서 잘 적용되고 심화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평가와 함께 임상실습 단계에 있어서도 기본적 술기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평가가 점검되도록 하는 실질적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치과임상교과목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Dental Clinical Course)

  • 이선미;류정숙;안세연;임미희;한지연;전미경;이현옥;원영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2-279
    • /
    • 2015
  • 임상교과목 위주로 각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과목에서 중복되는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역할 중심의 임상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임상교과목 7개 교과목은 구강악안면외 과학 4종, 치과보철학 3종, 치과보존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치주학 5종, 치과교정학 5종, 치과재료학 2종으로 평균 3.7권의 교재가 출판되고 있었다. 이중 치과교정학과 치주학은 5종으로 가장 많이 출판되고 있었으며, 치과재료학은 2권으로 가장 적게 출판되고 있는 교과목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과임플란트"의 경우 구강악안면외과학 3종, 치과보철학 2종, 치주학 5종, 치과재료학 2종의 4개 교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수복치료"는 치과보존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그리고 치과재료학 2종의 3개 교과목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교합 및 부정교합"은 치과보철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그리고 치과교정학 5종의 3개 교과목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악관절 질환"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치과보철학 3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마취 진정요법"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소아치과학 3종에서, "치아의 외상"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소아치과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전신질환과 치과치료"는 구강악안면외과학 3종과 치주학 3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과 기공"은 치과보철학 2종과 치과재료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방습법"은 치과보존학 3종과 소아치과학 2종에서, "치아우식", "치수치료"는 치과보존학 3종과 소아치과학 4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아미백"은 치과보존학 2종과 치과재료학 1종에서, "치수보호"는 치과보존학 2종과 치과재료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소아치과학 4종과 치주학 5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치아의 발육"은 소아치과학 3종과 치과교정학 5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임상교과목 교재의 질적인 성장을 위하여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세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사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연구 (Comparison of Curriculum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for B. S Degree)

  • 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51-258
    • /
    • 2005
  • 학사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 미국 일본의 학사학위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구강생물학 영역에서는 구강해부학, 치아형태학, 구강조직학, 구강병리학을 개설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이들 교과목에 대하여 광역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구강생리학을 개설한 대학은 없다. 2. 치과임상학 영역에서는 구강방사선학, 치주학, 치과재료학, 동통관리 등을 주로 개설하고 있다. 3. 공중구강보건 영역에서는 주로 지역사회구강보건학과 구강 보건교육학을 개설하고 있다. 4. 임상치위생 영역에서는 대부분의 대학이 통합교과를 편성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 임상실습을 구분하고 있다. 5. 일부 대학에서 치과의료관리학, 의료법과 윤리 등 치과의료관리 영역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6. 많은 대학이 치위생연구, 치위생연구방법론 등 치위생 연구 영역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7. 교육과정의 편제는 전문학사학위과정, 학사학위과정, 학위완수과정, 원격교육과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제간 연계성이 확립되어 있다. 8. 치위생(학)과 진입및 편입을 위한 선수과목으로 영어, 글쓰기, 사회학, 심리학, 생물, 화학을 요구하고 있다.

  • PDF

치위생(학)과 임상실습 표준화 방안 (Study of Clinical Practice Standardization in Dental Hygiene)

  • 신선정;김미정;양진영;유지수;정아연;신명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7
  • 전국 82개의 치위생(학)과의 임상실습 교과목은 필수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임상실습 기관은 대학병원부터 개인 치과의원까지 범위가 넓고, 실습시간별 교육환경이 달라 임상실습 내용과 평가방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위생학 교육과정과 실무와의 연계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임상실습 표준화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 2차 직무기술서와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임상실습 항목을 목록화 하여 총 156개 항목 중 74개(47.4%)의 임상실습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각 임상실습 내용에 대해 필수 및 선택실습 여부, 실습시기, 활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습일정은 전반부(1주차), 중반부(2~3주차), 후반부(4주차)로 구분하고, 활동방법을 관찰, 준비, 수행, 교육으로 구분하여 임상실습 기관에서 학생들에게 임상실습을 지도할 수 있도록 시범운영을 진행하였다. 각 대학별 교과과정을 기반한 임상실습 내용 배치를 위해서는 임상실습 선수교과목으로 이수한 임상치의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임상실습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여 단계별로 임상실습 내용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임상실습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뿐 아니라 표준화된 임상실습 프로토콜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겠다.

임상치과 영역 교과목 분석을 통한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한국, 일본 일부 치위생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a clinical dentistry course to study the need for integrated curriculum : in the cas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in Korea and Japan)

  • 신보미;배수명;신선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1-34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dentistry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in order to review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field. We collected the clinical dentistry syllabi for 2015-16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of Korea G University and Japan N University. Using the data from Korea, items that were duplicated and integrated were classified by the subjects covered in clinical dentistry. In addition, through case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Japan,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credits, class hour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by subject. In Korea the total class hours in clinical dentistry, including clinical practice, was 1,095, and in Japan it was 1,104. In Korea, the syllabus covered by each department consisted of about 200 hours centering on theoretical lectures. In Japan, the integrated form of clinical dentistry was taught, and the instructions included all the contents of clinical dental study and also problem-based learning for approximately 100 hours.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s,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dent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education contents of segmented clinical dentistry from the perspective of dental hygiene. It is also important to apply teaching methods that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3년제 치기공과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 일부 치과기공소 소장을 중심으로 - (Study on Acknowledge and State of Clinical Experience for 3-years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 박명자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57
    • /
    • 1995
  •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는 중견기술인을 교육하고 직업교육을 통하여 현장에 취업케 하는 것인바, 치기공과는 치과보철학의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치과에서 의뢰한 치과기공물을 제작할 수 있는 치과기공사를 교육하는 학습내용이 요구된다. 임상실습은 3년제 교과과정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대부분의 전문대학이 임상실습 학점을 강제규정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임상실습은 단순한 실기능력 향상 만을 기대하기보다는 실기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실무적응능력과 취업률의 향상, 그리고 치과기공소의 유능한 기공사의 확보에 있어 임상실습의 3년제 교과 과정중 가장 중요한 점으로 인식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상실습은 본인과 학교의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기관의 임상실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전폭적인 지원이 요구되어야 하며 임상실습은 취업과 연계되어 치과기공사의 질적인 향상은 궁극적으로는 치과기공소의 경영에 유익을 주는 것이다. 3년제 교과과정의 임상실습을 산학협동체제로 교육함에 있어 졸업 후 취업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하는데, 임상실습기관에 대한 사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임상실습기관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임상실습교육의 효율적인 운영과 실습효과의 제고와 이에 따른 취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대학의 서울지역 임상실습기관과 협조 의뢰하게 될 27개 치과기공소 대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와 아울러 전국 14개 전문대학 치기공과 교과과정표에 나타난 임상실습교과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실습기관 대표자의 연령은 35-39세가 40.7%로 가장 많았고, 남자가 96.3%로 대부분이며 학력은 전문대 졸업 이상이 97.5%와 경력 10년 이상이 92.6%이며 85.2%가 도재기공물 분야에 주력하고 있었다. 교육을 위한 세미나실이 준비되어 있는 기공소는 29.6%였는데, 건평이 40평 이상인 기공소에서는 11.1%로 가장 높았고, 30-34평과 35-39평이 각각 7.4%였다. 치과기공소의 경영측면에서 치과기공소에 제작하는 기공물의 종류를 보면, 전 분야의 기공물을 제작하는 곳은 29.6%였으며, 교정장치물 또는 토재기공물의 단일 품목만을 전문으로 하는 곳은 각 각 7.4%와 3.7%였다. 거래치과수는 30-39개소가 40.7%가 가장 많았고, 1일 의뢰 건수는 10-19건수가 40.7%가 가장 많았고, 의뢰받은 기공물의 제작기일은 77.8%가 3-4일이었다. 임상실습에 대한 협조 의뢰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한 후 수락하겠다가 51.9%, 순서대로 수락하겠다가 36.0%였고 교육가능 인원은 1개 대학 3명까지가 40.7%, 2개 대학 3명까지가 37.0%였다. 기공소 대표자 3년제 교육과정 연장에 따라 졸업생에 대한 견해는 3년제 교육과정 교육연한의 연장으로 인한 3년제 졸업생들의 초임을 포함한 임금에 대한 견해는 지급 수준보다 높아야 한다가 44.4%, 그렇지 않다가 55.5%로 더 높았고, 3년제 졸업생들은 2년제보다 치과기공사로서 직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은 74.1%나 되었고, 교육과정 연장에 따라 이론 및 실기 모두가 향상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51.9%, 실기면에서 우세할 것이 29.6%, 이론이 향상할 것이다는 14.8%의 순서로 96.3%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임상실습시 기대는 단지 실습기회만 제공한다가 59.3%였고, 임상실습시 별 문제가 없었다가 33.3%였으나 시간낭비와 번거롭다가 25.9%, 29.0%였으며, 임상실습시 강조점은 투철한 직업관 확립이 44.4%로 가장 높았다. 본 대학 임상실습기관으로 협조 의뢰 할 치과기공소는 임상실습을 위하여 선별된 것으로 비교적 규모면에서 면적이 널고 경영상태가 양호하나, 대부분의 기공소는 경영규모가 영세하고 작업 환경이 열악하므로 실습생을 교육할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임상실습기관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임상실습기관인 치과기공소는 단지 실습지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입장에서 실습지도를 할 인력이나 시간도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학교 간의 일정한 시간 차를 두어 실습시기를 탄력적으로 운영하며, 치과기공소의 경영유형에 따라 일부 기공물을 제작하지 않는 곳도 있고 또 단일 품목의 전문 치과기공소도 있어서 이들은 상호 연결하여 실습생들이 실습기관을 순환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학협동차원에서 임상실습이 취업이 연계될 수 있도록 인턴사원제로 적극 활용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위생과정에 기반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역량 개발을 위한 타당도 평가 (Validity assessment for competency development in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 최진선;신선정;신보미;이효진;윤혜영;배수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56
    • /
    • 2024
  • Objectives: Before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ompetency development as a foundational educational objectiv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clinical dental hygiene with secured validity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Methods: Dental hygiene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within the dental hygiene process stages, and questions were formulated accordingly. A Delphi survey involving ten qualified experts was conducted to refine the final items based on their review opinions. Results: The expert Delphi survey confirmed that all items met stability criteria, with CVI values of 0.80 or higher, CVR values of 0.60 or higher, and a CV coefficient of variation of 0.5 or less. In total, 42 items were derived. Conclusions: Clinical dental hygiene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pecialized dental hygienists if th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well applied to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operations.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 이희수;장경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1-338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2015년 2월 28일부터 2015년 4월 28일까지 부산 경남 일부지역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54명을 최종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자아개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치과위생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소진과 비판적 사고는 간접영향, 자아존중감과 셀프리더십,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도록 치위생 교과목에서의 교육기회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되어야 하며, 치과 병 의원에서도 실무적인 세미나와 치과위생사의 개인적인 내적 성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치과위생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환자들의 양질의 진료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치위생학 교과목 문제중심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experience of clinical dental hygiene among students in dental hygiene)

  • 최진선;배수명;신선정;신보미;이효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1-459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improve integrated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clinical dental hygiene through in-depth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trained in PBL modules. Methods: A total of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grade distribu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e. Three participants each were from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using a developed questionnaire. All contents of the recorded FGI were used to draw the main results while maintaining the core contents Results: The themes derived through the FGI were confirmed by 'advantages of PBL', 'competencies developed through PBL', 'teamwork experienced in PBL', 'required competencies for PBL team activities', 'differences in contribution among team members', 'satisfaction with PBL', 'improvements to PBL', and 'trial and error experienced in PBL'. Conclusions: The PBL was a useful for improving the integrated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useful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