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Dental Clinical Course

치과임상교과목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 Lee, Sun-M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nam Health University) ;
  • Yoo, Jung-So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angdong University) ;
  • Ahn, Se-Yo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nam Health University) ;
  • Lim, Mi-H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anyang Women's University) ;
  • Han, Ji-Yo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aekseok Culture University) ;
  • Jun, Mi-K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and Oral Health,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Lee, Hyun-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 Won, Young-So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이선미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류정숙 (강동대학교 치위생과) ;
  • 안세연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임미희 (한양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 한지연 (백석문화대학교 치위생과) ;
  • 전미경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 이현옥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원영순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5.03.18
  • Accepted : 2015.04.27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which could suggest a direction of role based efficient integrated clinical education by avoiding duplicate of contents through analyzing clinical courses. Among the 7 clinical courses, orthodontics and periodontology were the most published subjects which were published in 5 kinds of books and dental materials was the least published subject which was published in 2 kinds of books on investigation of overlapping contents based on titles that appeared on chapters and verses of all textbooks for clinical courses. Dental implant was covered in 4 subjects such as oral maxillofacial surgery, prosthodontics, periodontology and dental materials which was the most number. Other overlapping contents were restoration treatment, occlusion and malocclusi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s, anesthesia sedation, tooth trauma, systemic disease and dental treatment, dental casting, isolation techniques, tooth bleaching, pulp protection, gingivitis periodontitis, tooth development, etc. Reviews of textbooks of clinical courses should be conducted in a detailed manner by systematic, various studie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the textbooks.

임상교과목 위주로 각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과목에서 중복되는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역할 중심의 임상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임상교과목 7개 교과목은 구강악안면외 과학 4종, 치과보철학 3종, 치과보존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치주학 5종, 치과교정학 5종, 치과재료학 2종으로 평균 3.7권의 교재가 출판되고 있었다. 이중 치과교정학과 치주학은 5종으로 가장 많이 출판되고 있었으며, 치과재료학은 2권으로 가장 적게 출판되고 있는 교과목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과임플란트"의 경우 구강악안면외과학 3종, 치과보철학 2종, 치주학 5종, 치과재료학 2종의 4개 교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수복치료"는 치과보존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그리고 치과재료학 2종의 3개 교과목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교합 및 부정교합"은 치과보철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그리고 치과교정학 5종의 3개 교과목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악관절 질환"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치과보철학 3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마취 진정요법"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소아치과학 3종에서, "치아의 외상"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소아치과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전신질환과 치과치료"는 구강악안면외과학 3종과 치주학 3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과 기공"은 치과보철학 2종과 치과재료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방습법"은 치과보존학 3종과 소아치과학 2종에서, "치아우식", "치수치료"는 치과보존학 3종과 소아치과학 4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아미백"은 치과보존학 2종과 치과재료학 1종에서, "치수보호"는 치과보존학 2종과 치과재료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소아치과학 4종과 치주학 5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치아의 발육"은 소아치과학 3종과 치과교정학 5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임상교과목 교재의 질적인 성장을 위하여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세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서 론

치위생학은 ‘구강건강의 예방적 관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구강질환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대상자의 행동관리가 핵심적 내용이다.’라고 정의1)하고 있다. 더불어 치과위생사의 업무의 범위를 살펴보면,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근거하여 ‘치과위생사는 치석 등 침착물 제거, 불소도포, 임시충전, 임시부착물 장착 및 부착물 제거, 인상채득, 교정용 호선의 장착 및 제거, 그 밖의 치아 및 구강질환의 예방과 위생에 관한 업무에 종사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

치위생 교육은 1965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어 현재 82개 대학에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고 하고 있으며, 지난 50년 동안 치위생 교육과정에 관한 학제의 변화, 치과위생사의 양적인 확대와 업무의 범위 및 근무분야의 변화가 있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치위생 교육은 선행 연구3,4)와 논의들을 통하여 이미 지적된 바와 같이, 첫째, 교과목이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교과목의 수가 많고, 중복된 교수요목이 많아 비효율적이며 학습 부담이 많다. 둘째, 교과영역ㆍ과목명ㆍ교수요목이 치의학의 학문체계와 치과대학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에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나치게 세분화된 교과목에 의한 단순 지식 전달의 치위생 교육과정은 최근 치과위생사에게 다양하고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는 시대에 치과위생사의 역량을 극대화하지 못하며 단순한 기능인력 배출에 머무르게 되므로 양질의 치과위생사 양성에 제한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각 분야에 맞는 지식과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통합교육과정은 통합된 교과목을 학점수를 줄이면서도 필요한 내용을 다룰 수 있는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여러 연구3-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치과위생사의 교과목을 통합의 형태로 제시하고자 하는 이유는 기존의 교과목에 있었던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하나의 교육내용을 여러 측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높이며, 불필요한 부분은 삭제하고, 역할에 필요한 내용을 강화함으로써 역할중심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3).

다른 학문에서 보면 어떤 과목을 가르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그 과목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한 합의이며,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이를 위해 교과영역과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6,7)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치위생학 영역에서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교육과정 운영실태, 교과목 탐색, 교육과정 비교ㆍ분석 등8-12)은 이루어져 왔지만 교과목을 통합하기 위한 내용분석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현재 치위생(학)과 교과과정 중 실습을 제외한 기초치위생, 임상치위생, 사회치위생 교육치위생 등의 분류 중 주로 치과대학 교육과정과 동일한 과목임을 알 수 있는 임상치위생(치과임상)과목 즉 치과보존학, 치과보철학, 치주학, 구강악안면외과학, 소아치과학, 치과교정학, 치과재료학으로 구분되어있는 임상교과목 위주로 각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의 과정과 각 과목에서 중복되는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역할 중심의 임상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임상교과목의 모든 교재였으며, 교재의 발행일이 2010년 이전인 경우는 현재 교재 사용 여부에 대해 출판사에 유선상으로 확인 후 제시하였다. 또한 개정본의 경우는 가장 최근의 서적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1) 교재 선정방법

치과임상학 교재에 대한 선정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제외되는 교재가 없도록 여러번의 검색 과정을 거쳤다. 검색은 출판사 홈페이지, 포털 사이트, 인터넷(온라인) 서점, 도서관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였으며, 주제어(keyword)는 학습목표집에 나오는 교과목으로 하였다. 검색과정에서 치과의사 및 치과기공사 전문서라고 제시되어 있는 교재는 제외하였으며, 검색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치위생(학)과 교재가 출판되고 있는 출판사의 홈페이지 검색: 군자출판사, 고문사, 대한나래출판사, 수문사, 현문사 등 ② 포털 사이트 검색: 네이버, 구글 ③ 인터넷(온라인) 서점 검색: 인터넷 교보서점 ④ 도서관 홈페이지 검색: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2) 교재 정리 방법

임상교과목의 모든 교재는 목차를 중심으로 정리하였으며, 목차의 장(chapter)과 장의 하위분류인 절(verse)에서 제시된 제목만을 토대로 공통 내용을 검토하였다. 장의 제목만 제시되어 있고 절의 제목이 없는 경우는 교재의 내용을 검토하여 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교재의 내용에도 절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장의 제목만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목차 검토시 동일한 제목은 문제가 없었으나, 제목이 비슷한 경우는 교재의 내용을 검토하여 동일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반면 목차의 제목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교재내용에 공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비교의 범위를 장과 절로 구분하였기에 공통내용에서는 제외시켰다.

3) 공통 내용 도출 방법

동일한 임상교과목의 교재들이라 할지라도 교재마다 목차의 구성과 표현하는 용어에 차이가 있어, 총 교재 수 중에서 50% 이상의 목차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동일 내용으로 인정하였다. 다시 말해, 「치아 외상」의 경우 총 3개의 치과보철학 교재 중에서 한 개의 교재에서만 다루고 있는 내용이었고, 이는 총 교재 수의 50%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므로 다른 교과목과의 공통된 내용을 검토하는 항목에서 제외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총 교재 수 중에서 공통 내용을 포함하는 교재 수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하여 아래 내용에 제시하였다.

 

결 과

1. 임상교과목 관련 교재 수

임상교과목은 구강악안면외과학, 치과보철학, 치과보존학, 소아치과학, 치주학, 치과교정학, 치과재료학의 7개 과목으로, 그 중 많이 출판되는 교과목은 치주학과 치과교정학으로 5종의 교재가 있었다. 교재 수가 적은 교과목은 치과재료학으로 2종의 교재가 있었다. 11종의 교재가 2013년에 출판되었으며, 2종의 교재는 2010년에 출판되었다. 또한 11∼15명의 저자 수를 가지는 교재는 10종이었고, 단독저자는 1종의 교재가 있었다(Table 1).

Table 1.The Number of Textbooks Related with Clinical Courses

Table 2는 과목별 교재 현황으로 구강악안면외과학은 고문사가 2종이었고, 대한나래출판사 1종, 명문출판사 1종으로 총 4종의 교재가 있었다. 치과보철학과 치과보존학은 각각 고문사 1종, 대한나래출판사 2종으로 총 3종이 있었고, 소아치과학은 모두 4종으로 고문사 2종, 대한나래출판사 1종, 현문사 1종이었다. 치주학은 고문사 2종, 군자출판사 1종, 대한나래출판사 1종, 수문사 1종이었으며, 치과교정학은 고문사 3종, 대한나래출판사 1종, 현문사 1종으로 총 5종의 교재가 있었다. 치과재료학의 교재는 모두 2종으로 고문사 1종, 군자출판사 1종이었다.

Table 2.Textbooks for Each Subject

2. 임상교과목 교재 공통 내용

공통 내용으로 확인된 교과목에 대한 설명은 Table 3과 같다. 「치과임플란트」의 경우 구강악안면외과학 3종, 치과보철학 2종, 치주학 5종, 치과재료학 2종의 4개 교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공통 내용으로 도출된 「수복치료」는 치과보존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그리고 치과재료학 2종의 3개 교과목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교합 및 부정교합」은 치과보철학 3종, 소아치과학 4종 그리고 치과교정학 5종의 3개 교과목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Table 3.aThe percentage of textbooks which contain overlapping contents out of total textbooks.

「악관절 질환」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치과보철학 3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마취ㆍ진정요법」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소아치과학 3종에서, 「치아의 외상」은 구강악안면외과학 4종과 소아치과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전신질환과 치과치료」는 구강악안면외과학 3종과 치주학 3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과 기공」은 치과보철학 2종과 치과재료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방습법」은 치과보존학 3종과 소아치과학 2종에서, 「치아우식」, 「치수치료」는 치과보존학 3종과 소아치과학 4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아미백」은 치과보존학 2종과 치과재료학 1종에서, 「치수보호」는 치과보존학 2종과 치과재료학 2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소아치과학 4종과 치주학 5종의 모든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치아의 발육」은 소아치과학 3종과 치과교정학 5종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었다.

 

고 찰

어떤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그 분야의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활용되는 교육자료가 교재이다13). 임상교과목의 교재들은 치과 임상에서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본 자료이며, 교과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통일성 있고 체계적인 수업자료이다. 이러한 교재를 분석하는 일은 교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은 기초치위생, 임상치위생, 사회치위생, 교육치위생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임상치위생 교과목 위주로 각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과목에서 중복되는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역할 중심의 임상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진행된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다.

Lee14)는 치과재료학 교과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이라는 연구에서 임상교과목 중 치과재료학에 대해 검토한 바 있으나, 모든 임상교과목의 교재에 대한 분석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담6,7,13) 및 교직15,16) 관련 교재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한 Kang7)은 상담자가 제공하는 전문적인 서비스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어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으므로 교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또한 Choi17)는 새로운 교재가 지향하고 있는 바를 이루기 위해 강의 개선 방안을 연구하고 있고, 더 나은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교재 분석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양질의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해서 임상교과목 뿐 아니라 기초치위생, 사회치위생, 교육치위생 분야 역시 교재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교재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주제7,13), 페이지 수6), 저자의 수와 저자의 소속 및 장 주제의 체계15)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교재의 분석을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고려16,17)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목차의 장과 절을 중심으로 공통 내용을 정리하였는데, 이는 각 과목에서 중복되는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이 달성 가능하리라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검토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재를 판단하는데 있어서도 신중을 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선행 연구들과 같이 향후에는 교재 내용을 함께 검토하는 등의 광범위하고 정확한 분석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임상교과목 7개 교과목은 평균 3.7권의 교재가 출판되고 있었고, 치과교정학과 치주학은 5종으로 가장 많이 출판되고 있었으며, 치과재료학은 2권으로 가장 적게 출판되고 있는 교과목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과목에 따라 다양한 교재들을 보유하고 있어 선택의 폭이 그만큼 크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라 할 수 있지만 Kang7)의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어떤 내용을 포함하는가에 따라 교육의 편차가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교재의 다양성을 부정적인 측면으로도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치위생(학)과에서 사용되는 교재들은 학습목표집에 근거하여 교재가 집필되고 있기 때문에 교재의 다양성을 부정적인 부분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임상교과목 교재의 저자 수를 살펴보면, 단독 집필은 1권이었으며, 대부분이 치위생(학)과 교수들의 공동 집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교과목은 다루어야 하는 내용의 광범위성 및 이론과 임상의 복합성 등을 고려할 때 단독 집필보다는 공동 집필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임상교과목은 임상 현장에서의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이므로 교육기관의 전문가뿐 아니라 치과 임상 경험이 풍부한 치과위생사도 함께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공통적으로 가장 많은 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은 「치과임플란트」로, 구강악안면외과학, 치과보철학, 치주학, 치과재료학의 4개의 교과목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치료 방법의 변화에 따라 최신 흐름에 맞춰 임상교과목에서 임플란트을 다루는 비중이 커지는 것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목이 같다고 해서 실질적으로 교재 내용에서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혹은 각 교과목의 특색에 맞는 내용과 관련된 임플란트의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재의 내용을 검토할 필요성이 한번 더 강조되는 부분이라고 본다. Kang7)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범주의 비율만을 보고 특정 교과목의 교재에서 많이 다루고 있는 내용이라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한 바 있다.

그 외 공통적인 내용으로는 수복치료, 교합 및 부정교합, 악관절 질환 등으로 총 15가지의 내용이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통합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교재의 내용을 면밀하게 살펴보아 같은 내용의 반복이라고 판단되는 부분들은 교육의 중복성을 고려할 때 제외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교재 검토시에 누락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번의 검색과정을 거쳤다. 하지만 목차의 제목만으로 공통 내용을 찾아 내는 것이 쉽지 않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치위생학의 교재와 관련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현실에서 처음으로 임상교과목 교재를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향후 임상교과목 교재의 질적인 성장을 위하여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세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임상현장에 적합한 전문성을 가진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하여 다른 분야의 교과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본다.

References

  1.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olicy manual.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Chicago, pp.3-6, 2014.
  2. Kang BW, Kim EK, Kim JA, et al.: Medical law. 10th ed. Komoonsa, Seoul, p.212, 2013.
  3. Hwang MY: The development of an intergrated curriculum model for dental hygienis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02.
  4. Han HJ: A case study on the intergrated approach for the improvement of dental hygienics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011.
  5. Harden RM: The integrated ladder: a tool for curriculum planning and evaluation. Med Educ 34: 551-557, 2000. https://doi.org/10.1046/j.1365-2923.2000.00697.x
  6. Kwan HY, Lee YJ, Ki JH, Lee SY, Kim CK: The content analysis of introductory counseling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7 universities in major cities. Korean J Couns 12: 621-634, 2011. https://doi.org/10.15703/kjc.12.2.201104.621
  7. Kang HY: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J Pract Eng Educ 5: 91-99, 2013.
  8. Won BY, Hwang MY, Chun SY: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ental hygiene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America. J Korean Soc Dent Hyg 10: 1061-1071, 2010.
  9. Moon SE, Kwag JS, Kim YJ: Class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J Korean Soc Dent Hyg 12: 391-397,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2.391
  10. Won BY, Jang GW, Hwang MY, Kim SA, Jang JH: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J Korean Soc Dent Hyg 13: 1-12,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001
  11. Cho YS: Comparison of curriculum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for B. S degree. J Dent Hyg Sci 5: 251- 258, 2005.
  12. Cho YS, Kim YJ, Ahn GS: An analysis of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USA and in Canada. J Dent Hyg Sci 6: 41-45, 2006.
  13. Kang HY: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focused on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J Korean Ins Ind Edu 39: 23-46, 2014.
  14. Lee MY: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dental material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13.
  15. Kwon CH, Cho HS: Analysis on textbook contents & proposition on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J Korea Content Assoc 12: 512-52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512
  16. Lee DK, Kim EY: An analytic study on the college textbooks for the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J Child Lit Educ 2: 93-108, 2001.
  17. Choi SJ: Review of the university's speech textbooks. Korean Speech Discourse Anal 16: 339-363, 2010.

Cited by

  1. Development of integrated basic dental hygiene curriculum vol.16, pp.2,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