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상적 관찰

Search Result 3,206,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서 슬와건을 한시적 지주로 시행한 구제적 성격의 관절경 봉합술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Salvage Repair including Popliteus Tendon as a Post for Complex Lateral Meniscus Tear)

  • 박상은;김상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10
  • 이 연구는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서 슬와건을 바탕으로 시행한 구제적 성격의 관절경 봉합술의 임상 결과와 기술적인 방면에 대한 고찰을 위해 시행하였다. 2004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32 사례의 젊고 증상이 있는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환자들을 all inside 방법으로 봉합하였다. 연구는 전향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29.2세(범위, 17~42)이었으며 평균 관찰기간은 42.8개월(범위, 24~50)이었다. 임상 결과는 라이슬럼 스코어(lysholm knee score)와 2차적으로 시행한 관절경 혹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추적관찰은 약 80%에서 시행할 수 있었다. 추적 관찰된 환자들 대부분이 제한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었으며 평균 42.8개월의 추적관찰 동안에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평균 라이슬럼 스코어는 수술 전 65.4(범위는 55에서 75)에서 수술후 최종 추적관찰에서 평균 93.9(79에서 100사이)으로 증가되었다(p<.001). 80%에서 관절경으로 혹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치유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슬와건을 바탕으로 시행한 관절경적 외측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은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가지고 있는 젊은 환자에서 구제적 성격의 시술로서는 효과적이었다.

  • PDF

유전상담 서비스 모델 분석 : 이론적 탐색 (Models of Genetic Counseling Services and Quality Assurance: A Theoretical Inquiry)

  • 전명희;구웬 앤더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24-535
    • /
    • 2011
  • 유전 위험 사정과 상담서비스가 임상실무에 널리 적용되어 감에 따라, 다양한 비용효율 면에서 다양한 상담서비스 모델을 사정하고, 대상자의 임상 요구와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떤 모델이 유용한 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14건의 현장 관찰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3가지 유전상담 모형을 분석하였다. 유전의학 전문가 모델, 유전상담사 모델, 임상연구전문가 모델을 중심으로 각 모델의 구조, 전문가의 역할 및 기능, 목표, 물리적 세팅, 교육도구 등을 분석하였다. 각 모형 안에서 환자에게 기대되는 결과 면에서 질적 서비스가 보장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모형의 상담 전, 중, 후 환자 만족, 지식 변화, 상담 효과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 등을 분석하였지만, 결론적으로 상담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의 구조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상의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기 어려울 것임을 논의하였다.

상아질 이형성증 1형: 증례보고 (Dentin Dysplasia Type I: a Case Report)

  • 류정아;김승혜;최병재;황충주;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18-724
    • /
    • 2007
  • 상아질 이형성증 1형에 관한 증례 보고이다. 상아질 이형성증 1형은 드물게 나타나는 치아 이상으로 상아질 형성 장애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정상이지만, 방사선상 모든 치수강은 폐쇄되어 있으며, 짧고 무딘 치근의 형태 이상이 관찰된다. 조직학적 소견으로 비전형적 골양 상아질 및 소용돌이 모양의 관상 상아질이 관찰된다. 이 증례에선, 혼합치열기에 나타난 상아질 이형성증 1형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 병리학적 소견 및 치료방법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Comparison of Diclofenac versus Dexamethasone for the Treatment of Postcataract Inflammation

  • Lee, Suk Hyang;Suh, Ok Kyung;Jung, Hyun Ah;An, Gi Jung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00
  • 백내장 수술 추 염증치료를 위해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많은 국소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왔다. 최근 NSAID계열의 점안액이 항염증 치료약물로 개발되면서 선택적인 약물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단일치료약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본 연구는 NSAID계 diclofenac 점안액의 백내장 수술 후 염증치료 효과를 스테로이드체 dexamethasone 점안액과 비교하여 단일 치료약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지 연구하고자하였다.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로서 안압이 22 mmHg 이상 당뇨환자, 수술대상 눈에 이미 질환 및 수술 경력이 있는 자를 제외하였다. 백내장 수술 후 항염종 약물로서 diclofenac 또는 dexamethasone을 28일 동안 투여하고 항염증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세극등 검사로저 전방내 염증세포와 결막, 각막등의 전안부 관찰을 수술 전, 수술 후 1, 3, 7, 14, 28일에 시행하였고, 시력검사는 수술 추 7, 28일에 시행하였다. 안전성의 평가는 안압검사와 세극등 검사상 관찰된 이상소견으로 평가하였다. 총 73명의 연구대상 중 dexameasone군은 41명, diclofenac군은 32명이며 두 군간에 나이, 백내장의 심한 정도, 안구질환 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방내 항염증세포수의 감소에서 두 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고, 수술 후 최대 교정 시력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보였다. 안전성에서 안압의 상승이 두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examethasone군에서 1명의 환자가 45 mmHg 이상 증가하여 약물치료가 필요하였으나 diclofenac군에서는 안압이 상승한 환자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효능 및 안전성에서 두 약물간에 통제적,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diclofenac 점안액은 백내장 수술 후 항염증치료제로서 충분한 효과가 있으며 안압상승, 감염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dexamethasone점안액의 대체약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PDF

Stanford A형 급성 대동맥박리증의 외과적 치료 -내막 파열점 위치에 따른 임상경과의 차이- (Surgical Therapy of Stanford Type A Acute Aortic Dissection -Dose intimal tear within replaced aortic segment make any difference in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 조광조;우종수;성시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25-132
    • /
    • 2001
  • 배경 및 목적: Stand A형 급성대동맥박리증의 박리 시발점이 수술치환부위 내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임상적 차이점을 분석하여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본원에서 급성상행대동맥박리증으로 진단되어 상행대동맥치환술을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기록을 근거로 수술 소견 상 찢어진 부위를 발견한 환자 27명을 1군, 발견 못한 나머지 13명을 2군으로 나누고 환자의 술 전 상태와 수술소견 및 술후 경과의 임상적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1군에서 술전에 저혈압, 대동맥판막부전, 심허혈, 신부전 등이 더 많이 발생되었다. 수술 소견 상 대동맥근부 이상은 1군에서 많았다. 가성 내강 내 혈종은 2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술후에 2군에서는 신부전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술후 출혈로 인한 재수술은 1군에서 더 많았다. 조기 수술사망은 1군에 6명으로 사망률은 22.2%이었고 2군에는 사망 례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상행대동맥에서 내막 파열이 발견된 1군에서는 2군에 비해 술전 상태가 불량하였고 대동맥판막 병변으로 수술이 복잡해져 사망률이 높다고 생각된다. 반면 원위부 하행대동맥에서 박리가 진행되어 상행대동맥으로 이어진 2군에서는 1군에 비해 순환 장애로 인해 술후에 신부전이 더 많이 발생되었다. 결론적으로 상행대동맥내막에 파열점이 없었던 군에서 수술 예후는 상행대동맥내막에 파열점이 있는 군보다 더 좋았다.

  • PDF

전치부 개교합을 보이는 퇴행성 관절질환에서 골스캔을 이용한 중심위교합장치의 효과 평가에 대한 임상례 (A Clinical Report on the Effect of CRS Usage in Degenerative Temporomanibular Joint Disease with Anterior Open Bite Applying Bone Scan)

  • 박상배;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3호
    • /
    • pp.289-294
    • /
    • 1998
  • 본 증례는 측두하악관절의 퇘행성 변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의 시행 전에 중심위교합장치를 통해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유도하고, 또한 골스캔을 이용하여 장치의 치료효과를 평가한 임상증례이다. 환자는 24세의 여성으로 5년 전부터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기 시작하였고, 고형식 저작시 좌측 전이부에 간헐적인 통증이 발생한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상 촉진시 양측 관절낭 후방부에 압통을 호소하였으며, 각각 50, 45mm의 최대개구량 및 최대무통성 개구량을 보였다. 좌측 악관절부에서 단순 관절 잡음, 우측 악관절부에서 염발음이 청취되었으며, 저항검사 및 부하 검사에서는 특기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약 7mm의 전치부 개교합의 소견을 보였으며, 파노라마 사진과 횡두개 방사선 사진 소견상 양측 과두의 크기 및 하악지의 높이가 다소 작은 소견이 관찰되었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관찰되었다. 1997년 10월 27일 첫 번째 골스캔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위가 관찰되엇다. 골스캔의 전방 사진에서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좌, 우측 과두부위와 상악 골부위의 가장 어두운 부분의 흑화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3회씩 구하여 평균을 구하고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첫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과두, 상악골이 각각 0.88, 0.81, 1.32 였다. 1997년 11월 4일 중심위교합장치를 장착하였고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1997년 12월 10일 두 번째 골 스캔을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33, 0.37, 088 이었다. 1998년 1월 30일 세 번째 골스캔 소견상 두 번째 골스캔과 비교하여 활성도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임상검사시 무통이었다. 1998년 2월 25일 술 전 교정 위해 중심위교합장치의 장작을 중지시켰다. 1998년 6월 5일 네 번째 골스캔 소견상 이전 검사들과 비교시 흡수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네 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24, 0.19, 0.85 였다. 현재 지속적인 관찰 중이며 본원 교정과에서 악교정수술 위한 술 전 교장을 시행중이다. 결국 첫 번째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은 우측과 좌측이 각각 0.66, 0.61이었고 두 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37, 0.42였고, 네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28, 0.23 이었다. 각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Standard t-test 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골스캔으로 갈수록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어 악교정수술이 필요한 환자에게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위해 중심위교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고, 퇴행성 관절질환의 활성도에 대한 평가시 골스캔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 PDF

CL57BL/6 마우스의 발모에 미치는 목향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Hair Growth in Depilated CL57BL/6 Mice)

  • 김정희;이승욱;백경연;김극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8-9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모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목향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목향 70% prethanol 추출물(ALD)을 제조하여 추출수율과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27.30±0.01과 28.39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extract로 측정되었다. ALD를 제모된 CL57BL/6 마우스에 6주간 경구 투여하며 관찰한 결과, 식이량과 체중 변화에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ALD의 6주간 반복 투여가 주요 장기인 간과 신장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간기능과 콩팥기능 모두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ALD 투여에 따른 모발 성장 정도를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ALD 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판시딜 투여군(양성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발모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낭수와 진피의 콜라겐 생성 정도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및 판시딜 투여군 대비 ALD 투여군에서 두 항목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ALD의 경구 투여는 제모된 마우스 모델에서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진피내 콜라겐 합성 증가와 모낭수 증가를 유도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는 ALD를 함유하는 경구용 발모 촉진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소상이용조류에 관한 관찰-특히 산림실제와의 관련에 대하여 (An Observation on the Birds Utilizing Nest-Boxe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Relation of Birds to Forestry Practice-)

  • 원병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8
    • /
    • 1961
  • 1. 본 조사는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약 4년간 서울 청량리 임업시험장 시험림내 약 5 ha 범위에 가설한 10여개의 소상에 번식한 산림조류의 번식경과미치 이용성적을 관찰한 것이다. 2. 소상이용조류 5 종중 박새 Parus major 짐야잰사두냔,북방쇠찌르레기 Sturina sturnina sturnina, 흰눈섭 황금새가 우점종으로 이용율이 높았다. 3. 박새는 침엽수림내의 우점종으로 특히 타종의 이용권내외의 임상적환경, 소나무, 잣나무 침엽수림내의 소상에서의 이용율이 좋았다. 4. 북방쇠찌르레기는 침엽수보다는 촬엽수와의 혼육림, 특히 도시부근 평지의 소림을 호서식처러 하며 식재한 종자식물 Sambucus latipinna 딱총나무, 벗나무열매를 즐겨 채식하므로 전기 재식종자식물은 본종의 유지번식상 효과적이었다. 5. 흰눈섭황금새는 활엽수나 혼육림내의 우점종으로 소상의 규격 및 구경이 제일 작으므로서 타종의 침해를 받을 우려도 적을 뿐더러 앞으로 보다 높은 이용율을 예상할 수 있다. 6. 소상이용조류중 특히 우점종에 대한 번식경과를 관찰기록하였다. 7. 소상침해동물을 조사 관찰하였다.

  • PDF

시판 사료에 오염된 Ochratoxin A와 Citrinin에 의한 개의 신부전 (Canine Renal Failure Caused by Ochratoxin A and Citrinin in the Commercial Dog Food)

  • 안소저;정석영;임만수;박선일;한정희;김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2-87
    • /
    • 2007
  • 태국에서 생산된 Pedigree사의 개 사료를 1개월 이상 섭취한 5마리의 개가 식욕절폐, 쇠약, 구토, 다음다뇨 증상을 보였으며 증상이 심한 개는 혈액성 설사와 저체온증을 보였다. 특징적인 임상병리학적 소견으로 BUN과 creatinine이 높았으며 일부의 개에서는 GGT, 무기인과 lipase가 높았으나 CBC는 특이적인 임상병리학적 소견이 없었다. 요분석에서는 혈뇨, 저비중뇨, 단백뇨와 calcium oxalate와 유사한 결정이 관찰되었다. 증상이 심한 두 마리는 폐사하였으며 나머지의 개는 사료의 변경과 보조요법에 의하여 점차 회복되었다. 전형적인 병리학적 소견은 신장에서 관찰되어 신장의 위축, 일부 사구체의 모세혈관 충혈, 세뇨관의 미만성 변성과 이영양성 석회화, 세뇨관의 괴사와 재생, 세뇨관 내강 내에 황갈색 판상 형광성 물질 또는 파편이 관찰되었다. 섭취한 사료와 동일한 개봉하지 않은 사료 내의 ochratoxin A와 citrinin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각각 372.8ppb와 8.3ppb가 검출되었다. 병력, 임상증상, 임상병리소견, 병리학적 소견 및 사료 내의 곰팡이독소의 분석을 통하여 ochratoxin A와 citrinin의 중독에 의한 신부전으로 최종진단을 내렸다.

경 엑스선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한 유방 조직의 방사광 영상 (Synchrotron Radiation Imaging of Breast Tissue Using a Phase-contrast Hard X-ray Microscope)

  • 정영주;봉진구;박성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3호
    • /
    • pp.117-123
    • /
    • 2011
  • 방사광 영상은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생물학적 검체의 구조를 관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조직의 고정이나 염색없이 비침습적으로 조직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방사광가속기의 1B2 빔라인에서 개발한 경엑스선(hard X-ray) 현미경을 이용하여 11.1 KeV의 에너지에서 인간 유방 조직의 현미경적 영상을 얻고자 하였으며,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해 동심원 회전판(zone plate)과 위상차 영상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경 엑스선 현미경을 이용하여 유방 섬유낭성변화와 유방암 조직의 방사광 미세 영상을 얻었으며, 이들 영상의 공간 해상도는 60 nm로 각각의 유방 조직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기에 충분하였다. 또한 방사광 미세 영상과 기존의 유방촬영 영상을 비교하였을 때, 방사광 미세 영상에서 각 조직의 특징적인 형태학적 변화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경엑스선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한 방사광 영상은 유방 질환의 진단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임상적으로나 여러 연구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