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자리사업 요구도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 하경분;주민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49-1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중에 공익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환경개선사업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생계비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노인일자사업 중에는 소속기관 실무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통문제로 인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농촌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통편의 제공을 통해 참된 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Impact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신계수;권승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05-115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에서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참여자 교육 만족도가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처 궁극적으로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수행된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업유형, 지역규모, 시도 등을 고려한 비비례층화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에서 세종시는 제외하였으며, 이들 중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한 문항에 무응답 또는 응답 비해당자를 제외시킨 2,0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육 만족도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만족도가 노인 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 심리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와 교육의 직무 활용도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적 효과에는 교육의 직무 활용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자리 참여자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참여자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사업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고령사회 노인빈곤 극복의 일자리사업을 통한 적극적 경제활동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Active Economic Activities by the Job Program to Overcome the Poverty of the Elderly in the Aged Society)

  • 김영철;김서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55-62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서 노인빈곤 극복을 위한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보며, 이에 못지않게 노년기 적극적인 경제활동에 대한 참여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사업의 확대를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노인에 대한 인식 개선, 전달체계 등의 인프라 강화가 요구되며, 이와 관련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하고, 정부에서는 법적인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에 대한 사회적 배려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 정년연장은 노인취업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제도의 정비와 아울러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적 합의가 없는 노인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회적인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노인들은 빈곤의식과 자력갱생 의지가 있어야 한다. 노인은 노인 자신이 자녀를 비롯하여 주위와 사회적 지원만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노인 스스로 경제주체가 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인빈곤의식에 대한 기본적 인식이 필요하고 노인빈곤을 탈출하고자 하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노인 스스로 자력갱생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노인 스스로의 능력에 따른 일자리 선택에 나서야 한다. 결론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은 고령사회에서 노인빈곤을 해결하는 소득증대의 일환이며, 노인들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가 요구된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The Degree of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policy effects of the jop creation project in the Elderly)

  • 고재욱;이동열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209-1228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과 정책효과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제공 코저 한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 10개소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9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15.0·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참여 동기는 생활비 마련과 용돈, 건강유지, 사회참여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개인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사회적 효과 면에서도 사회참여 촉진에 대한 개인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의 만족도는 정책효과를 통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다양한 경험과 경륜은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수준에 맞는 다양한 노인일자리사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국제개발협력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제언: 해외 공여국 사례를 중심으로 (The Policy for the Job Creation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ase Study of Foreign Donor Countries)

  • 한종택;김준엽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295-316
    • /
    • 2017
  • 우리나라의 개발원조 규모는 양적, 질적으로 증가해왔다. 그리고 이에 맞추어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우수한 인재양성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제개발협력분야의 일자리 부족은 중요한 이슈로 대두 되고 있다. 더욱이 공공부문과 개발NGO에 의존하는 국제개발협력 일자리 창출은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런 점에서 민간 개발컨설팅 생태계를 구축하여 국제개발협력분야의 일자리 창출전략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이미 해외 선진국들은 민간 개발컨설팅 시장을 활용해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이 점을 활용한다면 국제개발협력 분야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 된다. 또한,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창출된 고용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용영향평가 지표 개선도 요구된다. 이에 관하여, 본 연구는 해외 선진 공여국 5개국(독일, 일본, 호주, 영국, 덴마크)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민간 개발컨설팅 산업 활성화와 국제개발분야 일자리 창출이 실질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제개발협력 사업으로 창출되는 일자리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민간 개발컨설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 개발 컨설팅 네트워크의 기능확장과 국제개발협력 사업 고용창출 영향평가 지표 개선정책 수립을 제언한다.

전문인력지원사업이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특성을 매개로- (Effects of professional Manpower support projects on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Mediaition effect on Enterprise Characteristics-)

  • 박혜림;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135-144
    • /
    • 2021
  • 코로나 19 사태로 인하여 자영업자 몰락과 일자리 감소 등 사회적, 경제적 양극화 현상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바,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서비스 제공 및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기업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사회적기업은 경제적 가치 창출과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하이브리드 특성으로 인하여 지속가능성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사회적기업의 사업분야와 매칭되는 전문인력 지원이 절실히 요구 되지만 부족한 예산으로 전문인력 지원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인력의 전문분야가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사회적기업 특성을 매개로 연구한바, 전문인력은 기업의 주사업분야 확장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통제 귀인과 활동의 요구-조절-지지 정도 및 통제 전략이 자신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rol Attribution, Demand-Control-Support Model, and Control Strategy on Elderly Workers' Subjective Well-Being)

  • 조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13-26
    • /
    • 2010
  • This study tested the path model with regard to how certain variables (control attribution, demand-control-support of activity, and control strategy) affected the elderly workers' subjective well-being(swb). In the path model,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ttribution. We used demand-control-support of activity, and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strategies as mediating variables. The endogenous variable was each elderly worker's swb. Study participants were 205 elders participating in an "education activity".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data collected from 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Path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secondary control strateg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participants' swb but internal control attribution, demand of activity, and support of activity also positively affected participants' swb. Second, internal control attribution indirectly affected the participants' swb. Finally primary control strategy negatively affected on the participants' swb.

자활분야의 주거복지서비스 변화와 함의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ousing Welfare Service in Self-sufficiency Assistance Program)

  • 서광국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2호
    • /
    • pp.87-95
    • /
    • 2016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2002년 시행되어 온 주거현물급여사업은 "주거급여법" 제정(2014.1.24.)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주거현물급여는 수급자 가구의 주거환경개선과 저소득층의 자활일자리 창출이라는 이중의 목표에 맞추어 13년간 사업이 시행되어 왔지만 각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이를 관리하고 시행하는데 따른 편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이에 그동안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주거분야의 자활기업과 사업단의 매출액, 수익금의 변화와 새롭게 형성된 중앙 단위조직인 전국자활기업연합체가 향후 사업수혜자에 대한 만족도 향상과 제도변화에 따른 대응, 저소득층 일자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수준 향상 가능성과 사업관리체계의 변화요구에 대한 자기노력과 선도적 대응을 요청받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그동안의 주거현물급여사업에 대한 기존연구를 보완함과 동시에 새로운 제도 환경에 맞는 현장의 변화유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응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국자활기업이 저소득 대상에 대한 이해도 높은 특화된 서비스제공, 둘째 전국자활기업을 주거현물급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화된 기관으로 전환 유도, 셋째 공급기관으로서의 수선유지에 대한 업무와 관련된 명시적인 지침의 제시를 통한 제도변화와의 조응, 마지막으로 사업수행과정프로세스에서의 일관된 기준과 절차적 표준화를 위한 혁신이 동반되어야 한다.

브이월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Surveys and Analysis for Improvement of the V-World Service)

  • 강진아;황정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23-32
    • /
    • 2014
  • 최근에 정부에서는 공공정보 공개와 민간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에서는 브이월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브이월드는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개 가능한 공간정보 및 행정정보를 민간에 공개하기 위한 공공 플랫폼이다. 하지만, 브이월드가 플랫폼, 민간협력, 일자리 창출의 창고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이에 국토교통부에서는 현재 브이월드를 고도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장기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브이월드의 고도화 및 중장기 계획 수립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브이월드에 대해 가입자 및 방문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브이월드 서비스 개선 방향, 오픈 API 활용을 위한 개선 방향, 향후 서비스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의 브이월드를 개선하고, 사용자의 활용도가 향상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창업기반 지역혁신형 대학체계 구축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용태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78
    • /
    • 2021
  • 최근 대학을 둘러싼 외부 환경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 입학자원 감소,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청년 일자리 감소 등의 급진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역량 강화 및 고도화, 대외 경쟁력 강화 및 사회적 역할 변화 등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학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대다수의 대학 특히 지방 대학의 경우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해 나타날 다양한 변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는 있다. 지방대학의 위상 약화로 지방대 졸업생의 취업의 질이 낮아지고, 우수 학생의 지방대학 기피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대학의 위기는 특정한 지역의 일부 대학만의 문제가 아닌 현재 우리 사회 전체가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이고 복합적 원인에 기인하여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혁신을 위한 대학 역할 및 활성화 방안 도출 및 지역 혁신에 기여하는 대학의 국내외 우수사례 분석 지역을 중심으로 한 창업 생태계 현황 및 구성 체계, 창업선도대학, 캠퍼스 타운사업 등 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기반 창업 생태계 선도 모델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대학 중심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창업기반 지역 혁신형 대학 모델 발굴 및 제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