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과학기술청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精報) 유통촉진(流通促進)을 위한 정보기술(情報技術)의 활용방향(活用方向)에 관한 조사보고(調査報告) (Report on the Trend of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 김종회
    • 정보관리연구
    • /
    • 제20권1호
    • /
    • pp.139-157
    • /
    • 1989
  • 일본(日本) 과학기술청(科學技術廳)에서는 장래의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 유통(流通)시스템에 정보기술(情報技術)을 활용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그 개요를 소개한다. 조사는 전문가(專門家)로 부터의 청취 그리고 연구개발(硏究開發) 담당자(擔當者)와 각 기관정보관리부문(機關情報管理部門)에 대한 설문조사 및 문헌조사 등의 결과를 중심(中心)으로 정보유통기술(情報流通技術),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용형태(利用形態)의 장래전망(將來展望) 등을 근거(根據)로 새로운 유통(流通)시스템의 검토(檢討)를 함과 동시에 경판신(京阪神) (경도(京都), 대판(大阪), 신호(神戶)의 약칭) 지역(地域)에 있어서의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에 대해 그 활용(活用)의 요구파악(要求把握)과 유통(流通)시스템의 동향(動向)을 분석(分析)하고 지역(地域)에 있어서의 정보유통촉진(情報流通促進)을 위한 과제정리(課題整理)를 하여 종합적(綜合的)으로 분석(分析)하였다.

  • PDF

도표로 본 세계각국 에너지수급계획 - 일과기청 "해외주요국의 원자력개발 보고서"에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7권10호통권56호
    • /
    • pp.72-75
    • /
    • 1987
  • 일본 과학기술청 원자력국은 최근 ${\ulcorner}$해외주요국의 원자력개발에 관한 보고서${\lrcorner}$를 종합정리하였다. 해외전력조사회에 위탁하여 종합분석한 이번 보고서중에서 각국의 에너지$\cdot$원자력개발계획을 다음에 도표로 소개하였다.

  • PDF

최근 일본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송아지 돌연사형 유두분선충증

  • 강영배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8권6호
    • /
    • pp.321-329
    • /
    • 1992
  • '주' 필자는 최근(1992년 3월 5일$\~$30일)에, 한일공동 연구사업 수행을 위하여 일본정부 과학기술청의 <개별 전문가 초청계획>에 의한 초청을 받아 일본 농림수산성 가축위생시험장을 다녀왔다. 본래, 일본에 가게된 주 목적은 '소 타일레리아병에 관한 병원학적 비교연구'이었으며, 진드기 체내 및 우체내에 있어서의 타일레리아 원충의 발육단계별 정밀진단과 정제백신 개발을 위한 생물공학적 기술응용 연구가 주요 과제내용이었다. 마침, 제 113회 일본 수의학회 학술대회(1992년 4월 2일$\~$4일)의 개최가 예정되어 있었고, 이 학회의 <기생충학 분과회 심포지움>의 주제가 '톱밥 축사에 있어서의 새로운 선충성 질병'이었으며, 그 심포지움의 대장으로 예정되어 있는 평 조형 박사(일본 농림수산성 가축위생시험장 기생충연구실 실장)및 공동연구자 중촌의남 박사 등과 접촉하여 연구실 견학 및 토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바 있으며(사진 참조), 관련된 최신문헌을 입수한 바 있다. 본 편에서는, 최근에 일본에서 새로운 기생충성 질병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송아지 돌연사'와 관련하여, 그 병원체인 유두분선충(Strongyloides papilosus)의 감염피해 실태와 인공감염시험 결과 등에 대하여 금년도 일본수의학회 기생충학 분과회 심포지움 주제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해설을 드리고 한편, 유두분선충증의 병원체 및 생활환모형, 감염역학과 감염성립조건, 진단 및 치료대책, 향후 연구문제와 전망 등에 대하여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일본 방위산업 동향

  • 김현보
    • 국방과기술
    • /
    • 11호통권129호
    • /
    • pp.22-27
    • /
    • 1989
  • 2000년경에 출현이 예상되는 마하 2~5의 초음속 여객기에 대해 세계 각국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산성은 1988년의 1천2백만엔의 예산에 이어 금년도에는 "초음속 수송기 개발조사"(6천1백만엔), 대형 프로젝트의 신규테마로서 "초음속 수송기 시스템의 연구개발"(2천만엔), 차기 대표산업 기반기술 연구개발제도의 신규 테마로서 "초환경성 선진재료의 연구개발"(3억1백만엔)을 확보하여 의욕적인 착수를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청이 개발을 추진하여 온 STOL실험기 "비조"는 사실상 프로젝트를 완료하였다

  • PDF

발명계 소식

  • (사)한국여성발명협회
    • 발명하는 사람들
    • /
    • 30호
    • /
    • pp.3-4
    • /
    • 2005
  • `2004 대한민국 특허기술대전` 성황리 개최 - `2004 서울국제발명전시회` 성대히 열리다 - 과학기술자 위한 특허정보 활용전략 세미나 - 한$\cdot$$\cdot$일 3국간 특허협력 가속화 - 상표권 분쟁 예방 위해 상표 이의신청제도 적극 활용 - 부산 동래구청 이춘기씨 `야광 쓰레기 카트` 특허 획득 - 대전 대신고교 `발명 콘텐츠 공모전` 대상 수상 - 특허청, 특허 권리회복제도 도입 - 전자업계 `특허 CEO 포럼` 돛 올렸다 - 에디슨 특허 기록 깬 일본인 발명왕 탄생

  • PDF

특허의 정량적 지표와 동시분류 네트워크를 활용한 반도체 세정장비 분야 국가별 기술경쟁력 분석 (Analyzing Technology Competitiveness by Country in the Semiconductor Cleaning Equipment Sector Using Quantitative Indices and Co-Classification Network)

  • 윤석훈;지일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85-93
    • /
    • 2019
  • 한국은 반도체 산업에서의 독보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장비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세정장비는 반도체 장비 중 한 분야로, 반도체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향후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특허 정보를 분석하여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별 세정장비 분야 기술경쟁력을 파악하고 국가별 중점 기술분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간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세정장비 특허를 검색하여, 정량적 특허분석 및 특허 동시분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과 일본이 이 분야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이들 선도국에 비해 경쟁력이 크게 뒤쳐짐은 물론, 경쟁국인 대만이나 후발국인 중국에 비해서도 우위에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국가별 전문화가 진행되어 있어, 국가 간 협력체제가 원활치 못할 경우 기술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따라서 국내 세정장비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기술역량 확충이 요구된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질적성과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연구 - 삼극특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 Focusing on the Triadic Patent Families -)

  • 안수용;조용희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3호
    • /
    • pp.35-64
    • /
    • 2022
  • 최근 국가연구개발의 집행예산은 증가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양적 성과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질적 성과의 증가세는 양적 성과 대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허등급 및 기술이전효율성이 낮은 기술 등 질적 성과 부진의 원인으로 '건 수' 위주의 성과평가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다양한 '질적 성과지표'를 이용한 성과평가가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질적 성과지표 중 주요국(미국, 유럽, 일본) 특허청에 모두 출원하여 특허의 해외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삼극특허' 창출 과제를 대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질적성과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로서 삼극특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D규모 요인 및 과제특성 요인 중 일부는 삼극특허 창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과분석 측면에서 선행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삼극특허를 관심대상으로 확장하고, 삼극특허 창출의 영향요인을 선형회귀분석(OLS)을 통해 살펴본 초기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지의 종자 결실 및 벌채 유형별 종자 비산 특성 (Seed Fructification and Seed Dispersal Characteristics by Harvest Types in Natural Regeneration Sites of Larix kaempferi)

  • 정준모;김현섭;정상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295-307
    • /
    • 2021
  •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인공림에서 천연하종갱신을 이용한 후계림 조성 방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경기도 가평에 모수작업과 개벌작업을 실시하여 시험지를 조성하고, 2014년에 조성된 경상북도 봉화의 시험지와 함께 천연갱신지의 종자결실 및 종자낙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실이 좋은 해에 V영급 일본잎갈나무의 개체 목당 종자 수는 690,340립이며, 모수가 ha당 25본인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지에서는 ha당 1,380만립의 종자가 결실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자의 비산은 9월부터 시작되었으며, 11월까지 낙하된 종자의 발아율은 종자품질 기준인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갱신유형별 종자 낙하량은 보잔목작업, 모수작업, 개벌작업 순이었고, 보잔목작업이 종자의 균등한 비산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의 천연갱신을 위한 벌채와 갱신상 조성 시기는 종자가 비산하는 9월 이전이 효과적이고, 보잔목작업이 균일한 종자공급에 유리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2018년 태풍 콩레이에 대한 폭풍해일과 파랑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Storm Surge and Wave due to Typhoon Kong-Rey of 2018)

  • 권갑근;조명환;윤성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252-261
    • /
    • 2020
  • 2018년 남해안에 내습한 태풍 콩레이에 의해 발생한 폭풍해일과 파랑을 일본 기상청의 기상자료인 JMA-MSM 기상 예보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의하고 남동 해안의 항만에서 관측된 폭풍해일 시계열 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폭풍해일과 동시에 발생하는 파랑에 대해서는 국립해양조사원과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해상 파고부이 자료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관측한 연안 AWAC 파고계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기상자료에 따른 폭풍해일과 파랑의 정밀도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인 JTWC에서 제공하는 best track을 이용하여 생성된 기압장과 바람장을 이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정도 높은 폭풍해일과 파랑을 추산하기 위해 신뢰도 높은 기상장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적 재난 대응에 있어서의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Application of Social Media for Responding to a National Disaster)

  • 김한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47-153
    • /
    • 2011
  • 2011년 3월 11일에 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은 인적, 물적으로 상당한 피해를 남기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안부 확인 및 피해 복구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가 상당한 활약을 보임으로써 재해 발생 시에 매우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부각되었다. 하지만, 재해 발생의 안전지대라 할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재해 발생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책이나 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국과 국내의 소셜 미디어 활용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기본 재료로 삼아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의 이상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소셜 미디어의 활용 방안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상청이나 소방방재청 등의 관련 기관에서 긴급 상황 시 대국민 의사소통 체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유사시 구조 요청이나 물자보급 요청 등 위치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재난 정보서비스 체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하여 온라인 기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재난 대응 관련 담당자나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