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화 강우유출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 of Building Generalization in a Lattice Cell Form on the Spatial Connectivity of Overland Storm Waterways in an Urban Residential Area (격자형 건물 일반화가 도시 주거지 빗물 유출경로의 연속성에 미치는 영향)

  • JEON, Ka-Young;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137-151
    • /
    • 2017
  • The space between urban buildings becomes a waterway during rain events and requires a boundary condition in numerical calculations on grids to separate overland storm flows from building areas. Minimization of the building data distortion as a boundary condition is a necessary step for generating accurate calculation results. A building generalization is used to reduce the distortion of building shapes and areas during a raster conver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appropriate threshold value for building generalization and grid size in a numerical calculation. The impact of building generation on the connectivity of urban storm waterways were analyzed for a general residential area. The building generalization threshold value and the grid size for numerical analysis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analysis, and the number and area of sinks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values for the building generalization threshold and grid size were taken as the optimal values to maximize the building area and minimize the sink area. With a 3 m generalization threshold, sets of $5{\times}5m$ to $10{\times}10m$ caused 5% less building area and 94.4% more sink area compared to the original values. Two sites representing general residential area types 2 and 3 were used to verify building generalization thresholds for improving the connectivity of storm waterways. It is clear that the recommended values are effective for reducing the distortion in both building and sink areas.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Conceptual Rainfall Runoff model and HEC-HMS in the Jeungpyeong catchment (증평유역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과 HEC-HMS모형 비교 평가)

  • Park, Ki-Soon;Lee, Hyo-Sang;Lee, Mo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7-977
    • /
    • 2012
  • 하천의 유량 측정은 대부분 홍수 예보지역, 댐 상류지역, 대하천 및 유역내 주요지점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으나, 중소하천과 소유역에 대한 관측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중소하천과 소유역 등 미계측 유역에 대한 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적합한 유량 산정방법의 검토를 위해 미호천의 소유역인 증평유역을 대상으로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3개의 토양저류모형과 3개의 유역유출모형의 조합)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적용성 검토를 위해 국내 홍수량산정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으로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6개의 단기 홍수사상을 Monte Carlo 분석(Nash Sutcliffe Efficiency, NSE*)의 목적함수를 통하여 모형 매개변수의 검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의 단기 유출 모의 결과 검정에서 HEC-HMS는 목적함수값 0.06~1.44(NE S*)의 모형성능을 보여주었으며,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은 0.00~0.66(NES*)의 모형성능을 나타내었다.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과 HEC-HMS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통한 검증 결과 HEC-HMS는 0.25(NES*)의 목적함수 값을 나타내었고,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 0.14~0.83(NES*)의 목적함수 값을 나타내었다. 이 중 CWI-3PAR, CWI-2PMP, PDM-3PAR와 PDM-2PMP 모형이 0.16~0.26(NES*)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HEC-HMS 모형의 첨두유량 과소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를 통하여 CWI-3PAR, CWI-2PMP, PDM-3PAR와 PDM-2PMP 모형이 증평유역의 지역화를 위한 단기사상 강우유출모형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유역을 확장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일반화된 결론을 얻을 필요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Suitability map for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빗물 저류 및 침투를 위한 적합도 개발 연구)

  • Kim, Young-Min;Kim, Ree-Ho;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03-1706
    • /
    • 2009
  • 빗물관리시설은 강우, 증발량 등 기상조건과 집수면의 토지이용 및 토양 특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대상지역의 조건에 따라 설치가능 여부, 시설 규모 등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빗물관리시설의 계획 수립 시에는 대상지역의 기상, 지형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분석 기능을 통해 대상 지역의 강우-유출특성, 지형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빗물관리 포텐셜을 분석하였다. 빗물관리 포텐셜은 저류시설을 통해 확보하거나 침투시설로 침투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말한다. 저류 포텐셜은 잠재 지표면 유출량(Runoff potential)으로 산정하였으며, 침투 포텐셜은 일반화된 Green-Ampt 모델에 따라 산정하였다. 산정한 저류 및 침투 포텐셜의 크기, 제약조건인 경사도 등급에 따라 빗물관리 적합도(Suitability map)을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물리적 변수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인자, 빗물관리가 어려운 제약조건들을 추가로 고려한다면 빗물관리시설의 적지 선정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패턴 인식기법을 이용한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

  • 정창삼;허준행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5b
    • /
    • pp.1316-1321
    • /
    • 2002
  • 일반적으로 강우-유출모형은 lumped model과 distributed model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중 비교적 부족한 자료를 이용하여도 개략적 모의가 가능한 전자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들의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모형의 보정 방법에는 크게 시행오차에 의한 수동보정(manual calibration) 방법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자동보정(automatic calibration)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수동보정 방법은 모형 수행결과를 수문곡선의 시각적 비교에 의해 관측치와 비교하여 모형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하에 조정하는 기법이며, 자동보정 방법은 최적화 기법을 이용8하여 특정한 산정기준(estimation criteria)을 최대 또는 최소화시켜 모형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최적화기법은 일반적으로 직접탐색법과 경사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사법은 수렴속도가 빠르지만 편미분에 의해 방향을 찾아가는 방법으로 편도함수가 필요하므로 수문모형에는 적용하기가 힘들므로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보다 많은 컴퓨터 수행시간을 필요로 하는 직접탐색법의 경우 수렴속도는 느리지만, 편도함수를 필요치 않으므로 수문모형의 최적화 기법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직접탐색법에는 simplex-search 법, 패턴인식(pattern-search)법, rotating-direction 법, brent 법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접탐색법의 일종인 패턴인식(pattern -search)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최적화 과정을 모의하였다. 이러한 매개변수 보정모형을 구성한 후 이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출모형인 각종 단위도법들을 결합하는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구성된 모형을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나온 결과를 HEC-1에서 적용되고 있는 단일변량 증감법과 같은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지속적으로 산정하고 일반화할 경우 임의의 유역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에 부합한 매개변수를 정량화 시킬 수 있었다.

  • PDF

Quantified Diagnosis of Flood Possibility by Using Effective Precipitation Index (유효강수지수를 이용한 홍수위험의 정량적 진단)

  • Byeon, Hui-Ryong;Jeong, Jun-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6
    • /
    • pp.657-665
    • /
    • 1998
  • New diagnosing method o flood possibility was proposed. The method can be processed by following steps: first, decide if current available water resources are above normal or not; second, compute a consecutive period above normal; third, precipitation is accumulate through the period; fourth, daily depletion (runoff and evapotranspiration) amount is subtracted from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and remains are translated to one day's precipitation, which is called effective precipitation; and finally, effective precipitation index. the larger effective precipitation index means the higher flood possibility. This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flood event occurr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t late July 1996 and compared with the study by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996). The new method is proven to be much faster in computation, and therefore much better in practical use for emergency situation than current rainfall-runoff models. It is because the new method simplifies some steps of currently used method such as parameter estimation and water level observation. It is also known that new method is more scientific than any other methods that use accumulated precipitation only as it considers the runoff depletion in time

  • PDF

Application of Generalized Transmissivity Decreasing Function in TOPMODEL Operation (TOPMODEL 투수량계수 감소함수 일반화과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Jeong, Seon-Hui;Kim, Sang-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637-647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generalized TOPMODEL approach which introduces the power law of decreasing transimissivity with depth instead of the traditional exponential decreasing function. The 50m digital elevation model(DEM) of Dongkog subwatershed at Wichon Test Watershed was used to perform runoff simulation. Random number generation algorithm was integrated into the calibration process for the reliable of model performance. General power law version of TOPMODEL with exponent 2 and 3 showed higher simulation efficiency than other the approaches.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power law models with exponent 2 and 3 can represent the soil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better than other models.

  • PDF

Research on Design Capacity Evalu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according to Design Criteria (저영향개발 시설 설계 기준에 따른 용량 평가 방법 연구)

  • 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1
    • /
    • pp.59-67
    • /
    • 2022
  • The interest in LID facilities is increasing worldwide for recovery of natural water cycle system to destroy by urbanization. However, problems are raised when installation of LID because comprehensive analysis about design capacity adequacy of LID facilities was not conducted completely. In this research, removal efficiency and design volume adequacy of LID fac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rainfall monitoring data in four LID facilities(Vegetated Swale, Vegetative Filter Strip, Bio-Retention and Permeable Pavement). As a result, group of LID facility designed on WQV was shown higher flow(37%) and pollutants(TSS, BOD, TN and TP) removal efficiencies(20 ~ 37%) than group of LID facility designed on WQF. SA/CA graph was drawn for evaluation of design volume adequacy based on rainfall monitoring data. In this SA/CA grap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show over 0.5 in all parameter, especially, Flow and TP were show over 0.95. And, 'SA/CA & L/CA' graph considering difference of structure mechanism in LID facility suggested in this research was confirmed that improv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flow, TSS and TP than SA/CA graph. According to this research results, feasibility of applying 'SA/CA & L/CA' graph for evaluation of design volume adequacy in LID facility, and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research for generalization and normalization.

Study on the Application Limits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Parameters of Time of Concentration (도달시간 산정공식의 입력변수 적용범위 및 민감도 분석)

  • 김선주;강상진;이광야;박재흥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2 no.6
    • /
    • pp.72-82
    • /
    • 2000
  • Many lot of books introduce the methods to calculate the time of concentration, and these are described as various forms of formulas. There are few formulas appropriate for our basin characteristics Therefone, there are problems to make excessive or less estimation when these formulas are used. To solve these problems, comparison of formulas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them were made with converting parameters. Finally, Time of concentration was estimated to derive Application limits for 3 watersheds by standardized formulas. In the case of input parameters analysis, SCS formula has the highest value by the length, Kerby by the height and SCS by the slope, respectively, while Kraven formula has the lowest value among them. Concerning the relative sensitivity by Taylor series, the time of concentration showed the constant effect while increasing of the length and slope, and the length was more sensitive than the slope in parameters. Finally the standardization formula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derive application limits for 3 watersheds(total 17 subbasins). In this case, Rziha(8 subbasins) and SCS(9 subbasins) formulas were the most similar to observed data of total 17 subbasins respectively. Application limits were about 300~500$\textrm{km}^2$ area, 30~60km length and under 0.01 slope for Rziha formula and about 100~200$\textrm{km}^2$ area, 10~30km length, and over 0.01 slope for SCS formula, respectively.

  • PDF

Development of Empirical Formulas for Storage Function Method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 산정식 개발)

  • Choi, Jong-Nam;Ahn, Won-Shik;Kim, Tae-Gyun;Chung, Gun-H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5
    • /
    • pp.125-130
    • /
    • 2009
  • Storage function method which considers the non-linear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runoff has been frequently used to predict runoff in a basin and a flood pattern. However, it is time-consuming to estimate appropriate parameters of every basin and rainfall event, which requires the empirical parameter equation applicable in Korea.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develop empirical equations to estimate parameters of Storage Function method using basin characteristics. The basin area, maximum stream length, and stream slope are considered as the basin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Collinearity is removed and trial-and-error method is used to choose the most descriptive parameters to the dependent variables in Han River basin which is divided into 30 subbasins. The developed equations are validated using the rainfall events in MunMak gauging station and named as 'Han River equation'. The equation could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about Storage Function method parameter to calculate runoff from a basin and predict river stage.

Study of Runoff Characteristic Analysis in Tidal River Basin (감조하천의 유출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Shim, Eun-Jeung;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34-1838
    • /
    • 2007
  • 감조하천을 비롯한 주요 하천에서 수자원량의 정량화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로부터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는 것은 수문관측의 불확실성과 현장의 열악한 사정 등으로 발생하는 오차들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조위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은 무 강우에도 수위의 변동이 심한 특성으로 수위와 유량의 관계를 규정하는 것은 일반 하천의 경우보다 난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조하천의 유출특성 분석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로 향후 감조하천 구간에 설계되는 수공구조물의 설계, 혹은 치수목적으로 설계되는 유수지 등의 설계에 이용될 유량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유량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상 수위관측소지점의 수위-유량관계곡선식으로부터 수위-수문곡선을 유량-수문곡선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이렇듯 유량자료는 곡선식의 정밀도에 전적으로 좌우되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곡선식 개발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조하천에서의 유량자료 생산과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자, 만경강 수계에 위치하는 목천 지점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2006년 저 평수기 및 홍수기에 걸쳐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다수의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였으나 조위의 영향으로 산만한 수리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감조의 영향권에서 각각의 유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검토하고자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자료실의 조위관측소에서 제공하는 군산외항 지역의 조석예보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유량측정 당시 간조와 만조의 영향권에서 측정이 이루어진 관계로 유량과 유속 등의 수리 특성이 많은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영향으로 목천과 같은 감조하천의 경우, 저수위 측정성과는 그 분산정도가 심해 일반화된 수위-유량관계 곡선의 개발이 의미 없다고 판단되며, 홍수기에 측정된 성과를 바탕으로 고수위대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일부 확인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연하천이 아닌 감조하천의 경우는, 각각의 수위대별 유량 값의 변화가 발생하는 바 기간별 혹은 간조와 만조부를 포함하여 유량측정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