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인공지능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f Generative AI Trends and Applications (생성형 AI 트렌드 및 활용사례 분석)

  • Sungyeon Yoon;Arin Choi;Chaewon Kim;Seoyoung Sohn;Sumin Oh;Minseo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4
    • /
    • pp.607-612
    • /
    • 2024
  • Generative AI is a ty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produces various types of data. With the success of ChatGPT, the generative AI market is blooming. As the generative AI market develops, generative AI is being applied in various industrie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trends, ap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Currently, generative AI is trained on domain knowledge and data, and it is evolving towards Vertical AI. In the future, generative AI could be extended to AGI, which makes decisions and processes on its own like a human, to be used flexibly in various environments.

Auto-Positioning of Patient in X-ray Diagnostic Imaging (진단 엑스선 영상에서 환자 위치잡이의 자동화)

  • Yang, Won Seok;Son, Jung Min;Kwon, Su Ch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2 no.6
    • /
    • pp.793-799
    • /
    • 2018
  • As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ncrease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medical field. In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applied to medical imaging devices such as X-ray imaging, Computer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le of acquiring radiation images of patients without radiologists in the future Medical devices are expected to be invented. This study was an initial study on the automation of patient positioning in X - ray imaging. We used x-ray equipment and human phantoms to evaluate the positioning. The program used Visual Studio 2010 MFC and the image was in the size $1450{\times}1814$. The pixel values were converted to contrasts with values of 0 to 255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output to the monitor. We developed a procedure algorithm program that predicts the angle of the output image through three pixel coordinate values and induces the patient to perform correct positioning according to the voice guidance according to the angle. In the next study, we will stud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o grasp the structure itself and calculate the angle, rather than conveying the reference of coordinates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shooting to positioning through the automation of positioning.

A Study on the Audio Mastering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Experts (인공지능과 인간 전문가의 오디오 마스터링 비교 연구)

  • Heo, Dong-Hyuk;Park, Jae-Roc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3
    • /
    • pp.41-50
    • /
    • 2021
  •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is rapidly replacing human jobs, the art field where human creativity is important is considered an exception. There are currently several AI mastering services in the field of mastering music, a profession at the border between art and technology. In general, the quality of AI mastering is considered to be inferior to the work of a human professional mastering engineer. In this paper, acoustic analysis, listening experiments,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mpare AI and human experts. In the acoustic analysis, In the analysis of audi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professional mastering engineers and the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listening experiment, the non-musicians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ound quality of the professional mastering engineer's work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ork. The group of musicians showed a preference for a specific sound source, but the preference for a specific mastering did not appear significantly. In an expert interview, In expert interviews,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he two mastering services, and the biggest difference was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mastering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In addition, as data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mastering will achieve rapid quality improvement and furthe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ith ChatGPT: Harnessing AI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지하수 수량 및 수질 관리를 위한 ChatGPT의 활용)

  • Eungyu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12
    • /
    • 2023
  • 지하수자원 관리의 정량적 및 정성적 측면에 있어, 최첨단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ChatGPT의 혁신적인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지하수 자료에 대한 분석과 도출된 문제의 중요도에 따른 목표를 설정, 그리고 지하수 관리 전략 개발에 있어서의 ChatGPT 활용 방법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의 개발과 고도화에 ChatGPT가 기여하는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개별 도구들은 지하수자원 관리 결정에 있어 더 나은 예측 및 평가를 제공하여, 지하수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hatGPT의 문제 발견 및 해결책 제안 능력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지하수 관리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식별하고, 이해당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hatGPT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문제에 대한 솔루션 접근 방식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일반 인공지능(AGI)의 개발에 근접하면서 지하수 관리의 자동화 및 가속화 그리고 산업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고도화되고 향상되면서, 지하수 관리 및 관련 분야에서의 의사결정, 계획 수립, 그리고 모니터링과 같은 작업들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하여 토의할 것이다. 본 발표는 지하수 자원 관리 분야에서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 접근법의 가치를 보여주며, 복잡한 지하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첨단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AGI가 등장할 때까지 여전히 요구되는 지하수 분야 도메인 지식과 전문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지하수 관리자들의 도메인 지식과 전문적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 도구와 결합되어 보다 정확한 분석, 예측 및 해결책 도출을 가속화하며 정교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하수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의 인공지능 기술활용은 지속가능한 지하수의 첨단 관리 효과적 달성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KOMUChat: Korean Online Community Dialogue Dataset for AI Learning (KOMUChat :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 YongSang Yoo;MinHwa Jung;SeungMin Lee;Min S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219-240
    • /
    • 2023
  • Conversational AI which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satisfaction is a long-standing research topic. To develop conversational AI, it is necessary to build training data that reflects real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but current Korean datasets are not in question-answer format or use honorifics, making it difficult for users to feel clos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ersation dataset (KOMUChat) consisting of 30,767 question-answer sentence pairs collected from online communities. The question-answer pairs were collected from post titles and first comments of love and relationship counsel boards used by men and women. In addition, we removed abuse records through automatic and manual cleansing to build high quality dataset. To verify the validity of KOMUCha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generative language model learning KOMUChat and benchmark dataset. The results showed that our dataset outperformed the benchmark dataset in terms of answer appropriateness, user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of conversational AI goals. The dataset is the largest open-source single turn text data presented so far and it has the significance of building a more friendly Korean dataset by reflecting the text styles of the online community.

Study of Meta Data for Natural Language Query Processing (자연어 질의 처리를 위한 Meta Data에 관한 연구)

  • 신세영;정은영;김승권;김수영;박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01-209
    • /
    • 2000
  • 정보산업의 발달과 함께 일반 사용자들의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부정확한 자연어 질의 처리를 할 수 있는 인공 지능적인 질의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질의시스템이 자연어 질의를 처리하려면 불확실한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MetaData가 반드시 필요하고, 데이터베이스 분야와 인공지능 분야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MetaData의 정형화 및 분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퍼지이론, 확률이론을 기초로 하여 소속척도, 근접추론, 유사관계, 데이터마이닝 기법 등을 이용하여 MetaData를 정형화하고 분류하였다.

  • PDF

Multi-Category Sentiment Analysis for Social Opin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적 여론에 대한 다 범주 감성 분석)

  • Lee, Sang Won;Choi, Chang Wook;Kim, Dong Sung;Yeo, Woon Young;Kim, Jong Woo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4
    • /
    • pp.51-66
    • /
    • 2018
  • As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ave been swiftly evolved, a lot of products and services are under development in various fields for better users' experience. On this technology advance, negative effects of AI technologies also have been discussed actively while there exists positive expectation on them at the same time. For instance, many social issues such as trolley dilemma and system security issues are being debated, whereas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had attention in terms of stability increase. Therefore, it needs to check and analyse major social issu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ir development and societal acceptance. In this paper, multi-categorical sentiment analysis is conducted over online public opin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after identifying the trending topic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wo yea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7, which include the event, match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Using the largest web portal in South Korea, online news, news headlines and news comments were crawl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rending topics, online public opinion was analysed into seven multiple sentimental categories comprised of anger, dislike, fear, happiness, neutrality, sadness, and surprise by topics, not only two simple positive or negative senti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op sentiment is "happiness" in most events and yet sentiments on each keyword are different. In addition, when the research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first half of 2016,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e first half of 2017, and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t is confirmed that the sentiment of 'anger' decreases as goes by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grasp various topics and trends currently discus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 can be us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We hope that we can improve to measure public opinion more precisely in the future by integrating empathy level of news comments.

일상어휘를 기반으로 한 선물 가격 예측모형의 계발

  • 김광용;이승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91-300
    • /
    • 1999
  •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과 귀납적 학습방법 등의 인공지능 방법과 선물가격결정에 대한 기존 재무이론을 사용하여 일상어취로 표현되는 파생상품 가격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모형의 개발은 1단계로 인공신경망이나 기존의 선물가격결정이론(평균보 유비용모형이나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선물 가격을 예측한 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귀납적 학습방법중 CART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If-Then 규칙을 생성하였다. 특히 실용적 측면에서 선물가격의 일상어휘화를 통한 모형개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유용성은 일단 If-Then 규칙으로 표현되어 전문가의 판단에 확실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활용화 될 경우 매우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정확성은 분석표본과 검증표본으로 나누어 검증표본에서 세가지 기본모형(평균보유 비용모형, 일반균형모형, 인공신경망 모형)과 각 모형의 귀납적 학습방법 모형의 다른 3가지 어휘표현방법 3가지를 모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공신경망모형은 상당한 예측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CART를 기반으로 한 일상어취 기반의 선물가격예측 모형은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fficiently Learning and Representation the Advection and Remove of Fire-Flake Particles (불똥 입자의 이류과 삭제를 효율적으로 학습 표현하는 인공신경망)

  • Kim, Donghui;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45-34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유체 시뮬레이션(Fluid simulation)중 화염에서 표현되는 불똥 입자(Fire-flake particle)의 생성, 움직임과 삭제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유체 시뮬레이션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치해석학과 같은 학문의 이해가 필요하며 불똥이나 거품과 같은 유체의 2차 효과(Secondary effect)는 기반유체(Underlying fluids)를 통해 추출되기 때문에 복잡하고 계산양이 많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분류 모델 학습을 통해 격자 내에서 표현되어야 하는 불똥 입자의 생성을 학습하고, 다항 회귀 모델 학습을 통해 불똥 입자의 움직임을 예측한다. 또한, 불똥 입자가 삭제되어야하는 상태를 네트워크 학습을 통해 얻어내며, 수명(Lifespan) 임계값 조절하여 다양한 장면에서 불똥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염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불똥의 움직임을 복잡한 수학식이나 디자이너에게 의존하지 않고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쉽게 제어하고 예측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Aesthetic Value and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AI-Generated Images and Artists' Works (인공지능 생성 이미지와 예술가의 작품의 미학적 가치와 감정적 차이에 대한 연구)

  • Min Kyu Kim;Jae Wa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627-630
    • /
    • 2024
  • 본 연구는 인공지능(AI)과 인간이 만든 예술작품 사이의 나타나는 기술적 요소에서 나타나는 차이점 탐구를 통해, 인공지능 예술의 특성, 가능성, 한계를 파악하고, 예술가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AI 생성 예술이 인간 예술과 경쟁할 수 있으며, 일반 대중 사이에서 높은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AI 가 예술창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예술계 내에서 AI 예술의 위치와 사회적 수용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