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식 비율

Search Result 1,13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제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관련 지식 및 수행도 분석)

  • Song, Im-Sook;Chae, In-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1 no.8
    • /
    • pp.870-886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analyz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and (b) provid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strategies which can be performed for systematic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For these purposes, the subjects included 91 dieticians (a response rate 98.9%) and 270 foodservice employees (a response rate 98.2%) at school in Jeju city and they were surveyed from October 21 to November 4, 2006.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12.0). In terms of the number of training practice, the result of sanitary training indicated that the dieticians who trained the employees more than once per a week (48.6%) or everyday (36.3%) were 84.7%. And the dieticians who were higher age, full-time job, and working at middle school implemented significantly more training the employees. In the training methods, 40.7% of dieticians used the oral presentation and 37.4 % utilized the printed matters. Also, most of employees (98.1%) have experienced for the training, 39.6% of them did not have regular training experience and 40.7%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understanding the HACCP system well. The result of employees' knowledge level of HACCP system reported that the items of the personal hygiene scored the highest (92.3 points) whereas the items of CCP3 scored the lowest (58.3 points) as the average being 84.2 points (out of 100 scale). In terms of the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the average was 4.40 (out of 5 scale), the items of the personal hygiene scored the highest as 4.51 whereas the items of CCP2 scored the lowest as 4.31 points. The dieticians' perception degree of employees' performance degree in HACCP system showed that the average was 4.13 (out of 5 scale), so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ctual performance degree as average 4.40 (out of 5 scale). Additionally the employees' knowledg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erformance degree and employees' knowledge level of CCP3, CCP4, and the personal hygiene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HACCP performance degree. Finally, the dieticians have to recognize correctly the employees' performance degree and on the basis of it must plan the sanitary training which has a proper contents and methods to enhance the employees' knowledge level and achieve more systematic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The Study of Din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s by Age Groups (외식소비자의 연령별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연구 - 서울, 경기, 천안 지역을 중심으로 -)

  • Yoon, Hei-Ry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5
    • /
    • pp.608-614
    • /
    • 2005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di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by age groups and to make counter proposals for better marketing and planning strategies. Major dining out motives were lack of time, the easiness of preparation, and schedule. For lunch, the schedule was the major dining-out motive. For dinner,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below answered social gathering was their major dining-out motive (40.7% and 31.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for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and 50s, the family gathering was the major dining motive (50.4% and 55.3% respectively) (${\chi}^{2}=68.081,\;p<0.001$). For dining out frequency, 1-2 dining out per a week ha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which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was 42.9% (the highest) and the respondents in their 50s was 18% (the lowest). For the dining-out cost,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below spent more on dinner rather than breakfast or lunch. For the menu preference of Korean foods, Doenjangjigae had the highest percentage. In case of Kimchi,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Interestingly, the preference for Kimchi was higher in the respondents younger than 30 rather than in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the respondents older than 40 (p<0.05). Preference for Jangachi was considerably low in the respondents younger than 40, which implies that younger people don't incline to traditional Korean Mitbanchan. The dining-out motive was different in each age group. Now, the dining out motive is not restricted to home meal replacement. Social gatherings are increasing and the consumers of dining-out industry are being diversified. These suggest the increased need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onsumers by age group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nsumer behavior and tastes.

Risk Factor Analysis for Preventing Foodborne Illness in Restaurants and the Development of Food Safety Training Materials (레스토랑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위해 요소 규명 및 위생교육 매체 개발)

  • Park, Sung-Hee;Noh, Jae-Min;Chang, Hye-Ja;Kang, Young-Jae;Kwak, Tong-Kyun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3 no.5
    • /
    • pp.589-600
    • /
    • 2007
  • Recently,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franchise restaurants, ensuring food safety has become essential for restaurant growth. Consequently, the need for food safety training and related material is in increasing deman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otentially hazardous risk factors for ensuring food safety in restaurants through a food safety monitoring tool, and developed training materials for restaurant employees based on the results. The surveyed restaurants, consisting of 6 Korean restaurants and 1 Japanese restaurant were located in Seoul. Their average check was 15,500 won, ranging from 9,000 to 23,000 won. The range of their total space was 297.5 to $1322.4m^2$, and the amount of kitchen space per total area ranged from 4.4 to 30 percent. The mean score for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was 57 out of 100 points, with a range of 51 to 73 points. For risk factor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cited sanitary violations involved the handwashing methods/handwashing facilities supplies (7.5%), receiving activities (7.5%), checking and recording of frozen/refrigerated foods temperature (0%), holding foods off the floor (0%), washing of fruits and vegetables (42%), planning and supervising facility cleaning and maintaining programs of facilities (50%), pest control (13%), and toilet equipped/cleaned (13%). Base on these results, the main points that were addressed in the hygiene training of restaurant employees included 4 principles and 8 concepts. The four principles consisted of personal hygiene, prevention of food contamination, time/temperature control, and refrigerator storage. The eight concepts included: (1) personal hygiene and cleanliness with proper handwashing, (2) approved food source and receiving management (3) refrigerator and freezer control, (4) storage management, (5) labeling, (6) prevention of food contamination, (7) cooking and reheating control, and (8) cleaning, sanitation, and plumbing control. Finally, a hygiene training manual and poster leaflets were developed as a food safety training materials for restaurants employee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신체계측,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 Cheong, Sun-Hee;Na, Young-Joo;Lee, Eun-Hee;Chang, Kyung-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6 no.12
    • /
    • pp.1560-157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attitude,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mong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994 nation-wide college students (male: 385, female: 609) and divided into 7 clusters (PEAO: passive economy/appearance-oriented type, NCPR: non-consumption/pursuit of relationship type, PTA: pursuit of traditional actuality type, PAT: pursuit of active health type, UO: utility-oriented type, POF: pursuit of open fashion type, PFR: pursuit of family relations typ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via Internet or by mail. The nutrient intake data collected from food record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12.0 program. Average age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23.7 years and 21.6 years, respectively. Most of the college students had poor eating habits. In particular, about 60% of the PEAO group has irregularity in meal time. The students in PAH and POF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fruits, meat products and foods cooked with oil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s for exercise, drinking and smok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H and the other groups. Asked for the reason for body weight control, 16.2% of NCPR group answered "for health", but 24.8% of PEAO group and 26.3% of POF group answered "for appearance". Calorie, vitamin A, vitamin $B_2$, calcium and iron intakes of all the groups were lower than the Korean DRIs. Female students in PTA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itamin $B_1$ and niacin intakes compared to the PFR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nation-wide information on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lifestyl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Advancement of Underwriting Skill by Selective Risk Acceptance (보험Risk 세분화를 통한 언더라이팅 기법 선진화 방안)

  • Lee, Cha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4
    • /
    • pp.49-78
    • /
    • 2005
  • Ⅰ. 연구(硏究) 배경(背景) 및 목적(目的) o 우리나라 보험시장의 세대가입율은 86%로 보험시장 성숙기에 진입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전업채널에서 방카슈랑스의 도입, 온라인전문보험사의 출현, TM 영업의 성장세 等멀티채널로 진행되고 있음 o LTC(장기간병), CI(치명적질환), 실손의료보험 등(等)선 진형 건강상품의 잇따른 출시로 보험리스크 관리측면에서 언더라이팅의 대비가 절실한 시점임 o 상품과 마케팅 等언더라이팅 측면에서 매우 밀접한 영역의 변화에 발맞추어 언더라이팅의 인수기법의 선진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하에서 위험을 적절히 분류하고 평가하는 선진적 언더라이팅 기법 구축이 필수 적임 o 궁극적으로 고객의 다양한 보장니드 충족과 상품, 마케팅, 언더라이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보험사의 종합이익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Ⅱ. 선진보험시장(先進保險市場)Risk 세분화사례(細分化事例) 1. 환경적위험(環境的危險)에 따른 보험료(保險料) 차등(差等) (1) 위험직업 보험료 할증 o 미국, 유럽등(等) 대부분의 선진시장에서는 가입당시 피보험자의 직업위험도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가입하는 보장급부에 따라 직업 분류방법 및 할증방식도 상이하며 일반사망과 재해사망,납입면제, DI에 대해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함 o 할증적용은 표준위험율의 일정배수를 적용하여 할증 보험료를 산출하거나, 가입금액당 일정한 추가보험료를 적용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재해사망 가입시 표준위험율의 300% 적용하며, 일반사망 가입시 $1,000당 $2.95 할증보험료 부가 (2) 위험취미 보험료 할증 o 취미와 관련 사고의 지속적 다발로 취미활동도 위험요소로 인식되어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할증보험료는 보험가입금액당 일정비율로 부가(가입 금액과 무관)하며, 신종레포츠 등(等)일부 위험취미는 통계의 부족으로 언더라이터가 할증율 결정하여 적용함 - 패러글라이딩 년(年)$26{\sim}50$회(回) 취미생활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재해사망 $2, DI보험 8$ 할증보험료 부가 o 보험료 할증과는 별도로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를 적용함. 위험취미 활동으로 인한 보험사고 발생시 사망을 포함한 모든 급부에 대한 보장을 부(不)담보로 인수함. (3) 위험지역 거주/ 여행 보험료 할증 o 피보험자가 거주하고 있는 특정국가의 임시 혹은 영구적 거주시 기후위험, 거주지역의 위생과 의료수준, 여행위험, 전쟁과 폭동위험 등(等)을 고려하여 평가 o 일반사망, 재해사망 등(等)보장급부별로 할증보험료 부가 또는 거절 o 할증보험료는 보험全기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 - 러시아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은 2$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4) 기타 위험도에 대한 보험료 차등 o 비행관련 위험은 세가지로 분류(항공운송기, 개인비행, 군사비행), 청약서, 추가질문서, 진단서, 비행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할증보험료를 부가함 - 농약살포비행기조종사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 6$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o 미국, 일본등(等)서는 교통사고나 교통위반 관련 기록을 활용하여 무(無)사고운전자에 대해 보험료 할인(우량체 위험요소로 활용)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보험료차등(保險料差等) (1) 표준미달체 보험료 할증 1) 총위험지수 500(초과위험지수 400)까지 인수 o 300이하는 25점단위, 300점 초과는 50점 단위로 13단계로 구분하여 할증보험료를 적용중(中)임 2) 삭감법과 할증법을 동시 적용 o 보험금 삭감부분만큼 할증보험료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청약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수 있으며 고(高)위험 피보험자에게 유용함 3) 특정암에 대한 기왕력자에 대해 단기(Temporary)할증 적용 o 질병성향에 따라 가입후 $1{\sim}5$년간 할증보험료를 부가하고 보험료 할증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표준체보험료를 부가함 4) 할증보험료 반환옵션(Return of the extra premium)의 적용 o 보험계약이 유지중(中)이며, 일정기간 생존시 할증보험료가 반환됨 (2) 표준미달체 급부증액(Enhanced annuity) o 영국에서는 표준미달체를 대상으로 연금급부를 증가시킨 증액형 연금(Enhanced annuity) 상품을 개발 판매중(中)임 o 흡연, 직업, 병력 등(等)다양한 신체적, 환경적 위험도에 따라 표준체에 비해 증액연금을 차등 지급함 (3) 우량 피보험체 가격 세분화 o 미국시장에서는 $8{\sim}14$개 의적, 비(非)의적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준에 따라 표준체를 최대 8개 Class로 분류하여 할인보험료를 차등 적용 - 기왕력, 혈압, 가족력, 흡연, BMI, 콜레스테롤, 운전, 위험취미, 거주지, 비행력, 음주/마약 등(等) o 할인율은 회사, Class, 가입기준에 따라 상이(최대75%)하며, 가입연령은 최저 $16{\sim}20$세, 최대 $65{\sim}75$세, 최저보험금액은 10만달러(HIV검사가 필요한 최저 금액) o 일본시장에서는 $3{\sim}4$개 위험요소에 따라 $3{\sim}4$개 Class로 분류 우량체 할인중(中)임 o 유럽시장에서는 영국 등(等)일부시장에서만 비(非)흡연할인 또는 우량체할인 적용 Ⅲ. 국내보험시장(國內保險市場) 현황(現況)및 문제점(問題點) 1. 환경적위험도(環境的危險度)에 따른 가입한도제한(加入限度制限) (1) 위험직업 보험가입 제한 o 업계공동의 직업별 표준위험등급에 따라 각 보험사 자체적으로 위험등급별 가입한도를 설정 운영중(中)임. 비(非)위험직과의 형평성, 고(高)위험직업 보장 한계, 수익구조 불안정화 등(等)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위험1급 적용으로 사망 최대 1억(億), 입원 1일(日) 2만원까지 제한 o 금융감독원이 2002년(年)7월(月)위험등급별 위험지수를 참조 위험율로 인가하였으나, 비위험직은 70%, 위험직은 200% 수준으로 산정되어 현실적 적용이 어려움 (2) 위험취미 보험가입 제한 o 해당취미의 직업종사자에 준(準)하여 직업위험등급을 적용하여 가입 한도를 제한하고 있음. 추가질문서를 활용하여 자격증 유무, 동호회 가입등(等)에 대한 세부정보를 입수하지 않음 - 패러글라이딩의 경우 위험2급을 적용, 사망보장 최대 2 억(億)까지 제한 (3) 거주지역/ 해외여행 보험가입 제한 o 각(各)보험사별로 지역적 특성상 사고재해 다발 지역에 대해 보험가입을 제한하고 있음 - 강원, 충청 일부지역 상해보험 가입불가 - 전북, 태백 일부지역 입원급여금 1일(日)2만원이내 o 해외여행을 포함한 해외체류에 대해서는 일정한 가입 요건을 정하여 운영중(中)이며, 가입한도 설정 보험가입을 제한하거나 재해집중보장 상품에 대해 거절함 - 러시아의 경우 단기체류는 위험1급 및 상해보험 가입 불가, 장기 체류는 거절처리함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인수차별화(引受差別化) (1) 표준미달체 인수방법 o 체증성, 항상성 위험에 대한 초과위험지수를 보험금삭감법으로 전환 사망보험에 적용(최대 5년(年))하여 5년(年)이후 보험 Risk노출 심각 o 보험료 할증은 일부 회사에서 주(主)보험 중심으로 사용중(中)이며, 총위험지수 300(8단계)까지 인수 - 주(主)보험 할증시 특약은 가입 불가하며, 암 기왕력자는 대부분 거절 o 신체부위 39가지, 질병 5가지에 대해 부담보 적용(입원, 수술 등(等)생존급부에 부담보) (2) 비(非)흡연/ 우량체 보험료 할인 o 1999년(年)최초 도입 이래 $3{\sim}4$개의 위험요소로 1개 Class 운영중(中)임 S생보사의 경우 비(非)흡연우량체, 비(非)흡연표준체의 2개 Class 운영 o 보험료 할인율은 회사, 상품에 따라 상이하며 최대 22%(영업보험료기준)임. 흡연여부는 뇨스틱을 활용 코티닌테스트를 실시함 o 우량체 판매는 신계약의 $2{\sim}15%$수준(회사의 정책에 따라 상이) Ⅳ. 언더라이팅 기법(技法) 선진화(先進化) 방안(方案) 1. 직업위험도별 보험료 차등 적용 o 생 손보 직업위험등급 일원화와 연계하여 3개등급으로 위험지수개편, 비위험직 기준으로 보험요율 차별적용 2.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 적용 o 해당취미를 원인으로 보험사고(사망포함) 발생시 부담보 제도 도입 3. 표준미달체 인수기법 선진화를 통한 인수범위 대폭 확대 o 보험료 할증법 적용 확대를 통한 Risk 헷지로 총위험지수 $300{\rightarrow}500$으로 확대(거절건 최소화) 4. 보험료 할증법 보험금 삭감 병행 적용 o 삭감기간을 적용한 보험료 할증방식 개발, 고객에게 선택권 제공 5. 기한부 보험료할증 부가 o 위암, 갑상선암 등(等)특정암의 성향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가입초기에 평준할증보험료를 적용하여 인수 6. 보험료 할증법 부가특약 확대 적용, 부담보 병행 사용 o 정기특약 등(等)사망관련 특약에 할증법 확대, 생존급부 특약은 부담보 7. 표준체 고객 세분화 확대 o 콜레스테롤, HDL 등(等)위험평가요소 확대를 통한 Class 세분화 Ⅴ. 기대효과(期待效果) 1. 고(高)위험직종사자, 위험취미자, 표준미달체에 대한 보험가입 문호개방 2. 보험계약자간 형평성 제고 및 다양한 고객의 보장니드에 부응 3. 상품판매 확대 및 Risk헷지를 통한 수입보험료 증대 및 사차익 개선 4. 본격적인 가격경쟁에 대비한 보험사 체질 개선 5. 회사 이미지 제고 및 진단 거부감 해소, 포트폴리오 약화 방지 Ⅵ. 결론(結論) o 종래의 소극적이고 일률적인 인수기법에서 탈피하여 피보험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위험평가하여 적정 보험료 부가와 합리적 가입조건을 제시하는 적절한 위험평가 수단을 도입하고, o 언더라이팅 인수기법의 선진화와 함께 언더라이팅 인력의 전문화, 정보입수 및 시스템 인프라의 구축 등이 병행함으로써, o 보험사의 사차손익 관리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보험시장 개방 및 급변하는 보험환경에 대비한 한국 생보언더라이팅 경쟁력 강화 및 언더라이터의 글로벌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PDF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at geriatric hospitals or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in Jeju (제주지역 요양 (병)원 영양사의 직무중요도, 직무수행도 및 직무만족도 분석)

  • Kang, Hye-Sook;Lee, Yunkyoung;Chae, In-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9 no.3
    • /
    • pp.189-20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38 dietitians working at geriatric hospitals and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in Jeju surveyed from September 15-24, 2014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ls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derly patients.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12.0). Results: Regarding job importance, the average score was 4.29 (out of 5), indicating that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at 4.77 (out of 5), and nutrition management scored the lowest at3.86. In terms of job performance of subjects, the average score was 2.87 (out of 5), indicating that cooking operation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at 4.42 (out of 5). Regard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and cooking operation management scored high for importance and performance (B quadrant) menu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nutrition management scored low for importance and performance (C quadrant) and purchasing manage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were included inD quadrant and A quadrant, respectively. Fo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the average score was 3.37 (out of 5), indicating that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scored the highest at 3.72, and improving professionalism scored the lowest at 2.95. Additionally, job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bjec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job satisfaction (r = 0.395, r = 0.386, both p < 0.05). Conclusion: In conclusion, scores for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of nutrition management were low, and job satisfaction of improving professionalism scored low. Therefore, continuous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of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dietitians at geriatric hospitals and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Characteristic on the Layout and Semantic Interpretation of Chungryu-Gugok, Dongaksan Mountain, Gokseong (곡성 동악산 청류구곡(淸流九曲)의 형태 및 의미론적 특성)

  • Rho, Jae-Hyun;Shin, Sang-Sup;Huh, Joon;Lee, Jung-Han;Han, Sang-Yub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24-36
    • /
    • 2014
  •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emantic value and the layout of the Cheongryu Gugok of Dorimsa Valley, which exhibits a high level of completeness and scenic preservation value among the three gugoks distributed in the area around Mt. Dongak of Gogseong is as follows.4) The area around Cheongryu Gugok shows a case where the gugok culture, which has been enjoyed as a model of the Neo-Confucianism culture and bedrock scenery, such as waterfall, riverside, pond, and flatland, following the beautiful valley, has been actually substituted, and is an outstanding scenery site as stated in a local map of Gokseong-hyeon in 1872 as "Samnam Jeil Amban Gyeryu Cheongryu-dong(三南第一巖盤溪流 淸流洞: Cheongryu-dong, the best rock mooring in the Samnam area)." Cheongryu Gugok, which is differentiated through the seasonal scenery and epigrams established on both land route and waterway, was probably established by the lead of Sun-tae Jeong(丁舜泰, ?~1916) and Byeong-sun Cho(曺秉順, 1876~1921) before 1916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However, based on the fact that a number of Janggugiso of ancient sages, such as political activists, Buddhist leaders, and Neo-Confucian scholars, have been established, it is presumed to have been utilized as a hermit site and scenery site visited by masters from long ago. Cheongryu Gugok, which is formed on the rock floor of the bed rock of Dorimsa Valley, is formed in a total length of 1.2km and average gok(曲) length of 149m on a mountain type stream, which appears to be shorter compared to other gugoks in Korea. The rock writings of the three gugoks in Mt. Dongak, such as Cheongryu Gugok, which was the only one verified in the Jeonnam area, total 165 in number,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assembly place for the highest number of rock writings in the nation. In particular, a result of analyzing the rock writings in Cheongryu Gugok totaling 112 places showed 49pieces(43.8%) with the meaning of 'moral training' in epigram, 21pieces (18.8%) of human life, 16pieces(14.2%) of seasonal scenery, and 12pieces(10.6%) of Janggugiso such as Jangguchur, and the ratio occupied by poem verses appeared to be six cases(3.6%). Sweyeonmun(鎖烟門), which was the first gok of land route, and Jesiinganbyeolyucheon(除是人間別有天) which was the ninth gok of the waterway, corresponds to the Hongdanyeonse(虹斷烟鎖) of the first gok and Jesiinganbyeolyucheon of the ninth gok established in Jaecheon, Chungbuk by Se-hwa Park(朴世和, 1834~1910), which is inferred to be the name of Gugok having the same origin. In addition, the Daeeunbyeong(大隱屛) of the sixth gok. of land route corresponds to the Chu Hsi's Wuyi-Gugok of the seventh gok, which is acknowledged as the basis for Gugok Wollim, and the rock writings and stonework of 'Amseojae(巖棲齋)' and 'Pogyeongjae(抱經齋)' between the seventh gok and eighth gok is a trace comparable with Wuyi Jeongsa(武夷精舍) placed below Wuyi Gugok Eunbyeon-bong, which is understood to be the activity base of Cheongryu-dong of the Giho Sarim(畿湖士林). The rock writings in the Mt. Dongak area, including famous sayings by masters such as Sunsaeuhje(鮮史御帝, Emperor Gojong), Bogahyowoo(保家孝友, Emperor Gojong), Manchunmungywol(萬川明月, King Joengjo), Biryeobudong(非禮不動, Chongzhen Emperor of the Ming Dynasty)', Samusa(思無邪, Euijong of the Ming Dynasty), Baksechungpwoong(百世淸風, Chu Hsi), and Chungryususuk-Dongakpungkyung(淸流水石 動樂風景, Heungseon Daewongun) can be said to be a repository of semantic symbolic cultural scenery, instead of only expressing Confucian aesthetics. In addition, Cheongryu Gugok is noticeable with its feature as a cluster of cultural scenery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Buddhism-Taoism, where the Confucianism value system, Buddhist concept, and Taoist concept co-exists for mind training and cultivation. Cheongryu Gugok has a semantic feature and spatial character as a basis for history and cultural struggle for the Anti-Japan spirit that has been conceived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utilizing the spirit of the learning, loyalty for the Emperor and expulsion of barbarians, and inspiration of Anti-Japan force, by inheriting the sense of Dotong(道統) of Neo-Confucianism by the Confucian scholar class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that is represented by Ik-hyun Choi(崔益鉉, 1833~1906), Woo Jeon(田愚, 1841~1922), Woo-man Gi(奇宇萬, 1846~1916), Byung-sun Song(宋秉璿, 1836~1905), and Hyeon Hwang(黃玹, 1855~1910).

Survey of Daily Caffeine Intakes from Children's Beverage Consump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실태조사 및 영양교육에 따른 효과 평가)

  • Kim, Sung-Dan;Yun, Eun-Sun;Chang, Min-Su;Park, Young-Ae;Jung, Sun-Ok;Kim, Dong-Gyu;Kim, Youn-Cheon;Chae, Young-Zoo;Kim, M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6
    • /
    • pp.709-72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aily caffeine intakes in beverag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caffeine contents of 140 commercial beverages were analys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HPLC-UV) and information about their consumption were obtained by surveying 267 children. Researchers gave nutrition education to the children, who were 6 to 11 years old and attended 9 classes of 3 elementary schools, by lecture, Powerpoint file and moving picture. Their preference and intake amount on beverage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order on caffeine contents was coffee ($33.8{\pm}2.4{\sim}49.1{\pm}5.6\;mg/100\;mL$)> coffee milk ($10.6{\pm}3.3\;mg/100\;mL$)> cola ($6.0{\pm}2.4\;mg/100\;mL$)> green black oolong tea drink ($6.0{\pm}2.4\;mg/100\;mL$)> 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1.6{\pm}0.7{\sim}1.7\;mg/100\;mL$)> black ice tea mix ($1.3{\pm}1.7\;mg/100\;mL$). The order on children's preference was carbonated drink and fruit and vegetable drink (27%)> sports drink (26%)> processed cocoa mix (7%)> milk (6%)> vitamin & functional drink (3%)> green tea drink (2%)> black tea drink and coffee (1%). The average daily caffeine intakes except tea drink was $5.9{\pm}11.2$ mg/person/day ($0.17{\pm}0.32$ mg/kg bw/day), ranged from $0.0{\sim}80.5$ mg/person/day for children. The sources of caffeine were coffee 57% (3.4 mg/person/day), coffee milk 20% (1.2 mg/person/day), carbonated drink 15% (0.9 mg/person/day), 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6% (0.4 mg/person/day),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2% (0.1 mg/person/day).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preference of carbonated drink, coffee, vitamin drinks & functional drink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p<0.05, p<0.01) and the intakes of carbonated drink, chocolate milk & chocolate drink,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were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p<0.05, p<0.01). This study has shown that nutrition educat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and the intake behavior of caffeinated bever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