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식 변화

Search Result 6,30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 Overview on Method of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 (얼굴표정 인식방법론에 관한 검토)

  • Kim, Dae-Young;Sin, Do-Seong;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26-329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사람 얼굴 표정을 인식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사람얼굴표정을 인식할 때 특징 추출 방법에는 크게 AAM(Active Appearance Model) 기반 방법과 비 AAM 기반 방법이 있었다. 추출된 특징에 대한 학습 및 인식에도 신경망, SVM(Support Vector Machine), 사후확률, 기타 변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인식되는 표정에는 크게 행복, 분노, 슬픔, 놀람에 대한 표정 인식이 주를 이루었고 추가적으로 역겨움, 두려움, 졸음, 윙크까지도 인식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인식률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 또한 현재 나와 있는 표정인식방법들은 얼굴표정을 과장되게 지을 때에만 인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미세한 표정변화를 컴퓨터가 인식하기 위해서 더욱 강건한 특징추출과 새로운 표정분류에 대한 정의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위한 자세변화에 대응 가능한 얼굴 검출 및 인식 방법

  • 이태근;박성기;김문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7-27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이동 로봇 플랫폼 위에 장착되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상 사람의 얼굴위치를 검출,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대상으로 하는 이동로봇은 실내에서 사용 가능한 홈 서비스 로봇(Hombot-2)으로 인간-로봇 상호작용 (human-robot interaction, HCI)이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이다. 로봇에 장착된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에서 획득하게 되는 얼굴 영상은 임의로 움직이는 로봇 작업 반경 밖에 있는 사용자의 특성 상 얼굴 영상이 비교적 작게 얻어지고 정면얼굴에서 벗어난 가변적 얼굴 자세변화를 갖게 된다.(중략)

  • PDF

Partially Occluded Face Recognition in Video using Intensity Distortion (Intensity Distortion을 이용한 Partially Occluded 얼굴인식)

  • Ju, Myung-Ho;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683-684
    • /
    • 2006
  • 본 논문은 비디오기반의 얼굴인식에 있어서 환경의 변화나 왜곡, 노이즈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분적인 가림현상(Partial Occlusion)에 대한 처리기법을 제시한다. 인증되는 각 사람은 하나의 Manifold 를 구성하며 각 Manifold 는 m 개의 pose-Manifold 로 구성된다. Pose-Manifold 를 구성하기 위한 학습데이터는 매우 유사한 포즈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얼굴을 이루는 영역의 픽셀에 대한 Intensity 의 변화는 크지 않다. 입력되는 이미지의 Intensity 를 학습데이터의 Intensity 의 변화량을 고려한 Intensity Distortion 을 이용하면 Occlusion 이 발생한 영역을 찾을 수 있고, Occlusion 이 발생한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Occlusion 에 따라 영역에 중요도를 다르게 하여 얼굴인식률을 높이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제시하는 Mask 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기존에 제시된 알고리즘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 Recognition Change for Young Children of a Using 2D Animation Software (2D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유아의 환경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Yong-Hwan;Lee, Keun-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85-8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유아들이 겪을 수 있는 상황을 2D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로 개발하여 유아들의 환경교육에 이용함으로써 유아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유아들의 환경보호를 행동으로 실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과 악취를 주제로 다루었으며,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전조사와 사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환경오염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환경인식 변화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Impacts of Mobile Communications on the Space (휴대전화의 이용으로 인한 개인의 공간인식과 행태의 변화)

  • Hwang, Joo-Seong;Yoo, Ji-Yeon;Lee, Dong-H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4
    • /
    • pp.306-340
    • /
    • 2006
  • Mobile communications is argued to reshape and activate the existing space by increasing 'mobile communicability en route' and 'real time interac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different the use of a cellular phone is in each different space. In this study, the space i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parts including the private, social and public space. First, spatial micro-coordination and experience of polysemy of place are widely observed in the use of a mobile phone in the private space. Secondly, it is found that a mobile phone contributes to extending the scope of social contacts which in turn compliments the existing social relationship. Moreover, a full-time intimate community that is connected via a mobile phone results in reshaping the social space. Lastly, the study shows that the usage pattern of a mobile phon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spac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envisaged to lead to more demand for the public space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public space.

  • PDF

A study on the Recurrent Predictioni Neural Networks for Syllables Recognition (음절인식을 위한 회귀예측신경망에 관한 연구)

  • 한학용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72-277
    • /
    • 1998
  • MLP형 예측신경망, Jordan 형과 Elman 형 회귀예측신경망을 사용하여 예측차수오 kdmsslr층이 유니트수의 변화에 따른 인식결과를 CHMM과 비교하였다. 음성데이타는 100음절데이터와 ETRI 의 샘돌이 숫자음을 사용하였다. 숫자음에서 신경망의 인식률은 98.5%로 5상태 CHMM의 85.6%보다는 향상된 인식성능을 보였으며 6상태 이상의 CHMM보다는 다소 인식률이 낮게 나타났다.

  • PDF

A Speech Recognition Using Instantaneous SNR Estimation and RASTA Processing (순시적인 신호대 잡음비 예측과 RASTA 기법을 이용한 음성인식)

  • 배현권;오문식;이행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55-5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잡음에 강한 음성 인식기를 위한 음성의 특징 추출에 관해서 살펴 보았다. 지금까지의 음성 인식기는 조용한 실험실 환경하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나 실제 테스 트는 여러 가지 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 이 감소함을 보여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는 음성의 특징 추출 부분에서 순시적인 신호대 잡음비 예측과 잡음에 강한(RASTA)처리를 하므로써 인식율을 향상시켰다.

  • PDF

Edge Orientation Histogram Hand Shape Recognition for Window Player (윈도우 플레이어 제어를 위한 에지 방향성 히스토그램 손 형상 인식)

  • 김종민;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28-630
    • /
    • 2003
  • 본 연구는 손의 형상을 복잡한 배경환경에서 손 영역을 안정적으로 검출, 인식하여 윈도우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손은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2차원 형상의 불변량에 해당하는 에지의 방향성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인식을 행한다. 이 방법은 복잡한 배경에서 피부색을 지닌 손 영역이 정확히 추출되며 손 형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수행속도가 빠르고 조명변화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실시간 손 형상 인식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윈도우 플레이어 제어에 적용한 결과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있었다.

  • PDF

Recognition of a Car License plate Using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and Transformation Feature Matching (수평.수직 에지 검출과 변형된 특징 매칭을 이용한 번호판 인식)

  • 이종은;정기봉;오무송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342-345
    • /
    • 2002
  • 차량 번호판 인식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은 번호판 영역의 밝기 변화 둥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그로 인하여 번호판 영역 추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문자 인식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밝기를 보정한 후 마스크 적용을 통한 수평ㆍ수직 에지 검출과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판을 추출하고 변형된 특징 매칭을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Exploring Chang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through a Documentary Focused on Their Daily Lives and Research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통한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 탐색)

  • Lee, Hyunok;Mun, J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2
    • /
    • pp.293-304
    • /
    • 2018
  • In spite of a growing number of recent studies that indicate students are coming to view scientists with more varied images, the stereotypical image of scientists remains in many students' mind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plore how colleg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through the use of a documentary that focuses on scientists' daily lives, including laboratory life, and their emotional ups-and-downs. We analyzed 109 college students' essays on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As a result, 64.2% of the college students declar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scientists. The students' new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are as follows: 1) scientists undergo emotional ups-and-downs just like any normal person; 2) scientists experience numerous failures while researching; 3) science does not have a fixed answer and scientists undertake research with creativity; 4) scientists conduct research in collaboration, but also in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s; 5) scientists are often frustrated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e students' previous perceptions on science and scientists were mainly stereotypical on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of the other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majority declared that they have new perceptions such as 1) - 5).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7.3%) had unchanged stereotypical perception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at college students relatively easily change their stereotypical images of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but, alternatively,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st stereotypical images of college students are not perceptions that form a deep impression, but rather they are simply depictions of representative images of scientists given from outside sources (e.g. the mass media and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