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수공통감염병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양돈 종사자의 인수공통감염병 인지도 (Awareness on Zoonoses among Pig Farmers in Korea)

  • 유석주;임현술;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4호
    • /
    • pp.222-229
    • /
    • 2014
  • 지금까지 다른 고위험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돈 종사자에 대한 연구가 드물었고, 돼지가 인수공통감염병의 주요 병원소로 국내에서도 돼지와 관련된 인수공통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양돈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해 보고자 진행하였다. 2012년도에 경상남도 권역, 경상북도 권역, 전라남도 권역, 충청남도 권역 등 4개 권역의 양돈협회 자체교육에 참여한 양돈 종사자 중 278명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하여 농업기술원의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마친 설문지를 활용하여 일 대 일 면접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인수공통감염병의 인지율은 살모넬라증 89.6%, 결핵 87.8%, 브루셀라증 85.6% 등의 순으로 개별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해서는 80% 이상 인지하고 있었지만 인수공통감염병 자체에 대한 인지율은 52.9%이었고, 돼지의 질병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6.9%에 불과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개별 특성 및 양돈 작업관련 특성 중 인수공통감염병 인지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본 결과 대학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들이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들에 비해 인수공통감염병 자체는 3.1배, 살모넬라증은 6.0배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양돈업에 10년 미만 종사한 대상자들에 비해 30년 이상과 20-29년 종사한 대상자들이 각각 6.2배와 7.9배 더 잘 살모넬라증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처럼 국내의 양돈 종사자들은 브루셀라증, 살모넬라증, 결핵 등 각각의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고 있었지만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용어 자체와 돼지의 질병이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다는 특성은 절반 정도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고학력일수록, 양돈업에 종사기간이 길수록 인수공통감염병 및 살모넬라증을 더 잘 인지한다고 밝혀진 것처럼, 교육 및 관련 정보에의 노출이 인지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돼지는 다양한 인수공통감염병의 주요한 병원소인 만큼, 향후 양돈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수공통감염병의 개념 및 감염경로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교육과 정보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원헬스 기반 인수공통감염병 감시체계로 발견한 브루셀라증 사례 (A Case Report of Human Brucellosis Found by Zoonoses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One Health)

  • 김동섭;박성준;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2호
    • /
    • pp.90-93
    • /
    • 2019
  • 브루셀라증은 인수공통감염병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비해 거의 근절된 질병이다. 또한 브루셀라증은 우리나라에서 원헬스로 대표되는 상징적인 질병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민간(경북농업안전보건센터), 가축방역(동물위생시험소) 및 보건당국(보건소) 간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가축전염병 발생 농장 농장주와 가족을 대상으로 브루셀라증 환자 1례를 발견한 사례이다. 이 사례를 통해 인수공통감염병 예방과 관리에 부문간의 협력이 중요함을 다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 사슴농가 종사자의 라임병 혈청유병률 및 위험요인 (Sero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yme disease among Korean deer farmers)

  • 딜라람 아지리아;조재학;유석주;박지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2호
    • /
    • pp.82-89
    • /
    • 2019
  • 목적 : 이번 연구는 인수공통감염병의 고위험군인 사슴농가 종사자를 대상으로 라임병의 감염 실태 파악 및 위험요인 분석을 위해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국 시 군 지역의 사슴농가를 중심으로 516명에 대해 설문조사 및 혈청검사를 실시하였다. 라임병 진단방법은 IFA(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 Assay, 간접면역형광항체법)와 IFA검사의 높은 위양성률을 보완하기 위해 ELISA 검사 그리고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전국 사슴농가 종사자 516명의 라임병 최종 혈청 유병률은 2.3%이었으며, 엘크 (Cervus Canadensis)만을 기르는 사슴 농가 종사자의 라임병 혈청유병률이 3.6%로 다른 종류의 사슴을 키우는 사슴 농가 종사자보다 라임병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33). 결론 : 국내 사슴농가 종사자들이 인수공통감염병인 라임병에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키우는 사슴의 종류나 작업 행태, 보호복 착용 여부 등에 따라 라임병 노출의 가능성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헬스 기반 인수공통감염병의 미래 관리 전략 (Future Management Strategies for Zoonoses Based on One Health)

  • 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1호
    • /
    • pp.39-42
    • /
    • 2019
  • Zoonoses are the diseases that are transmitted to human being from vertebrate animals either from livestock animals or from wildlife. Recently, zoonoses are increasingly common as a result of incremental human-animal contact. Propagative infections in wild animals and livestock are transmitted to human beings who are encountered with them. In general, wild animals can transmit infectious agents to livestock, and then livestock further transmit them to human being is a simple model of on how zoonotic diseases get transmitted to human being. This mod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zoonoses by surveillance at its incipient stage. Cooperation between the respective ministr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dentification of zoonoses and planning for the formulation of better preventive and control policy and strategy. We will be able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zoonotic diseases in human on the basis of disease trends in wildlife and livestock once when we obtain the surveillance data and data generated by respective ministries through sound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경북 일부지역 축산(한우) 농업인의 인수공통감염병 인지도 (Awareness on Zoonoses among Livestock(Korean Native Cattle) Farmers in Gyeongsangbuk-do)

  • 박성준;유석주;이관;임현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8-425
    • /
    • 2016
  • Objectives: General livestock farmers are known as a high riskgroup for zoonoses, but studies of general livestock farmers in regard tozoonoses have been rare in Korea. We surveyed awareness of zoonoses amonggeneral livestock farmers to suggest directions for education.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examining the workbehaviors and risk factors of general livestock farmer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survey on awareness on zoonoses among 265 general livestock farmers. Results: The awareness rates for zoonosis itself,brucellosis, and q-fever were 13.0%, 65.0%, and 2.3%, respectively. The awarenessrate of zoonoses and brucellosis tended to increase with sex. Conclusions: Livestock is the principal reservoir ofzoonoses. Therefore, effective working guidelines for preventing zoonoses amonggeneral livestock farmers must be developed and an educational program onzoonoses is needed for general livestock farmers. Furthermore, publicityactivities on the prevention of zoonoses are needed for high-risk groups.

농촌지역 양돈 종사자의 인수공통감염병 (Zoonoses for Pig Farmers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 이관;임현술;민영선;김병석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3-397
    • /
    • 2012
  • The incidence of zoonoses in Korea has recently increased. But the study for high risk group such as pig farmers to zoonoses has not been conducted in Korea. Thus we reviewed the articles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zoonoses among pig farmers, especially in rural communities. Pig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domestic livestock in Korea not only from economic standpoint but also from standpoint of food. Pigs also represent a potential reservoir for many novel pathogens, therefore may transmit these to humans via direct contact, vectors such as mosquitos, or contaminated meat. The zoonoses associated with pigs can be classified into bacterial pathogen, viruses and so on. Bacterial zoonoses include brucellosis, leptospirosis, listeriosi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pasteurellosis, salmonellosis, yersiniosis, tuberculosis, anthrax, necrobacillosis, swine erysipelas, erysipeloid, melioidosis, Streptococcus suis infection, Clostrium difficile infection, and campylobactor infection. Viral zoonoses consist of Japanese encephalitis, swine influenza, Nipah virus, Reston ebolavirus, and hepatitis E virus infection. Other type of zoonoses include actinomycosis, toxoplasmosis and Taenia solium infection. These zoonoses were important in Korean health policy but lately they have been overlooked. For effective health policy, we need to study zoonoses associated with pigs, and clinicians and veterinarians must care deeply about these zoonoses.

위험 매트릭스(Risk Matrix)를 활용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위험지역 평가 (High-Risk Area for Human Infection with Avian Influenza Based on Novel Risk Assessment Matrix)

  • 박성대;유대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1-50
    • /
    • 2023
  • AI인체감염증은 한번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있으므로, 사전 예방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위험도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방역을 강화하고 사람, 동물, 환경 등 소관 부처 간 분산되어 있는 방역정책 및 관리를 원헬스 차원으로 협업·연계한다면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험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연계하여 AI인체감염증의 발생 위험지역을 평가하고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AI인체감염증은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가금관련 산업 종사자가 가장 감염에 취약한 위험군이기 때문에, 위험 매트릭스는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평균 발생 건수와 감염에 취약한 가금 관련 축산시설 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 시·군·구별로 가금농장의 HPAI 평균 발생건수를 예측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형 중 과대산포가 있는 가산자료를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음이항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시·군·구별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건수와 축산시설 수를 적용한 위험 매트릭스 분석 결과, AI인체감염증의 발생위험이 높아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전남 나주, 전북 정읍, 전북 남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I 인체감염증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는 가금농장의 저병원성 AI 발생건수, 닭과 오리의 사육 밀도, 축산차량 등록 수로 확인되었다. 가금농장에서 저병원성AI가 1건 발생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1.687배 증가하고, 닭과 오리의 밀도가 1,000 두/km2 증가할 경우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각각 1.618배, 10.252배 증가하며, 축산차량의 경우 100대 증가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이 1.1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인체감염증의 예방을 위해 HPAI의 발생주기인 2~3년 간격으로 위험평가를 실시하고 환경·동물·사람에 대하여 원 헬스(One Health)적 관점으로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관리한다면, AI인체감염증에 대한 방역정책 수립과 사회·경제적 비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