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밀도함수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through the Population Gradient Curve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의 지역별.규모별 변화특성 분석)

  • Yun, Kapsik;Lee, Gabje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
    • /
    • pp.445-457
    • /
    • 2013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by regional groups and city size between 2000 and 2010.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s analyzed by Clark's population gradient curve in this paper. Therefore key parameters in population gradient function, such as population density gradients and population density in CB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cities in Korea have experienced suburbanization rather than concentration, but small-size cities have experienced concentration during the period.

  • PDF

A Diagnosis of Shrinking City Using Population Gradient Curve: A Case Study on the City of Yeong-ju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도시축소현상 진단 - 영주시를 사례로 -)

  • Kim, Min-Seok;Byun, Tae-Geun;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5 no.4
    • /
    • pp.33-45
    • /
    • 2019
  • Due to the global low growth trend, urban shrinkage is a major issue of urban policy in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e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6), 23 out of 77 cities in Korea were diagnosed as continuous or temporary shrinking cities. However, the criterion for diagnosing shrinking cities remain on the simple demographic side, and the spatial shrinkage pattern of the city is not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diagnosed urban shrinkage phenomen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eong-ju, a poly-centric city, by using the population gradient curve, which is one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Yeong-ju turned out to be a shrinking city with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slope of population density increasing. In the case of area of Dong, a sprawl phenomenon in which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CBD and the slope of the population density were decreased was shown. And in the case of Punggi-eup, a simple shrinkage phenomenon in which only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CBD was decreased was shown. The results show that even within a city, the pattern of spatial change can be different for each centers. In the case of a city with a poly-centric struc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individual diagnosis of not only the entire city but also the detailed area were drawn.

Variability in the Effective Spatial Rang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CBD (도심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동성 측정)

  • Nam, Kwang-Woo;Kang, In-Joo;Im, Doo-Hy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2
    • /
    • pp.120-131
    • /
    • 2009
  • This study measured the centripetal force and effective scope of the population spread from urban center and subcenters in order to diagnose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the formation of a multicentric city structure in Busan. The study analyzed the var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value (R square) with a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derived from the population density model by extending the circular region into 5-km uni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hanges in the effective scop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the urban center and subcenter in 5-year intervals from 1995 to 2005 using census data. The explanatory adequacy of the population density function was examined with the bias of the function to calculate the distance error between the real location of the urban center and the optimal location,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ensity func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value for the area of Jungangdong showed a continuous reduction, whereas Seomyeon (Bujeondong) maintained explanatory adequacy without a large change. As a whole, Busan was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diversification, in spite of its reduced population. Therefore, it appear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urban center and subcenter and to supply adequate dwelling zones close to downtown to form a more efficient urban spatial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formulation of a political approach to the efficient reorganization of spatial structure by correlating concrete spatial information with the population variability of Busan's urban center and subcenter.

  • PDF

Analysis of City Size Distribution and Spatial Structure - with Korean Metroplitan Statistical Areas (MSA) (한국 도시의 규모분포와 도시공간구조 분석 - 광역도시통계권을 중심으로)

  • Kim, Dong-Soo;Huh, Mun-Gu;Lee, Doo-H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4
    • /
    • pp.549-5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urban structure in Korea. Though there is research regarding urbanization, there is little regard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In this paper, two issues will be discussed: the measurements of inter-city and intra-city structure in Korean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MSAs), which is newly defined. First, the city size rank rule, widely known as Zipf’s Law, will illustrate Korean the inter-city structure. The city size rank rule gives an idea whether Korean MSAs are balanced or not. In general, Korea has a heavy concentration in the Seoul MSA in terms of population. It could be either that the Seoul MSA is too big or that the Busan MSA is too small or both. If this is the primacy problem, a decentralization policy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f it is a second city problem,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Busan MSA and Daegu MSA are more important. Next, the Korean intra-city structure will be discussed. The evolutions of the MSAs explain intra-city structure by analyzing population density function and the housing price function. Some large MSAs such as Seoul and Busan have experienced urban sprawl, while other MSAs have experienced urban concentration. The population density gradient by the distance from the ARC GIS shows the growth rate of a city. According to the Spatial Mismatch Index between population and employment, the Ulsan MSA, Gwangju MSA, and Suwon-Hwaseong-Osan MSA are more mismatched, while the Daejeon MSA and Incheon MSA are less mismatched. Therefore, these analyses of Korean urban structure are meaningful in developing regional policy.

  • PDF

Evaluation of hydrological drought impact according to future population change (미래 인구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 영향 평가)

  • Shin, Ji Yae;Son, Ho Jun;Kwon, Hyun-Ha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9-299
    • /
    • 2022
  • 수문학적 가뭄 발생의 직접적 영향은 강수부족량이나, 다양한 사회경제적 인자들은 수문학적 가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관리 선진기관에서는 인간의 활동 및 물관리 방식에 따라 수문학적 가뭄을 심화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인간의 물사용이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및 미래의 인구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의 영향의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인간의 활동이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충정북도 시군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시군 장래인구 추정값을 미래 인구자료로, 미래 유출량이 산정되어 제공되는 RCP 4.5와 RCP 8.5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가뭄상황 예측하였다. 강수량 및 인구변화가 수문학적 가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하여 코플라함수 기반의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이 활용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강수량, 인구밀도, 수문학적 가뭄사이의 관계 도출을 위하여 활용되었으며, 베이지안 네트워크 내의 결합확률의 산정을 위하여 코플라 함수가 활용되었다. 미래의 강수량 및 인구밀도의 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가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수량이 인구밀도보다 수문학적 가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약 0.2~0.3 정도 발생확률이 크게 산정되었다. 두 인자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강수량이 적고, 인구밀도가 높아지는 조건(F(강수량)=0.1, F(인구밀도)=0.9)에서는 조건부 CDF 변화율이 크게 나타나, 곧 수문학적 가뭄의 위험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구밀도는 수문학적 가뭄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 알려져 있으나, 정량적으로 그 값을 제시한 연구 사례는 찾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였으며, 한 인자만의 영향이 아닌 두 개 이상의 인자들의 복합적인 영향 정도를 제시함으로써 수치적인 비교가 가능하게 하였다. 미래 추정 인자가 인구자료가 한정적이라 인구 자료만을 활용하여 수문학적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다른 사회경제적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변화에 따른 미래 수문학적 가뭄의 영향 정도의 비교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뭄 대응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

Estimation of Risk and Optimal Route to Transport Hazardous Materials -Application to Metropolitan Area- (위험물 수송을 위한 위험도 및 최적경로산정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 조용성;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1
    • /
    • pp.75-89
    • /
    • 1999
  • 위험물차량사고는 일반차량의 교통사고시 발생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지체 외에 부가적으로 환경적 영향에 의한 엄청난 인명 및 재산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차량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물수송경로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결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물차량의 수송경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의 기준 및 목표에 따라 위험물수송경로를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물수송에 수반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위험물차량의 통행시간, 거리, 비용 등을 최적화하여 위험물수송의 안전 및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위험물 수송경로의 기준지표로 사용될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고율과 피해가능규모를 구하도록 사 고건수, 링크 주변노출인구, 링크상의 노출인구, 밀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형식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위험물 수송을 위한 최적경로를 산출하기 위해 위험도와 통행시간을 목적함수로 하는 다목적계획모형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경로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적용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단경로와 비교.분석하였다. 모형적용결과, 링크주변인구만을 고려하는 기존 모형에 비해 링크상의 인구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좀더 실제적으로 교통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피해규모를 산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위험도와 통행시간에 0.5의 비중을 주는 다목적모형이 기존의 위험도모형에 비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최소 4%, 최대 12%의 통행시간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 PDF

Estimating O-D Trips Between Sub-divided Smaller Zones Within a Traffic Analysis Zone (대존 세분화에 따른 내부 소존 간의 O-D 통행량 추정 방법)

  • KIM, Jung In;KIM, Ik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6
    • /
    • pp.575-583
    • /
    • 2015
  •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 builds the origin and destination(O-D) trip data with relatively smaller zone size such as Eup, Myeon, Dong administration unit districts in metropolitan area. Otherwise, O-D trip data was built by bigger size of traffic analysis zone(TAZ) such as Si, Gun, Gu administration unit districts for rural area. In some cases, it is needed to divide a zone into several sub-zones for rural area in order to analyze travel distribution pattern in detail for a certain highway and rail project.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to estimate O-D trips for sub-zones in the larger-size zones in rural area. Two different distribution models, direct demand model and gravity model, were calibrated for sub-zone's intra-zonal O-D trip pattern with metropolitan area O-D data which has smaller zone-size (sub-zone) data categorized by low, midd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The calibration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models. The gravity model with impedance function of power functional form was selected with better explanation for all group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adjusted $R^2$ was 0.7426, 0.6456 and 0.7194 for low, midd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group, respectively. The suggested O-D trip estimating method is expected to produce enhanced trip patterns with sub-divided small zones.

Job Mismatch in Korean Regional labor Market: Matching Efficiency Analysis using Stochastic Production Frontier Approach (한국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 -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결합 효율성 분석 -)

  • Yang, Jun Seok;Jeon, Yongi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4
    • /
    • pp.752-765
    • /
    • 2012
  • We analyze the relation empirically between regional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nd job matching efficiency with the adaption of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as both the ratio of 50 years-old-job seekers and the level of spatial density increase, job matching efficiencies also rise. In contrast, an increase in the ratio of firms which offer permanent contracts lowers job matching efficiencies. And the job matching efficiency is relatively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Finally, We fin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otal industrial production and job matching efficiency, which implies that job seekers tend to accept uncongenial jobs in the recessions.

  • PDF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 (해안지역 지하수의 지속적 확보방안)

  • Hun, Hong Sung;Park, Nam Sik;Kumar, B.N.;Han, Soo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46-250
    • /
    • 2004
  • 국내 수자원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가뭄 시 해안 지역은 제한급수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건교부, 2001). 또한 해안지역의 평균 상수도 보급률은 $40\%$대로서 전국 평균 $87.1\%$(환경부, 2001)의 절반 정도이다. 실제로 해안지역의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지하수 이용량 약 31억$m^3$/년(수자원공사, 2002)의 약 $21\%$를 차지하고 있지만, 1인당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평균 $65m^3$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가 있다(홍성훈, 2003). 즉, 용수공급원의 부족으로 해안지역에서는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이로 인해 해안 지역에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과 그로 인한 해수침입 등의 환경 장애와 더불어 폐공 발생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과 해안지역을 고려한 지하수의 지속적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국외 인구동향을 보면 밀도류나 해수침투와 같은 해안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최적개발 모델이 개랄 또는 적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해안지역 지하수 개랄 및 관리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충족조건 내신 하나의 목적함수(예를 들어 최적 양수량, 최적 비용 등)만을 고려하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적인 문제에서는 어느 위치에서 얼마만큼 개발되어야 하는지를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정의 최적 개발량과 치적 위치라는 두개의 최적해를 고려할 수 있는 최적 양수모델을 제시하고, 실험실 수리모형에서의 검증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해안 지하수의 지속적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