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순환

Search Result 43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eotechnical Evaluation on the Application of Reactive Vertical Drainage Method (반응성연직배수공법의 적용에 대한 지반공학적 평가)

  • Na, Hyoung-Yun;Chae, Deokho;Oh, Myoung-Hak;Cho, Wanjei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7
    • /
    • pp.13-17
    • /
    • 2012
  • Recently, our ocean development paradigm is changing so that the development focus has been moved from the port facility developments to creating useful marine space. This paradigm accords well with the current green technology and helps the growth of service industries and the development from this paradigm can become a national land mark. Accordingly, the concept of creating marine waste landfill by the development of resource recycling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for eco-friendly space as an artificial island in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reactive vertical drainage method that is to pursue the purification of pollutants as well as stabilization of newly deposited soils in marine environments. To install the reactive vertical drainage piles for more effective feasibility and constructability, placements of drainage mid-layer are considered in the geotechnical viewpoint.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standard consolidation tests after several types of model test. As s result, the application of mid-layer drainage is strongly recommended in the reactive vertical drainage to quickly stabilize newly deposited soils. And vacuum consolidation method has better consolidation characteristic than vertical loading method in terms of the settlements predicted by additional stress for further use as an artificial island.

Soil Respiration in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落葉松) 인공조림지내(人工造林地內) 토양발생(土壤發生)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에 관한 연구(硏究))

  • Son, Yowhan;Kim, Hyun-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5 no.3
    • /
    • pp.496-505
    • /
    • 1996
  •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every two weeks from May through November 1995 using the soda lime method in 40-Year-old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on a similar soil in Yangpyeong, Kyonggi Province. Treatments included control and no-roots(plots trenched and root regrowth into plots prevented). Root respira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no-roots sub-plots to control plots. Mean soil respiration showed highly significant species effects(p<0.01) and was highest at the Pinus rigida control plot($0.38g/m^2/hr$) and lowest at the Larix leptolepis no-roots plot($0.31g/m^2/hr$). High soil respiration in Pinus rigida may be related to aboveground litter production. The annual $CO_2$ fluxes ranged from 23 to 27t/ha/yr. We fou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mperatures(air : $R^2$=0.53, soil : $R^2$=0.55) and soil respiration(p<0.01),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il moisture and soil respiration(p>0.1). Root respiration was 3% of total soil respiration. We might underestimate rapt respiration because of shallow trenches and $CO_2$measurements right after trenching. Factors controlling soil respiration including belowground litterfall(especially fine roots) inputs, litter quality should be well understood to predict soil carbon fluxes and relative contributions to total soil respiration in forest ecosystems.

  • PDF

Aboveground Biomass, N and P Distribution, and Litterfall in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落葉松) 인공조림지(人工造林地)의 지상부(地上部) 생체량(生體量), 질소(窒素)와 인(燐)의 분포(分布) 및 낙엽(落葉)에 관한 연구(硏究))

  • Kim, Jong-Sung;Son, Yowhan;Lim, Joo-Hoon;Kim, Zin-Su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5 no.3
    • /
    • pp.416-425
    • /
    • 1996
  • Aboveground biomass, distribution of N and P in tree components, forest floor and the top 20cm of mineral soil, and litterfall were determined in adjacent 37-year-old plantations of Pinus rigida Mill. and Larix leptolepis Gord. on a sandy clay loam soil in Yangpyeong, Kyonggi Province. Total above-ground tree biomass for P. rigida and L. leptolepis were 138.2 and 127.2 t/ha, respectively, and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species. Nitrogen concentrations in stembark and foliage were all greater in L. leptolepis. Understory biomass contributed less than 2.0% of the total aboveground biomass but contributed up to 12.0% of the aboveground nutrient contents. Soil below L. leptolepis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N and P. Total ecosystem N content (kg/ha) was greater for L. leptolepis (5,579) than P. rigida (4,147). Litterfall dry mass (kg/ha/yr) was greater for P. rigida (6,020) than L. leptolepis (4,191) whereas N contents in leaf litterfall (kg/ha/yr) was almost twice as large in L. leptolepis (28) than P. rigida (16). This common garden experiment suggests a strong influence of tree species on nutrient distribution and cycling in a forest ecosystem.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charge Measurement Methods at a Experimental Stream Downstream of Dam (댐 하류 시험하천에서의 유량 측정 방법간 비교)

  • Lee, Chan-Joo;Kim, Won;Kim, Dong-Gu;Kim, Ch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38-1342
    • /
    • 2006
  • 수자원의 계획과 관리를 위해 정확한 유량 측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량 측정방법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하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량 측정방법을 시험하천에 동시에 적용하여 유량 측정 방법간 비교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비교를 위해 적용된 방법은 유속면적법, 부자법, ADCP법 등의 비연속적 방법과 기존 보를 이용한 방법, 초음파 유량계를 이용한 방법, 유속지수법, 실시간 경사면적법 등의 연속적 방법이다. 평저수기에 주로 적용될 수 있는 비연속적 방법인 유속면적법과 ADCP법의 비교에서는 유속면적법이 방류량 대비 평균 ${\pm}4.7%$의 오차를 가지며, ADCP법의 경우 ${\pm}4.6%$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연속적 방법과 연속적 방법을 동시에 비교하기 위해 평저수 5회, 홍수 2회를 포함하는 총 7회의 동시 유량측정이 수행되었다. 유속면적법과 ADCP법은 부적절하게 적용된 경우를 제외하면 오차는 대체로 10% 이내로 나타났다. 부자법의 경우 홍수시에만 적용되었으나 오차가 방류량 대비 20% 이상으로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연속적 방법은 기존 보의 경우 개발된 수 위-유량 관계의 이하의 저유량에 적용할 경우 오차가 다소 크게 산정되었으나 그 이외에는 대체로 10%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일부 저수위의 유속지수법을 제외하면 연속적 방법은 모두 오차가 10% 이내로 조사되었다. 향후 보다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유량 범위에서의 검증이 필요하지만, 시험하천에서의 유량 측정 방법간 비교는 국내 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향 범위는 최대 $0.07km^2$ 면적에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남조 수화현상이 심화될 경우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

  • PDF

Water Budget Analysis of Four big river basin based on K-WEAP (K-WEAP을 이용한 4대 권역별 물 수지 분석)

  • Moon, Jang-Won;Choi, Si-Jung;Lee, Dong-Ryul;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62-1366
    • /
    • 2006
  • 우리나라에서는 하천법 제11조에 의거하여 10년마다 한 번씩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5년마다 이를 수정 보완하고 있다. 2001년 7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이 수립된 이후 잦은 봄 가뭄 등 이수측면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와 최근 이상홍수 등으로 인한 대규모 홍수피해 발생에 따른 치수측면의 종합적인 대책의 제시가 요구되면서 2001년 수립된 계획에 대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자원계획의 신뢰성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문제제기와 지역 차원의 수자원계획 및 수자원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로 인해 계획 수립 과정과 결과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을 위한 체제의 구축이 금번 보완 계획의 수립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금번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완은 투명성 확보라는 큰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수자원 관리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물 수급 전망 및 용수수급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다. 기 개발된 한국형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모형을 보완 계획 수립 과정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K-WEAP 모형을 통해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수급 균형을 판단함으로써 일반 대중에게 물 수급 관련 상황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각 권역별로 2003년의 물 수급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하천의 관측유량과 비교해봄으로써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각 권역에서 시나리오별로 추정된 용수수요량을 이용하여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목표연도별 물 수급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물 수급 분석 시 지하수 및 농업용 저수지 등 하천과 다목적댐 이외의 지역 공급원에 대해서도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

  • PDF

A Study on Potential Industries in Demand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Technologies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잠재적 수요처 파악에 관한 연구)

  • Jeong, Da-Yeon;Kim, Hyun-Keong;Heo, Eun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72-1376
    • /
    • 2006
  • 기술개발자 혹은 기술공급자의 예측에만 의존하는 기술의 가치 추정은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될 우려가 있으며, 정확한 기술가치평가를 위해서는 공급측면에서의 분석과 함께 수요측면에서의 가치평가가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을 사용하게 될 잠재적 수요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의 잠재적 수요처 파악을 통해 기술개발자들은 수요산업에 보다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기술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부가 시행하는 21C 프론티어 사업의 2단계 주요사업으로 선정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에서 개발 중인 기술의 수요처 선정을 위한 준비 단계로써 공급지장비용 분석을 포함한 산업연관분석을 사용하여 수자원의 확보 또는 공급지장에 따른 산업부문별 파급효과를 산출하였다. 파급효과의 산업부문별 순위는 용수의 재분배 우선순위의 주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나, 공공재인 수자원의 특성과 산업의 특성에 따른 현실적인 제약조건들을 고려해볼 때 직접적으로 기술의 수요처라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파급효과의 순위에 따라 기술의 수요가 발생했을 때 기술의 최대가치가 실현됨은 자명한 사실이며, 개별기술에 대한 사례연구 시에 수요산업의 대략적인 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개발자들이 수요처에 대한 인식을 보다 명확히 함으로써, 정부와 산업체를 통해 실용화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수도산업의 수요측면 공급측면 파급효과가 산출되었고, 수도의 공급지장으로 인한 파급효과의 순위는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제1차금속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별기술의 달성가능한 최대가치가 산출되고, 개별기술의 사례연구 시에 설문대상 산업이 선정되어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수요처 선정을 위한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 PDF

Surgical Treatment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흉복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 Kim, Kyung-Hwan;Ahn, Hyu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86-893
    • /
    • 2000
  • 배경: 흉복부 대동맥류는 질환 자체가 광범위하고 수술 중 척수를 포함한 각종 장기의 보호 및 허혈 방지라는 면에서 아직도 수술 합병증이 높은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치료성적, 합병증 발생, 사망률 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흉복부동맥류로 수술을 시행한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자가 22명, 여자가 16명, 평륜 연령은 46.2$\pm$12.3세였고, 크로포드 진단분류 상 1형 이 13례(34.2%), 2형이 19례(50%), 3형이 4례(11%), 4형이 2례(4.8%)였다. 만성 대동맥박리증에 관련된 경우가 29례(76.3%)로 가장 많았고,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가 9례(23.7%)에서 있었다. 원위부 대동맥 관류를 35례에서 시행하였으며, 고동맥-고정맥 심폐바이패스를 31례에서,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4례에서 시행하였다.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31례중 4례에서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를 이용하였다. 대동맥 차단 중 복강내 주요 대동맥 분지로의 선택적 관류를 시행하였다. 대동맥류의 최대직경은 평균 8.2$\pm$2.4cm이었고, 동맥류가 파열된 경우는 11례(28.9%)에서 있었다. 전례에서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동맥의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단계적으로 흉복부 대동맥을 겸자하면서 인공혈관을 문합하였고, Adamkiewicz 동맥으로 생각되는 부위의 늑간 동맥을 문합해주었는데, 8번째부터 12번째 흉추 사이의 늑간 동맥 중 역류혈류가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것들을 문합해 주었다. 술 후 조기사망은 3례에서 있었으며, 사인은 심폐기 이탈 실패 (2례), 저혈압 및 산증(1례) 등이었다. 조기 합병증으로는 애성 5례, 출혈 5례, 창상간염 3례, 장기간의 인공호흡기보조가 3례 등이 있었다. 치명적인 조기 합병증인 하지마비는 2례(5.3%)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례는 대동맥의 심한 석회화로 늑간동맥을 문합해 주지 못했던 경우였다. 35명의 환자에서 평균 추적기간은 103.1$\pm$6.1 개월, 2년 생존율은 93.8%, 5년 생존율은 86.1%, 8년 생존율은 80.7%였다. 추척기간 동안 4례의 만기사망이 관찰되었고, 사인은 2례에서는 갑작스런 의식소실이 발생하여 규명하기 어려웠으며, 대동맥-식도루 발생에 의한 경우가 1례, 경동맥류 파열에 의한 경우가 1례 등이었다. 만기 합병증으로는 복부 대동맥류(2례),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 근부 확장(1례), 대동맥-늑막루(1례), 창상 부위 탈장(1례), 역행성 사정(1례) 등이 있었다. 결론: 저자들은 흉복부대동맥류의 수술에 있어 심폐우 회술 혹은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통한 원위부 관류 및 저체온법, 수술 시 척수의 혈류공급과 관련된 늑간동맥의 연결 등으로 주요 신경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고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향후 임상 경험 축적과 함께 보다 정련된 위험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Introduction to the first pilot plant project for geothermal power generation in Korea (국내 최초 지열발전 pilot plant 프로젝트 개요)

  • Yoon, Woon Sang;Lee, Tae Jong;Min, Ki-Bok;Kim, Kwang-Yeom;Jeon, Jongug;Cho, Yong-Hee;Song, Yoon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96.2-196.2
    • /
    • 2011
  • 지구온난화와 화석연료 고갈에 대한 우려로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활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 중에서 날씨 및 계절에 의한 영향, 기저부하 담당, 지상 점유 면적, 소음 등 생활환경 영향,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지열에너지는 미래 청정에너지원로서 기대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화산이 존재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의 지열발전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지금까지의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는 대부분 지역난방, 시설영농 등 직접이용을 목표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2003년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한 포항 심부지열에너지 개발사업의 결과로 얻어진 다양한 지질학적/지열학적 증거들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국내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 5 km 심도에서 최대 약 $180^{\circ}C$의 지온이 예상되어 국내에서도 심부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지열발전에 대한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 유럽과 미국 그리고 호주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비화산 지역에서 지하 심부에 인공적으로 지열저류층(파쇄대)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열매체(물)를 순환시킴으로써 생산된 증기를 발전에 활용하는 EGS (Enhanced Geothermal System) 기술이 개발되고 몇몇 성공사례가 발표되었다. 또한, 이러한 기술개발에 힘입어 EGS 지열발전에 대한 선진국의 과감한 연구비 투자가 이어졌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12월에 EGS 지열발전 과제가 착수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수행되는 EGS 기술 개발과제로서 2015년까지 약 480억원의 R&D 예산을 투입하여 MW급의 지열발전 pilot plant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국내외적인 파급효과는 매우 클것이다. 특히 2015년까지 1.5 MW의 pilot plant의 구축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국내에서는 2017년까지 3 MW 이상, 2020년까지 20 MW이상, 2030년까지 200 MW 이상의 지열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축적된 기술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해외의 지열발전 사업에도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프로젝트는 넥스지오를 주관기관으로 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등의 지질자원 관련 연구 및 교육기관과 포스코, 이노지오테크놀로지 등의 산업체가 참여하여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관심있는 여러 기관 및 산업체의 지원과 참여를 기대한다.

  • PDF

Surgical Repair and Long Term Results in Sinus of Valsalva Aneurysm: Twelve Year Experience (발살바동 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및 장기 결과)

  • 방정희;조광현;우종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7
    • /
    • pp.578-584
    • /
    • 2004
  • Sinus of Valsalva aneurysm is a rare cardiac anomaly and a long-term survival after surgical treatment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long-term surgical results after the repair of sinus Valsalva aneurysm. Material and Method: From April 1991 to November 2003, 35 patients (23 male, 12 female, mean age 35.2 years, range 11∼64) underwent operation for sinus of Valsalva aneurysm. Twenty six patients (74.3%) were in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 III∼IV before surgery. In preoperative echocardiogram, mean EF was 63.32 $\pm$ 11.43% and nine patients (25.7%) were in AR grade III∼IV. Direct closure, patch closure of ruptured sinus Valsalva were performed in fourteen patients (46.7%), sixteen patients (53.3%) respectively. Aortic valve replacement, valvuloplasty were performed in five patients (14.3%), three patients (8.6%) respectively. Three patients (8.6%) underwent the Bentall procedure. Concomitant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5 patients (42.9%), which were closure of VSD and ASD. Mean CPB time and ACC time were 116.79 $\pm$ 38.79 and 81.2 $\pm$ 28.97 minutes. Result: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One patient (2.9%) developed complete heart block that required a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Three patients (8.6%) required reoperation due to a recurred rupture of the sinus Valsalva aneurysm and developed aortic insufficiency. Mean follow-up time was 58.55 $\pm$ 38.38 months. There was one late death. Actuarial 5 year freedom rate from reoperation was 87.1 $\pm$ 7%. Conclusion: Surgical treatment for sinus of Valsalva aneurysm is safe and has satisfactory long-term results.

The Development of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nd Growth of Leafy Vegetables as Affected by Different Light Sources (컨테이너 식물공장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광원별 엽채류의 생장특성)

  • Um, Yeong-Cheol;Oh, Sang-Seok;Lee, Jun-Gu;Kim, Seung-Yu;Jang, Yoon-Ah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9 no.4
    • /
    • pp.333-342
    • /
    • 2010
  • For the energy-saving production of fresh vegetables in poor environment such as the Antarctic,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maximize space usage of the 20 feet container ($L5.9m{\times}W2.4m{\times}H2.4m$), a three-level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was installed and the nutrient solution was supplied by bottom watering. Using this system, 3 lettuce cultivars were grown under different the light source (light intensity). After 2 weeks from the transplanting, fluorescent lamp ($145\;{\mu}mol{\cdot}m^{-2}{\cdot}s^{-1}$) showed the best fresh weight of top part and leaf area. However, After 4 weeks, fluorescent lamp plus metal halide lamp ($150\;{\mu}mol{\cdot}m^{-2}{\cdot}s^{-1}$) led to the optimum growth of the each lettuce cultivar. The cultivar, 'Cheongchima', showed the best fresh weight of top part and leaf area, followed by 'Jeokchukmyeon' and 'Lollo rosa'.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s (SPA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ources of lights. However, 'Cheongchima' showed relatively high chlorophyll concentration. With the above results, we found that the growth of lettuce is depend on light intensity and even at same intensity, the growth is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Therefore, the selection of optimum cultiva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t factory system that has only weak light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