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고려대학교
Aboveground biomass, distribution of N and P in tree components, forest floor and the top 20cm of mineral soil, and litterfall were determined in adjacent 37-year-old plantations of Pinus rigida Mill. and Larix leptolepis Gord. on a sandy clay loam soil in Yangpyeong, Kyonggi Province. Total above-ground tree biomass for P. rigida and L. leptolepis were 138.2 and 127.2 t/ha, respectively, and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species. Nitrogen concentrations in stembark and foliage were all greater in L. leptolepis. Understory biomass contributed less than 2.0% of the total aboveground biomass but contributed up to 12.0% of the aboveground nutrient contents. Soil below L. leptolepis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N and P. Total ecosystem N content (kg/ha) was greater for L. leptolepis (5,579) than P. rigida (4,147). Litterfall dry mass (kg/ha/yr) was greater for P. rigida (6,020) than L. leptolepis (4,191) whereas N contents in leaf litterfall (kg/ha/yr) was almost twice as large in L. leptolepis (28) than P. rigida (16). This common garden experiment suggests a strong influence of tree species on nutrient distribution and cycling in a forest ecosystem.
경기도 양평지역의 사질식양토 위에 인접하여 생육하고 있는 37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조림지에서 지상부 식생의 생체량, 임목과 낙엽층 및 지표로부터 20cm 깊이까지의 토양내 질소(N)와 인(P)의 분포 그리고 낙엽량 등을 측정하였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의 지상부 임목의 생체량은 각각 138.2t/ha와 127.2t/ha로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다. 수피와 엽내 N의 농도는 낙엽송에서 리기다소나무 보다 높았다. 하층식생이 지상부 식생의 총생체량에 차지하는 비율은 2% 이하이었으나, 양료량에서는 12.0%까지 차지하여 양료의 주요 분포장소로 나타났다. 토양내 N과 P의 농도는 낙엽송 임지에서 리기다소나무 임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계내 총N의 함량은 낙엽송에서 5,579kg/ha로 리기다소나무의 4,147kg/ha보다 많았다. 연간 낙엽량은 리기다소나무에서 6,020kg/ha로 낙엽송의 4,191kg/ha보다 많았으나 낙엽중 엽내 N의 함량은 낙엽송에서 2배정도 많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종이 산림생태계내 양료의 분포와 순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Supported by : 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