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공고관절수술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고관절 주위 통증의 원인과 초음파적 진단 (Painful Causes around Hip Joint and Evaluation using Ultrasonography)

  • 한계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52
    • /
    • 2009
  • 고관절과 그 주위의 질환들의 진단적 검사는 그 동안 주로 단순 방사선 검사와 CT, MRI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관절 주위의 건과 점액낭 등에 의한 병변에는 초음파 검사가 진단에 유용할 수 있으며 또한 추적 검사에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인공고관절 치환 수술 후에도 추적 검사상 활용도가 있어 그 사용이 넓어질 여지가 있다. 하지만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관절 주위의 정상적인 구조물들의 초음파 영상과 병적 소견들을 소개하고 그 개략적인 것들을 설명하였다.

  • PDF

고관절 및 인공 고관절의 생역학 (Biomechanics of Hip and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 이영균;최지혜;원희재;구경회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377-383
    • /
    • 2019
  • 고관절의 생역학은 고관절에서 체중이 관절면을 통해 전달되는 역학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기초 과학 지식은 퇴행성 관절의 병리와 고관절 치환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고관절의 생역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공 고관절 치환물의 재료와 설계 및 고정과 관련된 고관절 치환술 분야의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수술 방법의 선택, 치환물의 선택 및 위치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환자의 보다 나은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관절의 생역학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고관절의 생역학을 접근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정상 고관절 및 인공 고관절의 생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정맥혈전 색전증 고위험군에서 시행한 혈전색전 예방요법(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지침 및 American College of Orthopedic Surgeons 지침)의 준수율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Compliance for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Guideline and American College of Orthopedic Surgeons Guideline) in High Risk Patients with a Venous Thromboembolism)

  • 서유성;노재휘;장병웅;강덕원;원성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17-326
    • /
    • 2019
  • 목적: 인공관절 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시행한 2가지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요법의 준수율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술 후 발생하는 정맥혈전 색전증은 인공 슬관절 치환술이나 인공 고관절 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항응고제 사용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1년 2월, 2012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에서 인공 슬관절 치환술, 고관절 전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로 고관절 반치환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검토하여 각각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ACCP) 가이드라인과 American College of Orthopedic Surgeons (AAOS)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행한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요법의 준수율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인공관절 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ACCP 가이드 라인에 따라 준수하고 있는 경우가 화학적 요법에서는 수술 전에 56.0%, 수술 후에는 67.0%, 물리적 요법에서는 80.5%의 준수율을 보였다. 또한 AAOS 가이드라인에 따라 준수하고 있는 경우가 화학적 요법에서는 74.1%, 물리적 요법에서는 88.3%의 준수율을 보이며 ACCP 가이드라인에 비해 높은 준수율을 보였다. ACCP 가이드라인의 수술 전 후 화학적 예방요법과 물리적 예방요법의 준수율과 AAOS 가이드라인의 화학적 예방요법과 물리적 예방요법의 준수율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인공 슬관절 치환술의 수술 전과 후, 고관절 골절 수술의 수술 전과 후, 전체 고위험군 수술에서 수술 전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정맥혈전 색전증 고위험군 수술에서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요법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준수율을 전반적으로 높여서 적절한 예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일선 정형외과의를 위한 통일된 방향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다.

고관절 골절로 인공고관절 수술을 받은 노인의 신체적 기능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분석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Arthroplasty from Hip Fracture)

  • 고영지;이주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7-7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on the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arthroplasty from hip fracture. Methods: A total of 12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structured manuscript, field notes, visual recording, and debriefing notes were referred and thematic analysis was used in analysis phase. Results: The six themes were raised: 'burdensome client',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 of functional decline in older adults after surgery',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 of caregiver', 'medical environment perceived as affecting physical function', 'crucial components perceived as encouraging functional restoration', and 'difficulty of pain management' with 18 subthemes. Conclusion: Healthcare providers perceived functional decline of elderly after arthroplasty and identified points facilitating or disturbing physical function Moreover, various perspectives on pain management related to physical function were represented.

인공 고관절 수술 환자에서 지지간호중재가 고관절 기능, 불안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Program on Hip Function, Anxiety and Uncertainty for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 김선화;이혜진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3호
    • /
    • pp.419-43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Methods: Forty-two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September, 20, 2011 to January, 3, 2012.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wenty-six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supportive nursing care program which comprised of 6 nurse visits pre and post operation and 4 follow-up phone calls after discharge. Another 26 subjects received conventional nursing care program as a control group. Hip function, anxiety, and uncertainty were evaluat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5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The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by SPSS 18.0. Results: Hip fun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3.31, p<.002). Anxiety and uncertaint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7.12, p<.001 and t=4.6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upportive care intervention for patients receiving total hip arthroplasty could be utiliz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hip function and to reduce anxiety and uncertainty of patients receiving total hip arthroplasty.

최소침습술을 위한 고관절 메커니컬 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Hip Joint Mechanical Stem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이성현;배지용;전인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7호
    • /
    • pp.703-708
    • /
    • 2013
  • 고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골두와 비구 부분이 손상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였을 때, 인공 고관절로 대체하는 수술로서 인체에는 많은 양의 절개를 필요로 하며 장기간의 회복시간과 재활시간을 필요로 한다. 최소침습술은 환자에게 흉터와 근육절개를 최소화하고, 회복시간을 단축하여 미관상 흉터가 적어 가장 선호되는 수술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최소침습술이 가능한 메커니컬 스템(Mechanical stem)을 기어의 원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재치환술을 할 경우에는 스템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일부 부품만을 교체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아크릴 소재로 모형을 제작하여 작동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3D Bio-CAD 모델링 기법을 통하여 메커니컬 스템의 기하학적 모델링을 하였다. 실험 대상자의 고관절 부위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재구축을 하였고, 가상 시술 환경 조건에서 몸무게보다 더 과중한 하중을 적용하여 메커니컬 스템의 안전성을 유한요소해석으로 확인하였다.

안장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Saddle Prosthesis)

  • 박일형;인주철;이종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3-144
    • /
    • 1995
  • 고관절 제거후 재건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안장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동종골 이식술후 고관절 전치환술, 열처리한 자가골 재삽입 후 고관절 전치환술, 좌골 대퇴골간 유합술, 가동 관절로 그대로 두는 방법 등에 비해서 수술 시간의 단축에 의한 감염율 및 기타 이환율의 감소, 술후 조기 보행 가능, 좌식 생활을 하는 한국인의 생활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 방법은 Modular system으로 다리 정렬 상태를 잘 보존시킬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추후 골 재건술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비구를 침범한 악성 골 종양을 제거 고관절의 재건을 위해 3예에서 안장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1예에서 가역성 서혜부 탈장이 관찰되었으나 12개월, 19개월(사망), 27개월의 추시 관찰 결과 자가 보행,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하고, 쪼그려 앉기와 방바닥에 앉을 수 있으며, 통증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구를 침범한 골 종양 제거후의 고관절 재건술의 좋은 방법으로 판단되어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일반 수술 침대와 짧은 대퇴 주대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의 직접 전방 도달법과 변형된 전 측방 도달법에 따른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Outcomes after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a Short Stem between the Modified Anterolateral Approach and Direct Anterior Approach with a Standard Operation Table)

  • 박명식;윤선중;최승민;조홍만;정우철;강경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4-253
    • /
    • 2019
  • 목적: 일반 수술용 침대와 길이가 짧은 대퇴 주대(short stem)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을 직접 전방 도달법(direct anterior approach, DAA)을 이용하여 시행하고, 임상적 영상의학적 결과를 변형된 전 측방 도달법(modified Hardinge; anterolateral approach, ALA)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단일 술자가 DAA로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한(DAA group) 102명(102예)과 동 수의 ALA를 사용한 환자(ALA group)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수술시간과 출혈량을 비교하였고, 수술 후 통증의 개선 정도와 보행 능력 및 고관절의 기능 회복을 알아보았다. 영상의학적으로 비구 컵과 대퇴 주대의 삽입 위치를 평가하였고, 두 군 간에 발생한 합병증을 알아보았다. 결과: 출혈량은 DAA group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18). 수술 후 3주까지는 하지 근력의 회복이 DAA group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굴곡/신전력 p=0.023, 외전력 p=0.031). Harris hip score를 이용한 기능 평가는 3개월까지(p≤0.001), Koval score를 이용한 보행 능력 평가는 6주까지(p≤0.001) DAA group에서 유의하게 나은 결과를 보였고, visual analogue scale score를 이용한 통증의 개선은 7일까지는 DAA group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5). 비구 컵의 경사각(p≤0.001)과 전염각(p≤0.001)은 DAA group에서 ALA group보다 더 안정 범위에 위치하였고, 대퇴 주대의 위치와 하지 길이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AA group에서 수술 중 2예의 대전자 골절이 발생하였다(p=0.155). 결론: 길이가 짧은 대퇴 주대를 이용하여 일반 수술 침대에서 시행하는 DAA는 수술 후 조기 기능 회복을 보이며, 술자에게 친숙한 해부학적 자세로 수술 중 영상 증폭기 사용이 간편하여 원하는 위치에 인공 관절물을 삽입하는 것과 하지 부동 방지에 유용한 도달법으로 생각된다.

직접전방 접근법을 통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학습곡선 (Learning Curve of the Direct Anterior Approach for Hip Arthroplasty)

  • 함동훈;정우철;최병열;최종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3-153
    • /
    • 2020
  • 목적: 58예의 직접전방 접근법을 통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임상결과와 학습곡선을 분석하여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전방 접근법을 사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초기 시행한 29명과 후기 시행한 29명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수술시간과 합병증(대전자 견열 골절, 외측 대퇴피신경 손상, 이소성 골화증, 감염, 탈구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방법은 양 군 간에 대응표본 T 검정, 카이제곱 검정과 누적합법(cumulative sum, CUSUM)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전치환술은 평균 132.1분, 반치환술은 평균 79.7분으로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기간에 따른 CUSUM 분석을 시행하였고, 전치환술에서는 16번째 증례, 반치환술에서는 14번째 증례부터 수술시간이 각각 평균 수술시간보다 감소하였다. 합병증으로 전반기에 5예, 후반기에 0예로 총 5예의 대전자 견열골절이 있었으며, 외측대퇴피하신경 손상은 전반기 8예, 후반기 2예로 총 10예, 이소성 골화증은 전반기 3예, 후반기 2예로 총 5예, 탈구와 감염은 각각 전반기 1예씩, 기타 합병증 3예가 있었다. 전반기 1년간 수술 중 발생한 대전자 견열골절은 5예(17.2%), 후반기에는 0예(0%)가 있었으며 이를 CUSUM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하였으나 증례가 많지 않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직접전방 접근법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해부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수술 시야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습득하는 데 최소 30예 이상의 학습곡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