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간 치주인대세포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산화질소가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ic oxide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최선영;조진형;강경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65-473
    • /
    • 2006
  • 교정적 치아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치주인대세포에서, 산화질소가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간 치주인대세포를 분주한 후에 산화질소의 donor인 SNP의 농도에 따라 실험군을 구분하고, 세포 활성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osteonectin과 bone sialoprotein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0.2 mM 이하의 저농도 SNP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활성, 염기성 인산분해 효소의 활성, 그리고 osteonectin과 bone sialoprotein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1 mM 이상의 고농도 SNP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산화질소는 인간 치주인대세포에서 저농도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촉진 효과를, 고농도는 억제 효과를 보이는 biphasic effect를 갖는다.

법랑기질유도체가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증식 및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release of growth factors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겨운;방은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03-209
    • /
    • 2016
  • 목적: 치주조직재생을 위해서는 치주인대세포의 증식 및 이주를 촉진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재까지 이것을 만족시키는 재생술식은 없다. 최근 법랑기질유도체(enamel matrix derivatives)가 치주조직 재생 술식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기질유도체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건강한 성인의 제 3 대구치로부터 치주인대세포를 추출한 후, 법랑기질유도체(Emdogain (Biora, Malmo, Sweden))의 농도가 각각 0, 12.5, 25, 50, 100, and $200{\mu}g/mL$인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치주인대 세포증식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고, 발현되는 성장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은 $25{\mu}g/mL$이상의 농도의 법랑기질유도체를 첨가한 군에서,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는 $50{\mu}g/mL$의 법랑기질유도체를 첨가한 군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50{\mu}g/mL$의 법랑기질유도체를 첨가한 군에서 치주인대세포의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와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법랑기질 유도체는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을 증진시키고, VEGF와 TGF-${\beta}$등 성장인자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치주조직 재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치주인대 세포의 교원질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 (EFFECTS OF SUBSTANCE P ON COLLAGEN PRODUCTION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전준영;최제용;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94
    • /
    • 1996
  • Substance P는 교정력이 가해진 치아의 치주인대 중 인장력을 받는 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neuropeptide중의 하나이며, 또한 여러 조직에서 neurogenic inflammation을 야기하는 neuropeptide중의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요한 세포외 단백기질인 교원질의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배양치주인대 세포에서 교원질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ollagenase-digestion method로 교원질 생성을 평가하였고 mRNA 수준에서 작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교원질 생성에 대한 prostaglandin과 gelatinase 생성도 포함하였으며 변성된 교원질의 분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zymography를 이용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 교원성 단백질, 상대교원질에 대한 dose-dependent effect를 보면 Substance P는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켰으나 교원성 단백질 합성은 감소시킨다. 그리하여 총 단백합성에 대한 상대적인 교원질 생성을 나타내는 상대교원질은 $7\%$에서 $3.6\%$로 감소시켰다. 세포를 indomethacin과 동시에 처리할 때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가 prostaglandin의 생성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가 procollagen mRNA의 정상(steady-state)수준에 부합하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시행한 결과 Substance P는 ${\alpha}1(1)$ procollagen mRNA의 양적 변동을 일으키지 않았다. Substance P의 교원질 생성 억제효과는 전사이후의 어떤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임을 나타낸다. 치주인대세포에서 gelatinase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zymography를 이용하였다. zymogram 을 보면 Substance P는 치주인대세포에서 gelatinase 생성에는 아무 효과도 나타내지 않음들 알 수 있다. Substance P의 교원질 생성 억제효과가 치주인대세포에 대해 선택적인가 아닌가를알아보기 위하여 MC3T3-E1세포를 이용하였는데 Substance P는 MC3T3-E1세포의 교원질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에서 S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 PDF

사람의 치수 및 치주인대 세포에 대한 Bioaggregate 시멘트의 생체적합성에 대한 연구 (Biocompatibility of bioaggregate cement on human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PDL) derived cells)

  • 정주령;김의성;신수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73-478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간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에서 유리된 세포를 이용하여 비교적 최근 소개된 Bioaggregate의 생체친화성을 평가하는 데에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사람의 발거치로 부터 치수 및 치근단 조직에서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였다. Bioaggregate와 white MTA를 혼합하여 세포배양판에 적용한 후 같은 수의 세포를 배양하였다. 1, 3, 그리고 7일 후 위상차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의 부착과 성장을 관찰하고 cell viability test를 시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Student t-test및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두가지 종류의 세포 모두 Bioaggregate와 MTA가 혼합된 배양판에서 잘 성장하였으며 Bioaggregate군에서는 inhibition zone이 관찰되지 않았다. Cell viability test에서 두 그룹간 통계적인 유의성 차이는 없었다. 결론: Bioaggreagete는 치수 및 치근단 세포에 대하여 MTA와 유사한 세포친화성을 보였다.

다양한 NSAID가 인간 치주인대세포의 prostaglandin 합성 및 세포 형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VARIOUS NSAIDS ON PROSTAGLANDIN SYNTHESIS AND CELLULAR CONFIGUR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김혁수;심혜영;채창훈;장영일;박준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455-463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ffects of the commonly used NSAIDs(acetaminophen, aspirin, and ibuprofen)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grown from a cell line provid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ffects of NSAID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assessed using MTT assays. And then $PGE_2$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ELISA and the changes of cellular configuration were found by electron micrograp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TT assay demonstrated that the commonly used NSAIDs(acetaminophen, aspirin, and ibuprofen) had not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2. NSAIDs inhibited the $PGE_2$ synthesis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inhibitory effec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NSAID type and concentration. 3. Electron micrographs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treated with NSAIDs showed more narrow and irregular shape.

마이크로그루브 및 열산화 복합 티타늄 표면의 골아세포분화 증진효과 (Effect of titanium surface microgrooves and thermal oxidation on in vitro osteoblast responses)

  • 서진호;이성복;안수진;박수정;이명현;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98-206
    • /
    • 2015
  • 목적: 다양한 크기의 마이크로그루브가 형성된 티타늄 표면에 열산화 처리를 한 복합 표면의 표면특성을 규명하고, 인간치주인대세포 배양 시 표면에 따른 다양한 세포행동들간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Grade II 티타늄 디스크를 시편으로 제작하였다. 포토리소그라피를 이용하여 티타늄 시편의 마이크로그루브 크기를 폭/깊이 $0/0{{\mu}m}$, $15/3.5{{\mu}m}$, $30/10{{\mu}m}$, $60/10{{\mu}m}$로 각각 형성하였다. 평활한 티타늄 표면인 대조군(ST)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ST/TO, Gr15-TO, Gr30-TO, Gr60-TO)에 $700^{\circ}C$에서 3시간동안 열산화 처리하고, 주사현미경 사진을 사용하여 표면특성을 평가하였다. 인간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한 후 BrdU (Bromdeoxyuridine) 실험,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 실험, 세포외 칼슘 침착 실험을 통해 세포접착, 세포분화 및 골광화를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으로는 일요인분산분석과 피어슨상관관계분석(SPSS version 17.0)을 사용하였다. 결과: 열산화를 동반한 마이크로그루브가 형성된 실험군(Gr15-TO, Gr30-TO, Gr60-TO)들은 평활한 대조군(ST)과 단순 열산화 처리 실험군(ST-TO)에 비하여 BrdU 실험,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 실험, 세포 외 칼슘 침착 실험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Gr60-TO군은 대조군 및 Gr15-TO, Gr30-TO, Gr60-TO 군 등에 비해 가장 증진된 세포접착 및 골아세포분화/골광화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열산화 처리 및 마이크로그루브 복합 티타늄 표면은 골아세포분화에 효과적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 된 적정한 마이크로그루브 크기와 열산화 처리 조건은 마이크로그루브-열산화 복합 표면 티타늄 임플란트 개발의 기초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레진계 근관충전실러의 방사선 불투과성 및 세포 독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radiopacity and cytotoxicity of resinous root canal sealers)

  • 김창규;류현욱;장훈상;이병도;민경산;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19-4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레진계 근관충전실러 (AH 26, EZ fill, AD Seal), 산화아연 유지놀계 근관충전실러(ZOB Seal) 그리고 수산화칼슘계 근관충전실러 (Sealapex)의 방사선 불투과성 및 세포독성을 평가한 것이다. 각 실러를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혼합하여 직경 10 mm, 두께 1 mm로 시편을 제작한 후 ISO 6876/2001의 규격에 따라 교합필름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스텝웨지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사진을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저장한 후 Scion 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알루미늄 스텝웨지의 두께와 비교하였다. 각 재료의 세포 독성은 불멸화된 인간 치주인대세포 (immortaliz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IPDL)에서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EZ fill이 가장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고 Sealapex가 가장 낮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다 (p < 0.05). AH 26, AD Seal, ZOB Seal은 중등도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다. Sealapex를 제외한 모든 평가된 재료는 ISO 규격에 부합하는 방사선 불투과성을 보였다. 레진계 실러의 세포독성은 모든 실험 시간대에 걸쳐 다른 계통의 실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p < 0.05) 아울러, EZ fill은 24및 48시간대에서는 AD Seal에 비해, 72 시간대에서는 다른 두 레진계 실러에 비해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그러나 레진계 실러에서 방사선 불투과성의 정도와 세포독성과의 관련성은 없었다 (p > 0.05). 이 실험 결과로 볼 때 레진계 실러는 다른 계통의 실러에 비해 방사선 불투과성 면에서 장점을 가지며 생체적합성면에서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교익사진을 이용한 교정치료 전후의 치조골 높이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ALVEOLAR CREST BONE HEIGHT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BY USING BITEWING FILM)

  • 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21-430
    • /
    • 1997
  • 치조골은 치아의 치배와 치근의 발육에 따라 발달하고 치아의 맹출에 따라 골침착이 계속된다. 골의 성분은 끊임없이 소실되고 다시 첨가되며 균형이 깨지는 경우 치조골의 흡수 또는 과다 침착이 일어난다.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의 재위치시 치조골의 흡수로 인한 치조골높이의 상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의 평가를 위한 여러 선학들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임상연구방법중 재현성과 규격성이 가능한 방사선사진을 이용하게 되었고 그중 치조골의 변화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구치부의 교익사진을 사용하게 되었다. 교정치료 전후에 치조골높이가 어느 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전 구치부의 관계가 Cl I인 10-13세(평균 12.2세)아동을 대상으로 구강내 상태가 양호하며 선천적 결손이 없으며 심한 치주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치료전후의 교익사진이 있는 환자를 무작위로 총 20명을 축출하여 연구대상으로하였고 상하악 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 장축의 변화와 치주높이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하악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 장축의 변화와 치주높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계측치의 평균 표준편차와 중앙값을 구하였다. 2. 상하악좌우측의 치조골의 높이의 치료전후 계측치비교시 거의 모든 계측치에서 하악보다는 상악에서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근원심간의 비교시 3D3과 4M3은 상하 좌우측 모두 원심측이 4M3과 4D3은 근심측이, 4D3과 5M3은 원심측이, 5M3과 5D3은 근심측이, 5D3과 6M3은 근심측이 변화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상하악좌우측의 견치, 소구치, 구치부의 치아의 이동량(TX,TY)과 장축의 변화 (A)를 나타내는 계측항목의 비교시 좌우측 모두 상악의 34TX, 34TY, 34A가 크게 나타났고 이 부위의 치조골높이의 변화가 다른 부위에 비해 컸다.정중구개봉합부를 급속확장시킨 후 신생골 형성은 보정 14일이 지난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보정 28일이 지난 후에는 신생골형성이 훨씬 왕성하게 진행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위 판별식으로 본 연구대상을 판별한 결과, 전체정판별률은 $92.86\%$였다.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작은 군(S군)사이에 수평적 골격관계는 차이가 없으나 수직적 골격관계는 L군이 S군에 비해 하악골이 하방으로 많이 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인 남자군인 G2군에서는 이부비율에 따른 안면골격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교하면 bisphosphonate는 indomethacin에 비해 골흡수 억제효과가 더 크며 투여시간에 따른 제약도 더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EX>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비발치군은 $81.6-84.9\%$, 발치군은 $70.1-72.2\%$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비발치군은 $82.1-85.5\%$, 발치군은 $73.1-75.1\%$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