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학

Search Result 2,58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Uncanny anthropology' -Focused on The Bad Batch- (언캐니 인간학 연구 -<버려진 자들의 땅>을 중심으로-)

  • Kim, Seok-Weon;Kim, Se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2
    • /
    • pp.443-450
    • /
    • 2021
  • This study focused on Ana Lilly Amirpour's movie 'The Bad Batch, 2016'. The core topic of the paper, 'Uncanny anthropology', was specially used in the sense of aiming for ideal anthropology, starting with the meaning of looking at Sigmund Freud's 'Uncanny' theory from 'human relationship (subject and other). The anthropology of F. W. Nietzsche, Martin Heidegger, and Emmanuel Levinas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ncanny anthropology', starting with Kirkegor for the discussion of a new theory of 'Uncanny anthropology'. However, this paper focused on Emmanuel Levinas' relational anthropology due to limited paper relation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film is that it sublimated the malicious relationship with humans into love. He chose topics that were not routine, expressed themes and contents by disconnecting causality in the narrative, and Emmanuel Levinas' 'Uncanny anthropology' is evaluated as a film that expresses only.

Zum Verhältnis zwischen Sein und Wesen in d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 In der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 (철학적 인간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문제 - 에디트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학을 중심으로 -)

  • Lee, Eun-you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275-301
    • /
    • 2011
  • Die Einzelwissenschaften, zum Beispiel, die Biologie, die Psychologie, Soziologie behandeln heuzutage den Menschen. Aber sie alle behandeln den Menschen nach ihren eigenen Gesichtpunkten. Infolgedessen $k{\ddot{o}}nnen$ die Einzelwissenschaften den ganzen Menschen als den Menschen nicht $ber{\ddot{u}}ksichtigen$. Jhre Anthropologien $m{\ddot{u}}{\ss}en$ daher weitgehend $beschr{\ddot{a}}nkt$ bleiben. Dagegen entwickelte Max Scheler im letzten Jahrhundert eine neue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Seine Anthropologie ist wirklich neu und grundgehend. Diese Anthropologie bestimmt den Menschen als Geist, Freiheit, Person. Aber Max Scheler betont allzusehr "den Geist" in sein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und infolgedessen distanzierter sich vom "Leben" in seinem $Menschenverst{\ddot{a}}ndnis$. Die Verfasserin sieht hier in dies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einen Dualismus zwischen den Geist und das leben. Und Verfasserin findet eine Integration von Geist und Leben in der ontologischen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Diese ontologische Anthropologie charakterisiert sich $folgenderma{\ss}en$. 1.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Ge{\ddot{o}}ffnet$-Seins." 2.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Gef{\ddot{u}}hlt$-Seins." 3. Es ist eine Anthropologie des "Einheits-Seins." Die Verfasserin behauptet infolgedessen die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sei eine geeignete und $sachm{\ddot{a}}{\ss}ige$ Anthropologie.

소형 휴머노이드 '베이비봇' 개발

  • 최영진;류제훈;오용환;유범재;오상록
    • ICROS
    • /
    • v.10 no.4
    • /
    • pp.29-34
    • /
    • 2004
  • 로봇 공학의 최종 목표는 인간의 행동, 지능 그리고 상호작용을 모방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을 만드는데 있다[1]. 그 중에서 지능을 모방하는 것이 미래 인간형 로봇의 핵심 기술이 되겠지만, 현재로서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한 로봇의 동작이나 상호작용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로봇 플랫폼 기술 개발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로봇 플랫폼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로봇 메커니즘 설계와 구동 제어기 설계가 중요한 기본 요소이다. 휴머노이드의 메커니즘을 설계함에 있어서는 인간의 표준 기구학 데이터를 이용하고, 구동 제어기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인간의 동역학적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중략)

人間工學과 自動車 관계

  • 유시호;김재현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3
    • /
    • pp.196-202
    • /
    • 1982
  • 인간공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생리학, 해부학, 위생학, 심리학, 공학, 이학, 사회학등 관련 학문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현재 연구중에 있는 인간공학은 시각, 청각, 신체계측, 운동능력, 기기의 배역, 인간의 작업용량에 관계하는 인자등에까지 그 전개를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간공학과 자동화 관계에 있어서 인족적 문제, 좌석과의 관계, 운전자의 피로관계등을 저리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Complexity in the Interior Space by Nigel Coats (Nigel Coats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복잡성에 관한 연구)

  • 문정묵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18
    • /
    • pp.110-116
    • /
    • 1999
  •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인간의 창조는 자연의 모방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이루어져 왔다. 신의 작품이 위대한 자연이라면, 인간의 작품은 극히 단순한 그것의 모방에 불과한 것인데, 인간은 인간의 제한된 두뇌 활동으로 이해하기가 불가능한 복잡한 자연을 인식하기 위하여 단순화(simplification)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기하학(geometry)은 극도로 발전하게 되며, 인간의 자연 인식을 위한 보편적인 수단으로 자리잡게 된다. 중요한 사실은 기하학이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에 의한 창조의 목표로서 위치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즉 기하학은 자연의 모방이전에 이미 인간의 상상력을 지배해왔고, 그것은 가장 보편적인 창조원리가 되어왔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 특히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그 복잡한 자연은 단순화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복잡한(complex) 상태로 인간에게 이해되어지기 시작했다. 그중 하나가 19세기에 시작된 복잡성(chaos)이론인데 실내공간의 디자인에 있어서도 이러한 자연의 복잡성(complexity)이 새로운 창조 원리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대표적인 실내 공간 다지이너로서 Nigel Coats를 꼽을 수 가 있는데 그의 무정부적인 (anarchism) 디자인 성향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있는 특징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추구한 복잡성(complexity)은 일본의 동경과 같은 고 밀도(high density)의 적극적 소비 도시(active consuming city)에서 발견되는 지극히 인간적인 도시생활을 만들기 위한 software의 제작이며, 이는 자연이라는 신의 창조물에 근접한 모방이 된다. 본 연구는 Nigel Coats의 작품에서 발견될 수 있는 이러한 무정부주의적 성향이 어떻게 자연의 본질적인 복잡한 (complex) 모습과 관련이 되는가를 통하여 현대 실내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이 이 시대의 과학적 발견에 따른 복잡성(complexity)과 유관함을 보여준다.

  • PDF

세기말 문학에 대한 안타까운 사랑-평론집 "상황과 인간"에서 "가짜의 진실, 그 환상"까지

  • Kim, Ju-Ye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7
    • /
    • pp.20-21
    • /
    • 1998
  • 나의 평론집에는 '인간'이라는 말이 늘 화두로 등장한다. 무엇 때문에 그토록 '인간'에 매달렸는지 모르겠는데, 결국 그것은 '인간'을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의 과정이었다. 총체적 인간학인 문학의 보다 높은 원리를 갈구하던 나의 평론은 세기말 문학현상에 대한 안타까운 사랑이다.

  • PDF

Sensibility Ergonomics : Research and Application for Consumer Products Development (감성공학의 연구와 제품개발에의 응용)

  • 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04a
    • /
    • pp.59-63
    • /
    • 1993
  • 감성공학은 "인간이 제품이나 주변환경에 대하여 감각기관으로 부터 받아들인 각 종 정보자 극과 개인의 판단을 통하여 갖게되는 복합감정으로서의 감성을 측정, 분석하여 제품이나 환경을 인간의 생활에 편리하고 안락하며 만족스럽게 개발하는 전체과정" 이라고 정의 되었다. 이러한 감 성공학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영문명칭으로는 "Sensibility Ergonomics"가 제안되었으며, 감 성공학의 정의에 따르는 연구의 내용에는 인간의 감각(sensing)과 인지(perception), 감각정보처 리(information processing), 정신적 작업부하(mental workload)와 스트레스, 인간복합감정변화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특히 감성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심리학 (experimental psychology)과 심리생리학(psychophysiology)등의 실험연구가 강조되었다. 동일한 감각 또는 정보자극에 대한 개인별 감성변화의 차이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제반 인체의 특성과 함께 인종, 지역, 환경, 전통등을 포함하는 생활문화 연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렇게 사용자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감성공학적으로 개발된 제품을 "High Culture" 제품이라 명명하였다.High Culture" 제품이라 명명하였다.명하였다.

  • PDF

21세기 국방과학 핵심기술로의 인간공학(1)

  • O, Jae-Sa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175
    • /
    • pp.26-33
    • /
    • 1993
  • 무기체계에는 무기, 인간조작자, 전투환경 및 지원조직을 폭넓게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강조되는 인간은 임무성능의 최적화에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인간공학 접촉면(HIS)은 인간공학, 심리학, 생리학, 운영분석, 전자, 컴퓨터 및 체계공학 등의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과학기술투자는 미래에 대한 체계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보다 높은 이익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 PDF

Beyond Humanism - The End of Modern Humanity and the New Transformations of Human Being (휴머니즘의 경계를 넘어서 - 근대 인간학의 종언과 인간의 새로운 변형 -)

  • Choi, Jin-Seok
    • Cross-Cultural Studies
    • /
    • v.41
    • /
    • pp.381-413
    • /
    • 2015
  • This article aims to trace a historical trajectory of "Humanism" as a Modern scientific concept in the light of Michel Foucault's genealogy. Generally, we believe that Humanism is a natural and eternal idea for mankind, because no one doubts that he or she is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a "Human Being."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French philosopher Foucault, the Idea of Humanism, or anthropocentrism, appeared only in the Modern Age, from the 16th century downward. Before the Renaissance, human beings did not occupy the most important status in Nature, and only existed as natural beings. As soon as mankind was liberated from the superstitious of fear and religious dogma, the concept of "Human Being" is supplied with new meanings and values. The famous maxim, such as, "Man is the lord of creation" constitutes modern human science as an inviolable category of modernity. However, Foucault tried to illuminate the hidden sides of humanism, and gave us the strict warning on the end of the human beings, which turned out to be an object of Modern knowledge. If there would be no reason to maintain a knowledge system of Modernity, in other words, Modernity as knowledge would lose its validity and we could give up Humanism as a heavy burden. Moreover, it is very clear that we are confronted with the critical moments of radical skepticism on the meaning and value for Humanity. That means that we need to think about the new transformations of Human Beings, which will probably appear in the forms of "Non-Humans," "Machines (Deleuze & Guattari)," or "Post-Humans" etc. At the present time, we cannot know if it will be positive, or negative for mankind. We should look back at the history of Humanism from a genealogical perspective, which is why we hav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trajectory of Humanism in this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