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차 예방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9초

뇌경막하수종의 수술적 치료에 따른 임상 경과 (Progression of Subdural Effusion after Surgical Treatment)

  • 김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765-17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순천공배액술을 시행하고 호전된 환자들과 이차 수술로 단순천공배액술을 실시하거나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실시한 환자들의 임상적 경과 분석을 통해 뇌경막하수종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2006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본원에서 뇌경막하수종으로 입원하여 단순천공배액술을 시행받은 16례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모두 이차 수술을 시행하였다(p<0.001).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시행한 환자 4명 중 2명이 아스피린을 복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4).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시행한 그룹과 시행하지 않은 그룹 간의 비교 결과, 4명의 환자는 일차수술 후 GCS의 변화는 없었으나 추적 전산화단층촬영 상 정중선 편위가 심하였고 경막하수종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으며 두통, 구토, 발열, 호흡곤란 등의 뇌압상승 증상을 보여 단락술을 결정하게 되었다(p=0.006). 아스피린을 복용했던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는 주의를 요하며 개두술 과정에서 뇌척수액의 급격한 소실과 뇌압의 지나친 변화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하악골 골절후 이차감염으로 인한 골수염시 유리 장골 이식술과 고압산소 요법을 이용한 재건 치험례 (RECONSTRUCTION COMBINED WITH HBO THERAPY AND ILIAC BONE GRAFT IN MANDIBULAR FRCTURE SITE OSTEOMYELITIS)

  • 김수남;이동근;임창준;윤성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0-116
    • /
    • 1991
  • 하악골 골절시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에는 비유합, 부정유합, 감염에 의한 골수염, 치아 및 지지골 상실, 국소부위로부터 인접부위로 감염확장 등이 있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국소요인과 전신요인으로 분류되는데 국소요인으로는 부적절한 고정과 수복, 감염 및 개조된 혈액공급을 들 수 있고 전신 요인으로는 부적절한 고정과 수복, 감염 및 개조된 혈액 공급을 들 수 있는 전신요인으로는 환자의 나이 및 대상장애 질환이나 primary bone disease, 영양결핍을 들 수 있다. 악골골절과 관련된 골수염은 조기에 적절한 고정 및 치료, 항생제 요법, 골절선상의 치아에 대한 치료, 전신적 저항성을 항진 시킴으로서 예방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하악골 골절수 이차감염으로 인한 골수염에서 골 이식의 일반적인 원칙인 감염이 없는 부위가 아닌 염증이 존재한 부위에 유리장골 이식술과 고압산소 요법을 병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Study on an Efficient and Robust Differential Privacy Scheme Using a Tag Field in Medical Environment

  • Kim, Soon-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09-117
    • /
    • 2019
  • 최근 의료분야에서 대용량 의료정보의 이차적인 활용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대용량 의료정보의 경우 질병에 대한 연구나 예방 등에 활용되어 의료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이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의료법 등으로 인해, 의료정보는 환자나 의료진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차적인 활용에 많은 제한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까지 k-익명성[1], l-다양성[2], 그리고 차분 프라이버시[3]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다양한 방법들 중 라플라스 노이즈를 이용한 그리고 이전에 제안된 차분 프라이버시 방법들의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끝으로 우리는 분석가들로부터의 질의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기 위해 주어진 데이터 집합의 마지막 컬럼에 1 비트의 상태필드를 추가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병원간호사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lie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 고영혜;이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1-5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021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221명의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세 하위영역(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으로 구성된 전문직 삶의 질과 극복력, 긍정심리자본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극복력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공감만족에서는 높은 점수를, 소진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공감만족의 주요 영향요인은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으로 나타났으며, 공감만족을 47% 설명하였다. 소진의 주요 영향요인은 극복력, 긍정심리자본, 근무형태로, 소진을 36% 설명하였다. 특히 극복력은 공감만족을 높이고, 긍정심리자본은 소진을 낮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주요요인이므로, 병원간호사의 내적자원 강화를 위한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및 긍정심리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을 제언한다.

비밀 분산 기법을 이용한 강건한 디퍼렌셜 프라이버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Robust Differential Privacy Using Secret Sharing Scheme)

  • 김철중;여광수;김순석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11-319
    • /
    • 2017
  • 최근 대용량 의료정보의 이차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의료정보 내의 개인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에 대한 관심 또한 대두되고 있다. 대용량 의료정보의 경우 질병 연구,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이러한 대용량 의료정보의 경우 환자, 의료인 등에 대한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과 같은 프라이버시 관련 법률에 저촉되어 활용에 많은 제한이 존재한다. 현재까지 k-익명성, l-다양성, 디퍼렌셜 프라이버시 등 의료정보 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대용량 의료정보의 이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양한 방법들 중 디퍼렌셜 프라이버시의 처리 절차에 대해 알아보고 라플라스 노이즈를 사용하는 디퍼렌셜 프라이버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AES와 같은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과 Shamir의 비밀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을 새롭게 제안한다.

생장조정제 처리에 따른 콩 이소플라본 영향 분석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Isoflavones in Soybean)

  • 서진희;홍서연;박재성;원옥재;한원영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23
  • 콩은 중요한 식량 작물로 단백질, 기름 및 이차대사산물인 이소플라본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이소플라본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일부 암을 예방하며 심혈관 질환을 완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콩에 인위적으로 식물호르몬인 ABA를 처리할 때 이차대사산물인 kaempferol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보고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식물 생장조정제 처리가 콩잎의 이소플라본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밀양 남부작물부 유리온실에서 수행되었으며, 콩(품종:선풍)은 와그너포트 1/2000에 1주 2본 파종하여 재배하였다. Ethephone(500, 1000, 2000 ppm)과 ABA(100, 200, 400 ppm)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R2, R5, R7기에 처리하였다. 처리 후 잎을 5일 간격으로 3회 채취하여 이소플라본 6종과 쿠메스트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Acquity UPLC H-Class system, Water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R5 단계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R2 및 R7 단계에서는 무처리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ABA를 처리하였을 때 생장조정제 간의 차이가 에테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쿠메스트롤 함량은 처리시간에 따라 R7, R5, R2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처리시간이 지날수록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생장조정제 처리에 쿠메스트롤 함량은 ABA보다 에세폰 처리 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자연기흉환자의 고해상 CT소견의 분석 (Analysis of High-Resolution CT Findings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양수;손동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83-387
    • /
    • 1999
  • 배경: 일차성 자연기흉은 대개 기포가 터져서 발생하며 상당수에서 재발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순 흉부촬영에서 기포의 발견률은 높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고해상CT를 이용하여 치료방향 설정과 수술적 치료시 지침을 제공하고, 단순촬영에서 찾을 수 없으나 재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숨겨진 기포를 숙지하기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외상성 기흉을 제외한 70명의 자연기흉 환자들을 대상으로 고해상 CT를 시행하여 병변측 및 반대측의 기포의 유무, 개수, 동반된 폐질환, 그리고 치료의 종류와 빈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70명의 대상군중 45명은 원인질환이 분명하지 않은 일차성이었고 25명은 폐결핵에 의한 이차성으로 모두 이전에 앓은 후유증의 소견들을 보였으며 활동성 폐결핵의 소견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일차성과 이차성 기흉의 평균 연령은 각각 25.9세와 44.1세로 일차성에서 더 젊었다. 단순촬영에서는 30.2%에서 기포를 찾을 수 있었다. 고해상 CT에서는 75.7%에서 기포를 찾을 수 있었고(병변측에 68.6%, 반대측에 55.7%) 48.6%에서는 양쪽폐에서 관찰되었다. 기포의 개수가 10개이상으로 다발성인 경우는 이차성 기흉에서 일차성 기흉에서보다 더 흔히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환자을 흉강삽관술(36명)이나 기포제거술(27명)로 치료하였다. 결론: 자연기흉환자들에서 고해상 CT가 단순촬영보다 동반된 기포를 찾는데 훨씬 더 우수하였고 동반 질환의 평가에도 유용하였다. 따라서 고해상CT가 재발의 고위험군등에서 재발을 막는 예방적 치료를 결정하는등 치료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수술적 치료시 수술의 지침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재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잠복된 기포를 환자에 주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Silver Diamine Fluoride와 요오드화 칼륨 도포 후 변화하는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 평가 (Evaluation of Acid Resistance of Demineralized Dentin after Silver Diamine Fluoride and Potassium Iodide Treatment)

  • 김해송;이주현;이시영;김해니;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2-401
    • /
    • 2022
  • 본 연구는 Silver diamine fluoride (SDF)와 요오드화 칼륨(KI)이 이차 우식에 노출된 상아질의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환경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소의 절치를 이용하여 상아질 시편을 제작한 뒤 인공적으로 초기 우식병소를 형성하여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 SDF 도포, SDF 도포 후 KI 도포(SDFKI)의 4개 군으로 나누었다. 음성 대조군을 제외한 각 군 당 4개의 시편 상면에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및 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다종 우식원성 세균을 접종하고 28일 간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초기 우식병소 형성 뒤 인산 완충 용액에 담가 28일 간 보관하였다. 모든 시편의 탈회 정도는 micro-CT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SDF와 KI가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SDF와 SDFKI군에서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탈회 깊이가 감소하여 SDF와 SDFKI의 도포가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이차 우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 도포는 SDF의 항균 효과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DF와 SDFKI 도포는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이차 우식의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KI는 SDF의 항균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검은 변색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건소(保健所)에 등록(登錄)한 결핵환자(結核患者) 관리(管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uberculosis Control of Those Patients who Registered at Health Center)

  • 홍순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7권1호
    • /
    • pp.185-190
    • /
    • 1974
  • 우리나라 결핵관리(結核管理)에 있어서 보건소(保健所) 등록대상자(登錄對象者)를 경증환자(輕症患者)까지 확대(擴大)하여 치료가능성(治療可能性) 환자(患者)를 취급(取扱)함이 요망(要望)되며 치료방식(治療方式)에 있어서도 맹목적(盲目的)으로 일차약(一次藥)만을 사용(使用)할 것이 아니라 내성균소지자(耐性菌所持者)에 대(對)해서는 이차약(二次藥) 투약(投藥)도 시도(試圖)하여아 하며 화학요법(化學療法) 일방(一方)으로만 하지 말고 외과적응증(外科適應症)에 대(對)해서도 적절(適切)한 외과적수술(外科的手術)을 시행(施行) 할것이 요망(要望)된다. 퇴녹자(退錄者)의 50%가 활동성(活動性)임이 추측(推測)됨으로 이들에 대한 적절(適切)한 대책(對策)이 시급(時急)하다. 기발견(旣發見)된 결핵환자(結核患者)가 전체적(全體的)으로는 50%정도(程度)이나 중등증이상(中等症以上)에만 국한(局限)시킨다면 80%이상(以上)에 달(達)함으로 무계획적(無計劃的)인 검진사업(檢診事業)에 과중(過重)한 비용(費用)을 허비(虛費)하지 말고 치료사업(治療事業)이나 예방사업(豫防事業)에 경비(經費)를 더 많이 투입(投入)함이 요망(要望)된다.

  • PDF

뇌병변장애 1급 아동에서 발생한 중증유아기우식증 (SEVERE-EARLY CHILDHOOD CARIES IN CHILDREN WITH GRADE 1 NEUROLOGICAL DISORDER)

  • 이효설;백승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0
    • /
    • 2011
  • 뇌병변장애인은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에 기인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 또는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최근에 뇌병변 장애아동의 DMFT는 비 장애아동과 유사하거나 낮다는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본 증례는 중증유아기우식증이 나타난 뇌병변장애 1급 아동들을 치료한 것으로, 아동들의 공통점을 통해 중증유아기우식 우식증의 특별한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뇌병변으로 인한 일차적인 운동장애와 이차적인 치과치료를 받기 어려울 정도의 쇠약함, 잦은 입원, 당분이 많은 음식과 약물의 섭취, 구강위생관리 소홀, 늦은 치과 내원, 협조도 저하 등이 우식 유발인자를 높이고, 우식 예방인자를 낮추어 치아우식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뇌병변 장애아동을 치료할 때, 치과의사는 개인적인 우식 위험도 평가를 통해 철저한 우식 예방프로그램을 만들고, 부모와 의학적 주치의는 구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조기 치과 내원 및 홈케어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