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수요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8초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수요 분석 (An Analysis of the Users' Demands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Busan)

  • 정영미;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29-253
    • /
    • 2021
  •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전략은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조망을 포함해서 실질적인 서비스 수요자인 이용자에 기반하여 수립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재 제공되는 도서관 기능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조사·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고, 응답자는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 이용자 733명이다. 주요한 결과는 첫째, 부산지역 이용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여전히 자료수집제공에 있었다. 둘째, 정보서비스 영역에서는 문화/평생학습 프로그램 서비스, 서비스 유형에서는 새로운 IT기술 체험·교육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ISA 분석결과에서는 자료수집제공 서비스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는 계속 유지 관리해야 하고 독서 관련 서비스는 집중관리하여 확대할 필요가 있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별 서비스 수요 분석에서는 41세 이상~50세 이하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수요가 가장 높은 세대로 나타났고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수요는 61세 이상의 고령층 세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산의 서부권 이용자 집단이 거의 모든 서비스 영역의 수요에서 다른 지역의 이용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시 기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포인트 / 정보원으로 인터넷이 단연 으뜸 (81%)

  • 최중태
    • 디지털콘텐츠
    • /
    • 11호통권90호
    • /
    • pp.74-83
    • /
    • 2000
  • 이번 조사는 한국데이터베이스가 국내외 기관 및 개인 데이터베이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 이용 실태 및 정보 수요를 파악하고, 수집 결과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이용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장기 추이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이용현황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의 이용, 이용자 실태 및 정보에 대한 수요를 조사,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국내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방향을 정립하고 데이터베이스 이용의 활성화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2000년 7월부터 8월 중순까지 국내 각 기관 및 개인을 대상으로 국내 데이터베이스 이용실태 및 정보수요에 대한 조사내용을 조사, 분석한 결과이다.

  • PDF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수요분석 연구 (A Study on Need Analysis for User-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Services)

  • 곽승진;노영희;김동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5-1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 이용자의 수요 및 요구조사와 맞춤형서비스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맞춤형서비스 관련 문헌분석, 사례조사, 그리고 정책정보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가 제공해야 할 세부적인 서비스를 정보검색 및 자료제공서비스, 참고정보서비스, 정책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도서관 마케팅서비스, 개인화서비스 등으로 제안하였다.

전자정부 이용자 유형화를 위한 군집분석: 전자정부 이용 목적, 이용채널,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기준으로 (Cluster Analysis for E-Government User Typology: By Purpose of Use, Channel of Use, and Perception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김시정;김현준
    • 정보화정책
    • /
    • 제31권3호
    • /
    • pp.48-71
    • /
    • 2024
  • 오늘날의 디지털 심화 환경에서 행정은 공공서비스 이용자의 필요를 예측하고 행태를 이해하며, 때로는 선제적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민 중심적 시각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전자정부 이용자를 독특한 수요와 행태적·인식적 특성을 가진 서비스 수요자로 간주하고, 이용자 특성을 기준으로 전자정부 이용자 집단을 유형화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유형 도출을 위해 2021년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2단계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군집분석에는 전자정부 이용 목적, 이용자가 선택한 전자정부 채널, 이용자의 주관적 기술위험인식과 개인 혁신성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자정부 이용자는, 'SNS 기반 일방향 적극 이용자', '다재다능한 적극적 파워 이용자', '일방향 실용적 적극 이용자', '간헐적 소극 이용자', 그리고 '소극적 최소 이용자'의 총 5가지 그룹으로 세분화되었다. 전자정부 이용자 유형에 따른 집단 구분은 유형 별로 고유한 수요와 이용자로서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여 수요자 맞춤형 전자정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의 발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인식 및 수요 분석 (Users and Librarian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the University Library Space)

  • 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3-242
    • /
    • 2020
  •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역량, 그리고 협업역량으로 대변되는 대학의 미래 학습 및 혁신 역량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도서관의 공간혁신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와 사서의 관점에서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공간혁신의 방향성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이용자와 사서를 위한 각각의 설문지를 설계하고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363명과 대학도서관 사서 186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그들의 도서관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이용자의 특성별, 이용행태별 차이를 분석하고, 사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소속도서관 규모, 사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이용자와 사서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수요자 기반의 도서관 신축이나 공간 재구성 계획 시 참고할만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낚시복합타운 조성을 위한 이용자 실태 조사 연구

  • 강영훈;홍성기;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9-160
    • /
    • 2014
  • 국민소득 증대와 여가시간 증가에 따른 여가 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해양관광 및 해양레저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낚시 활동이 전문낚시객에서 가족중심의 체험을 통한 해양관광 형태로 변화하고 있어 해양관광 활성화와 이에 적합한 모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낚시활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해양관광 모델인 낚시복합타운조성을 위한 낚시인구 및 이용자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낚시복합타운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PDF

KISTI 과학.기술정보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ST Information Users of the KISTI)

  • 윤정옥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2호
    • /
    • pp.1-2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의 등장과 디지털 정보자원의 급증으로 변화하는 과학 기술 정보 환경에서 KISTI의 과학 기술 정보이용자의 정보수요와 정보추구 행태를 분석, 기술하는 것이다. 국내 산 학 연의 과학 기술정보이용자들에게 우편 배포한 설문에서 수집된 결과는 다양한 이용자층을 위한 과학 기술정보와 원문에 대한 개인 및 기관정보원을 위한 전문정보원이며 중개기관으로서의 KISTI의 역할 및 이용자의 수요에 기반한 서비스와 장서의 개발 방향을 재조명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과학 기술분야의 최근 및 영어권 학술지와 학회 회의자료등의 "on demand" 원문 수요, DDS의 개선과 확장에 대한 기대, 입수가 어려운 과학 기술 정보자원의 종합적인 수집 보존 유통 기능의 확장 필요 등을 포함하였다.

  • PDF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an Autonomous Demand Responsive Bus in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 박상웅;김주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0-86
    • /
    • 2022
  •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는 자율주행 버스와 실시간 수요대응형 버스의 단점을 상쇄시킨 미래교통수단이다. 하지만 버스 기능의 고도화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도입 시 영향에 관한 정량화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 기반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를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의 정량화된 효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요 변화에 따라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가 도로 네트워크에 끼치는 영향과 이용자 대기시간을 미시적 시뮬레이션 안에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대상지로는 한국교통대학교 인근을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는 기존 노선 고정형 버스 대비 이용자 대기시간과 평균제어지체는 감소하였고, 평균통행속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시간 수요대응형 버스의 도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기대된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공공데이터 수요 예측 (Forecasting Open Government Data Demand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이재원
    • 정보화정책
    • /
    • 제27권4호
    • /
    • pp.24-46
    • /
    • 2020
  •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공공데이터 수요(즉, 공공데이터 제공신청, 검색 질의 등)를 적시에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요가 높은 토픽에 속하는 공공데이터는 대부분 국내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토픽 연관 분석을 통해 예측된 이용자의 실제 요구와 관련된 공공데이터는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다. 공공데이터를 제공(또는 선정)할 때, 이용자의 공공데이터 제공신청과의 관련성보다 공공데이터 토픽과의 관련성이 우선시되기 때문이다. 제안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프레임워크는 실제 공공데이터 제공신청을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수요를 빠르고 쉽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향후 공공기관(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산하기관)의 공공데이터 정책 수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병원 내 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 및 수요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Demand Survey of Libraries in Hospitals)

  • 신영지;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1-314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 내 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고 향후 병원 내 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이용자와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장서, 시설 및 환경, 직원, 서비스, 프로그램 등의 만족도 및 수요도를 조사하여, 이용자가 만족하는 도서관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병원 내 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최신성을 갖춘 다양한 주제의 장서 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병원 내 도서관의 직원 수확대가 시급하며, 이와 함께 의학 전문 지식 기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이용자 요구에 대한 신속한 대응 능력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 및 환경으로 병원 내 도서관 규모 확대와 편의시설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서비스 질 향상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이용자 대상에 따라 전문가는 주제검색서비스, 의학관련 정보원 제공 서비스를, 일반인(환자 및 보호자 등) 건강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프라 확대와 대상의 다양화, 프로그램 지속성 등이 확보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