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소성 췌장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주변부 지방침윤으로 인해 외위장 종괴로 보이는 이소성 췌장: 증례 보고 (Perilesional Steatosis in Ectopic Pancreas Mimicking Exogastric Mass : A Case Report)

  • 남미연;김미영;김여주;서창해;최석진;조재성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2호
    • /
    • pp.154-157
    • /
    • 2013
  • 저자들은 위의 하부 체부에 지방 성분으로 둘러싸여 있는 분엽성 형태의 점막하 종괴로 나타난 이소성 췌장의 1예를 경험하였다. 지방 성분을 포함한 이소성 췌장은 매우 드물지만, 이 증례를 바탕으로 병변 주위 지방 침윤을 보이는 위 점막하 종괴가 있을 때 이소성 췌장의 가능성을 감별해야 하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조기위암과 우연히 동반된 위의 샘근종(Adenomyoma) 1예 (Incidental Adenomyoma of Stomach Associated with Early Gastric Cancer)

  • 여민석;양현준;서동엽;김기홍;변창규;고영택;이효진;최석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43-46
    • /
    • 2006
  • 위의 샘근종과 이소성 췌장의 구별은 어려우며, 샘근종을 이소성 췌장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위의 샘근종과 이소성 췌장의 구별은 이소성 체장에서는 샘창자샘 (Brunner's gland)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위의 샘근종이 악성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의 경우, 위체부 하방과 유문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조직겅검 결과에서 위체부 하방의 종괴는 샘암종으로 진단되었고, 유문부의 종괴는 샘근종으로 진단되었다. 본 증례의 경우, 위의 샘근종이 위암과 우연히 동반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이소성 췌장과 위점막을 가진 멕켈 게실에 의한 장중첩증 1예 (A Case of Intussusception Caused by Meckel's Diverticulum with Heterotopic Pancreatic and Gastric Tissues)

  • 김미진;김재영;설지영;강대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75-79
    • /
    • 2006
  • 저자들은 장중첩증의 관장 정복 후 입원 관찰 기간 동안에 2차례 더 재발한 장중첩증을 가진 5세여 아에서 복부 CT 촬영으로 선두를 확인하고 복강경으로 치료한 이소성위점막과 췌조직을 동시에 가진 멕켈 게실에 의한 장중첩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위장관 출혈의 영상의학적 진단법 (Radiologic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 김세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520-535
    • /
    • 2023
  • 위장관 출혈은 단일 질환이 아니라 광범위한 위장 질환의 증상 및 임상적 발현이다. 임상적 양상에 따라 명백한 출혈, 잠재 출혈, 원인 불명 출혈로 나눌 수 있으며, 출혈 위치에 따라 Treiz 인대를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 위장관 출혈로 분류할 수 있다. 혈관 질환, 용종, 종양, 크론병, 이소성 췌장 및 이소성 위조직 등 다양한 질환이 위장관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명백한 출혈을 위한 영상 검사기법은 CT 혈관조영술, 고식적 혈관조영술 및 핵의학적 검사 등이 사용된다. 잠재 위장관 출혈을 평가하기 위한 영상검사로는 CT 소장조영술이 주로 사용되며, 위장관을 적절히 팽창해서 영상을 획득해야 위음성 혹은 위양성을 최소화하여 진단능을 높일 수 있다. CT 소장조영술에서 진단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Meckel scan이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원인 불명 위장관 출혈에 대한 검사는 임상 양상과 임상의 혹은 영상의학과 의사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검사가 시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대장중복증과 동반된 횡행결장간막의 이소성 췌장에서 유래된 가성낭종 1예 (A Case of Pseudocyst Originated from Ectopic Pancreas in the Transverse Mesocolon Associated with Colonic Duplication)

  • 김인규;한석주;양경무;김호근;김명준;오정탁;황의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1호
    • /
    • pp.79-84
    • /
    • 1998
  • We have treated a case of pseudocyst of transverse mesocolon in 3-year-old male child. Operativ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pseudocyst originated in the transverse mesocolon, and was not connected to the pancreas. A colonic duplication was found incidentally near the pseudocyst. On microscopic examination, ectopic pancreatic tissue was noted in the transverse mesocolon. This pseudocyst wa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ectopic pancreas of the transverse mesocolon.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pseudocyst originated from ectopic pancreas of the transverse mesocolon, combined with a colonic duplication. The pathogenesis is discussed.

  • PDF

심와부 복통으로 내원한 5세 소아에서의 위 선근종 1례 (A Case of Adenomyoma of the Stomach in a Child Presenting Epigastric Pain)

  • 허미영;정지아;최금자;성순희;서정완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99-103
    • /
    • 2001
  • 심한 심와부 동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5세여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위유문동에서 중심요와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주름을 관찰하였다. 복통이 계속되어 이소성췌장으로 생각하고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위 선근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닭의 가금(家禽) 콜레라 감염시(感染時)의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증(凝固症)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Experimental Fowl Cholera of Chickens)

  • 박남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1-219
    • /
    • 1982
  • 닭의 급성(急性) 가금(家禽) 콜레라의 폐사원인(斃死原因)과 기전(機轉)을 구명(究明)하고자 생후(生後) 10~32주령(週齡) 닭에 P. multocida균(菌)을 칠개(七個) 경로(經路)(정맥(靜脈), 근육(筋肉), 피하(皮下), 비강(鼻腔), 구강(口腔), 복강(腹腔) 및 귀)를 통해 주입(注入)해서 가금(家禽) 콜레라를 발병(發病)시키고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의 발현여부(發顯與否)와 그 분포(分布) 및 본(本) 질병(疾病) 진행(進行) 과정중(過程中) P. multocida의 endotoxin 역할(役割)에 대하여 연구(硏究)하였다.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인 진단(診斷)은 소동맥(小動脈), 소정맥(小靜脈), 모세혈관(毛細血管) 그리고 다소 큰 혈관내(血管內)에 섬유소성(纖維素性) 혈전(血栓)의 증명(證明)으로 이루어졌다. 각종(各種) 장기내(臟器內)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는 주(主)로 3일(日) 이내(以內)에 폐사(斃死)된 닭에서 쉽게 관찰(觀察)할 수 있었고, 장기중(臟器中) 폐(肺)는 혈전(血栓)의 발현빈도(發顯頻度)가 가장 높았으며(90%) 그 다음으로 간(肝)(70%), 신장(腎臟)(60%), 심장(心臟)(20%), 비장(脾臟), 뇌(腦), 췌장(膵臟), 흉선(胸線) 및 갑상선(甲狀腺)의 순(順)이었다. 섬유소성(纖維素性) 혈전(血栓)의 밀도(密度)(조직절편당(組織切片當) 혈전(血栓)의 수(數)) 역시 폐(肺)가 가장 높고 비장(脾臟), 신장(腎臟), 간(肝) 및 심장(心臟)의 순(順)이었다. 급성(急性) 가금(家禽) 콜레라 감염시(感染時) 범발성(汎發性) 출혈(出血)은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를 일으키는 P. multocida균(菌)의 endotoxin에 기인(基因)된 것으로 사료(思料)되며 닭의 급성(急性) 가금(家禽) 콜레라의 폐사원인(斃死原因)은 단순(單純)한 출혈성(出血性) 패혈증(敗血症)이 아니라 전신적(全身的)으로 발생(發生)되는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를 수반하는 endotoxin(septic) shock사(死)임이 밝혀졌다.

  • PDF

소아 멕켈씨 게실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Meckel's Diverticulum in Children)

  • 전흥만;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27-134
    • /
    • 2007
  • 소아 멕켈씨 게실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장출혈이었고, 장중첩, 장폐쇄, 장천공 등도 있었다. 멕켈씨 게실의 조직검사상 이소성위조직이 가장 많았고, 이소성 췌장조직도 있었다. 소아 급성 복증의 원인으로 멕켈씨 게실에 의한 합병증을 염두에 두어야겠으며, 진단이 불명확한 경우, 복강경을 통한 진단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멕켈씨 게실의 경우 복강경하 절제술로 복강경 수술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05~2006년 전국 위점막하종양 설문조사 결과 보고 (2005~2006 Nationwide Gastric Submucosal Tumor Report in Korea)

  • 대한위암학회 정보전산위원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2호
    • /
    • pp.104-109
    • /
    • 2008
  • 목적: 국내 위 점막하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양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파악하고자 전국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 47개 병원에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위 점막하 종양으로 수술 받은 환자 87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진단명, 증상, 위치, 수술법, 사망률, 종양의 크기, 악성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 점막하 종양의 수술 후 진단으로는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이 586명(66.8%)으로 가장 많았고, 평활근종(Leiomyoma) 97명(11.1%), 신경초종(schwannoma) 70명(8.0%), 이소성 췌장(Ectopic pancreas) 68명(7.8%), 유암종(carcinoid) 16명(1.8%) 순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0세, 남녀 비는 1:1.18이었으며, 50.9%의 환자가 증상 없이 발견되었다. 위 상부 1/3에 위치한 위 점막하 종양이 가장 흔했으며(n=449, 52.0%), GIST의 55.4% (n=319), 평활근종의 84.5% (n=82)가 위 상부 1/3에 위치하였다. 복강경적 접근이 전체 환자의 44.2% (n=388)에서 시행되었으며, 수술방법으로는 쐐기 절제술(n=726, 82.8%)이 가장 빈번히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중 1명(0.1%)만이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GIST 환자 중 115명(21.1%, 115/544)이 고위험도의 악성도를 가졌고, 41명(8.3%, 45/495)에서 수술 후 imatinib mesylate 항암 치료를 하였다. 결론: 조사된 국내 점막하 종양의 약 2/3가 GIST였으며, 약 1/2에서 복강경하 절제술이 이루어졌다. 향후 이 보고가 위점막하 종양의 진료 및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