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상 수질

Search Result 1,23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mproving Water Quality and Bacterial Characteristics during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Biological Activated Carbons o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 상수원수의 생물활성탄에 의한 수질개선 및 세균분포 특성)

  • 박홍기;나영신;정종문;류동춘;이상준;홍용기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0 no.2
    • /
    • pp.105-111
    • /
    • 2001
  •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Investigation of bacterial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ducted in a pilot plant using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in water treatment process at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Most of water control parameters were highly improved after passing through BAC. Approximately 54% of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removed in coal-based BAC process. Bacterial biomass and bacterial production appeared $9.8{\times}10^8 CFU/g and 7.1mg-C/m^3$.hr in coal-based BAC, respectively. Predominant bacteria species grown in BAC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Flavobacterium, Alcaligenes, Acinetobacter and Aeromonas species. Particularly Pseudomonas vesicularis was dominant in both coal-based and coconut-based BACs, while Pseudomonas cepacia was dominant in wood-based BAC.

  • PDF

도시 고형폐기물의 열분해용융 특성

  • 이협희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9
    • /
    • pp.16-23
    • /
    • 2002
  • 현재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20 여곳의 대형 소각장이 가동되고 있으며 대기오염 방지 기술도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불과 10 여년 동안에 선진국 수준의 대기오염 배출기준을 만족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을 정도로 되었다. 그러나 소각후 발생 하는 소각재의 경우 비산재는 고형화등의 처리 후 매립하고 바닥재는 별도 처리없이 매립하는 실정이어서 매립 후 시간이 흐를수록 매립된 소각재에서 용출되는 다이옥신과 소각재 중에 포함된 중금속 등에 의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의 우려가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소각후 남는 소각재는 폐기물량의 약 15 %, 비산재는 약 1.5 %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볼 때 매립은, 특히 다음 세대에 유산으로 남겨진다는 점에서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은 해결책으로 생각되며 유럽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와 같은 소각재에 대한 무해화 처리기술이 개발되고 속속 상용화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열분해용융시설등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도입하여 세계적 환경 기술경쟁 에서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함은 물론 청정한 국토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강구되어 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폐기물 처리기술의 세계 적 동향을 살펴보고 폐기물의 완전 자원화에 성공한 대우 써모셀렉트 열분해용융 기술의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uni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the industrial site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원단위산정에 관한 연구)

  • Shon, Tae-Suk;Jang, Jong-Kyoung;Lee, Sang-Do;Ju, Dong-Jin;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47-951
    • /
    • 2010
  • 본 연구는 강우시 A 공업단지와 B 농공단지의 공업지역에서 통계적인 오염물질 농도와 오염물질 특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강우유출수 조사방법에 따른 원단위 산정을 위하여 유량가중평균농도(EMC)산정, 강우계급별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였으며, 공업지역의 대표 유량가중평균농도(EMCz) 산정, 유출율을 산정하였으며, 앞에 산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선정한 공업지역 원단위를 산정하여 기존 원단위 값과 비교분석 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자료는 공업지역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 제공 및 기초자료서의 활용, 모니터링을 통한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의 관리대책 및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자료에 관한 기초자료 제공,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최적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imul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Riparian Buffer System using the SWAT-REMM Enhanced Model (SWAT REMM Enhanced 모형을 이용하여 수변림 설치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 모의)

  • Ryu, Ji-Chul;Cho, Jae-Pil;Moon, Jong-Pil;Lim, Kyung-J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96-5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WAT-REMM Enhanced 모형을 이용하여 총 3개의 수변림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도암댐 유역 내 일부 소유역에 적용 하였다. 수변림 시나리오 중 시나리오 1과 2는 수변 폭을 15m로 하고 식생을 나무와 잔디로 각각 다르게 적용하였고, 시나리오 3은 수변폭을 8m로 하고 식생을 나무로 선정하였다. SWAT-REMM Enhanced 모형을 이용하여 수변림 시나리오를 적용 한 결과 지표하유출의 경우, 시나리오 1의 저감효율이 70%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나리오 1과 2를 비교한 결과 수변 폭이 넓을수록 저감 효율이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Smart Water City for the healthful water service (건강한 물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워터 시티)

  • Jang, SeokWon;Kim, Sh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6-116
    • /
    • 2015
  • 국내 수도사업은 국가 경제 성장과 함께 괄목할만하게 발전하여, 2013년 기준 상수도 보급률은 98.5%로 선진국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 물 소비자의 음용형태를 살펴보면 전체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물을 끊여서 음용하며, 정수기를 사용하여 음용하는 경우도 수돗물 이용 가정의 48.9%나 된다(수돗물홍보협회, 2012). 또한 수돗물에 대한 음용률은 매년 감소, 2009년 56%이었던 음용률이 2012년 53.1%까지 하락하였다. 이렇듯 국내 수돗물의 음용수율이 낮아지는 이유는 '막연한 불신'과 함께 '물탱트와 수도관', 그리고 '냄새와 물맛' 등이다. 이에 K-water에서는 고양, 문산 등을 대상으로 "건강한 물 공급을 위한 스마트 워터 시티" 사업을 시범추진하였다. 추진 목적은 취수원에서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全 과정에 ICT를 접목, 수량과 수질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그 결과 "소비자가 신뢰하는 건강한 수돗물"을 제공하는 물의 도시 구현이다. 본 논고에서는 현재 K-water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워터 시티" 사업의 현황 및 기대효과, 나아가 향후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al-Time Runoff Simulation of Youngju Dam Basin Using Data Assimilation (자료동화기법을 이용한 영주댐 유역 실시간 유출해석)

  • Lee, Dae Eop;Lee, Gi Ha;Lee, Kyoung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4-554
    • /
    • 2016
  •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영주댐은 낙동강 중 하류지역의 수질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용수 공급 및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홍수피해경감,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건설된 다목적댐으로 상기의 목적달성 및 효과의 증대를 위해 댐유입량을 정확하게 산정 또는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유출모형을 이용한 유출예측이 필요하지만 어떤 유출모형이라 할지라도 실제의 시스템을 오차 없이 모의할 수는 없으며, 하나의 사상에 대해 좋은 결과를 보이는 모형도 다른 사상에 대해 큰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대상 연구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 할 수 있는 인자의 수집과 이를 통한 모형의 보정 및 적용의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주댐 유역의 장 단기 유역유출해석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인 저류함수모형 및 탱크모형을 자료동화기법인 칼만 필터(Kalman Filter) 기법과 결합하여 실시간 보정을 통해 영주댐 유역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Identifying indicator of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the local environment (지역특성을 고려한 가뭄취약성 평가 요소 선정)

  • Lee, Gyumin;Kwon, Minsung;Kim, Jinsoo;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1-391
    • /
    • 2019
  • 연평균 강수량의 60%이상이 3개월 동안의 우기에 집중되기 때문에 가뭄은 한국에서 관리가 필수적인 재해이다. 또한 가뭄은 지역별로 피해의 규모 및 대상이 달라 대응을 위한 방안 선정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 및 특성을 반영한 가뭄취약성 평가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을 구조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뭄에 대한 취약 요인과 유발 요인을 선정하기 위하여 Delphi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는 5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가뭄에 대한 인식을 광범위하게 조사한 후, 이들 중에서 주요한 요인을 선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최종적인 평가 요인을 선정하였다. 취약요인으로는 농작물 피해, 하천 건천화, 제한 급수, 수질 악화 등이 주요한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유발 요인으로는 기후변화, 저수율 등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요인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과 농업지역의 선정결과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평가 요소는 가뭄 취약성 평가에 적용되며 가뭄 시나리오에 따른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Water Quality Data Monitored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관측한 장기 수질자료의 비교 분석)

  • Park, Sun-Jae;Choi, Seong-Mo;Park, Jong-Seok;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1 s.115
    • /
    • pp.21-31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rends of tempor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using chemical dataset during 1993 ${\sim}$ 200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ccording to long-term limnological analyses, Suspended solids (SS) in Imha Reservoir were 2 ${\sim}$ 8 fold2 greater, than those in SS of Andong Reservoir, and the high solids increased total phosphorus (TP)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_5$) and decreased the transparency, measured as Secchi depth (SD). Chlorophyll-a (CHL-a) increased little or decreased slightly in the both reservoirs during the high solids, resulting in reduced yields of CHL-a : TP ratios. The deviation analysis of Trophic State Index (TSI) in Imha Reservoir showed that about 70% of TSI (CHL-a)-TSI (SD) and TSI (CHL-a)-TSI(TP) values were less than zero and the lowest values were-60, indicating that influence of inorganic solids (or non-volatile solids) on phytoplankton growth was evident in Imha Reservoir and the impact was greater than that of Andong Reservoir. Inorganic solids in Imha Reservoir resulted in light limitation on phytoplankton growth and thus contributed variations in the relations among three parameters of trophic state index. Especially, seasonal data analysis of nutrients in both reservoirs showed that during the postmonsoon, mean TP concentration was Imha Reservoir greater in than that in Andong Reservoir. The higher TP concentrantion was mainly attributed to increases of inorganic solids from soil erosions and nonpoint source inputs within the watershed. The high inorganic turbidity in Imha Reservoir should be reduced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for, especially a tap water supply.

The Treatment of Heavy Metal-cyanide Complexes Wastewater by Zn$^{+2}$/Fe$^{+2}$ Ion and Coprecipitation in Practical Plant (II) (아연백법 및 공침공정을 이용한 복합 중금속-시안착염 폐수의 현장처리(II))

  • Lee, Jong-Cheul;Lee, Young-Man;Kang, Ik-J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5
    • /
    • pp.524-533
    • /
    • 2008
  • Industrial wastewater generated in the electroplating and metal finishing industries typically contain toxic free and complex metal cyanide with various heavy metals. Alkaline chlorination, the normal treatment method destroys only free cyanide, not complex metal cyanide. A novel treatment method has been developed which destroys both free and complex metal cyanide as compared with Practical Plant(I). Prior to the removal of complex metal cyanide by Fe/Zn coprecipitation and removal of others(Cu, Ni), Chromium is reduced from the hexavalent to the trivalent form by Sodium bisulfite(NaHSO$_3$), followed by alkaline-chlorination for the cyanide destruction. The maximum removal efficiency of chromium by reduction was found to be 99.92% under pH 2.0, ORP 250 mV for 0.5 hours. The removal efficiency of complex metal cyanide was max. 98.24%(residual CN: 4.50 mg/L) in pH 9.5, 240 rpm with 3.0 $\times$ 10$^{-4}$ mol of FeSO$_4$/ZnCl$_2$ for 0.5 hours. The removal efficiency of Cu, Ni using both hydroxide and sulfide precipitation was found to be max. 99.9% as Cu in 3.0 mol of Na$_2$S and 93.86% as Ni in 4.0 mol of Na$_2$S under pH 9.0$\sim$10.0, 240 rpm for 0.5 hours.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N by alkaline-chlorination was 0.21 mg/L(removal efficiencies: 95.33%)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1st Oxidation : pH 10.0, ORP 350 mV, reaction time 0.5 hours, 2nd Oxidation : pH 8.0, ORP 650 mV, reaction time 0.5 hour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moval of free and complex metal cyanide from the electroplating wastewater should be employed by chromium reduction, Fe/Zn coprecipitation and, sulfide precipitation, followed by alkaline-chlorination for the Korean permissible limit of wastewater discharge, where the better results could be found as compared to the preceding paper as indicated in practical treatment(I).

The Study on the Prediction of Algae Occurrence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Weir Construction at Namhan River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남한강 내 보 건설 후 조류 발생량 예측)

  • Oh, Seung-Eun;Ahn, Hong-Kyu;Chae, Soo-K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470-478
    • /
    • 2017
  •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normal season group and drought season group, by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e weather and water quality data from 2012 to 2015, using SPSS 18 version. Also each cluster was classified into three spaces, Gangcheon, Yeoju and Ipoh weir. We perform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each monthly data that concentration of Chl-a was more than algae warming level. 6 groups classified in time and space were analyz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centration of Chl-a and 3 weather, 11 water quality and discharge factors. We developed Chl-a prediction equations of each group with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lying to the correlation result.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was that the period was divided into two groups, normal group(2012-2013) that total annual precipitation rate was normal and drought group(2014-2015) that total annual precipitation rate was less than 1,000 mm/hr, in time. The months that concentration of Chl-a was more than algae warming level in each group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were that the normal group was 3~8 and drought group was 3 and 6~10. The correlation result between Chl-a and weather, water quality and discharge factors for each 6 group was that relationships between Chl-a and water, discharge factors were high in the drought group more than in normal group at all weirs. This was influenced by velocity reduction and increasing HRT according to the intense drought. Weather, water quality and discharge factors that were high correlation with Chl-a were applied to independent variables of Chl-a prediction equations and each equations were developed. Among them, Each adjusted R square of Prediction equations for Chl-a in each group at Ipoh weir where is located in Namhan river downstream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Paldang dam were normal group = 0.920 and drought group = 0.818. It's showed the high lin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