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산화탄소 활용

Search Result 47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2 Absorption in Ionic Liquids (이온성액체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회수)

  • Jeong, Soon Kwan;Kim, Dae Hoon;Baek, Il Hyun;Lee, Si Hy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3
    • /
    • pp.492-497
    • /
    • 2008
  • The solubility of carbon dioxide in ionic liquids and amine solvents has been investigated in gas-liquid absorption equilibrium reactor. Absorption capacity and kinetics of $CO_2$ with $CO_2$ pressure and absorption time in 9 different ionic liquids and 2 kinds of amine solvents were evalu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onic type, we changed the cation or anion of ionic liquids. $CO_2$ absorption capacity and absorption rate of amine solv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ionic liquids. $CO_2$ absorption capacity of [emim][$Tf_2N$], $0.14molCO_2/mol\;IL$ at 1 bar, was the highest among the ionic liquids. $CO_2$ absorption capacity of ionic liquid steep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ion of ionic liquid dominates interaction with $CO_2$ and cation plays secondary role.

Evaluating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Cadastral Category based on Tier 3 Approach (Tier 3 방식에 의거한 지목별 온실가스 배출 실태평가)

  • Kim, Dae-Ho;Um, Jung-Sup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3
    • /
    • pp.11-22
    • /
    • 2011
  • It is usual for the carbon dioxide emission to be calculated by official energy consumption statistics produced from a number of specialized industrial process such as refinery, power plant etc.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potential of cadastral system in monitoring carbon dioxide emitted from land use. An empirical study for a cadastral categor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a on-site measurement can be used to assist in estimating the carbon dioxide emission in terms of land use specific settings. The cadastral category base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carbon dioxide emission,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Government statistic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successively increasing trends in the human-related parcels such as housing land while decreasing trends of carbon dioxide in sink parcels(eg. for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dastral parcel could be used not only as a tool to monitor carbon dioxide emission, but also as an evidence to restrict initiation of development activities causing negative influence to carbon dioxide emission such as road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research findings have established the new concept of "carbon dioxide emission monitoring based on cadastral category", proposed as an initial aim of this paper.

BIM base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BIM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 성능 분석(완(完)))

  • Moon, Hyeun-Jun
    • Korean Architects
    • /
    • s.480
    • /
    • pp.57-61
    • /
    • 2009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에너지 사용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로 기후변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산업화에 따른 에너지소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방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속가능(sustainable)한 국가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적극 대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10대 에너지 소비국이면서 97%의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세계9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 경쟁을 하기위해서는 산업구조를 시급히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적극적으로 억제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에너지 가운데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의 구축이 시급하며, 관련 기술 개발 및 실제 건축물에 적용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은 오늘날 많은 신축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성능은 아직까지 미흡한 부분이 많다. 건축물의 설계단계에 환경성능 분석결과가 적절히 반영된다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설계절차 및 성능분석 지원 시스템으로는 건축 설계단계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한 친환경 성능을 분석하기에 많은 시간의 투입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에 이러한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 분석에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정보모델링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설계 데이터뿐 만 아니라 관련 모든 정보를 모델링 하여 건축물의 설계단계부터 건물의 폐기단계까지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미 선진 외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무적용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초기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건축정보모델링 기술이 친환경 건축물 구축기술에 활용된다면, 친환경 건축물 구축 및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녹색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가 가능해 질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재에서는 지속가능한 설계와 건축정보모델링을 활용한 건축 환경 성능을 분석에 관한 내용을 주제별로 다루고 그 사례를 살표보고자 한다.

  • PDF

BIM base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BIM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 성능 분석 - 1. 지속가능 설계와 환경성능 분석 항목)

  • Moon, Hyeun-Jun
    • Korean Architects
    • /
    • s.477
    • /
    • pp.79-84
    • /
    • 2009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에너지 사용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로 기후변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산업화에 따른 에너지소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방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속가능(sustainable)한 국가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적극 대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10대 에너지 소비국이면서 97%의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세계9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 경쟁을 하기위해서는 산업구조를 시급히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적극적으로 억제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에너지 가운데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의 구축이 시급하며, 관련 기술 개발 및 실제 건축물에 적용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은 오늘날 많은 신축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성능은 아직까지 미흡한 부분이 많다. 건축물의 설계단체에 환경성능 분석결과가 적절히 반영된다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설계절차 및 성능분석 지원 시스템으로는 건축 설계단계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한 친환경 성능을 분석하기에 많은 시간의 투입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에 이러한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 분석에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정보모델링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설계 데이터뿐 만 아니라 관련 모든 정보를 모델링 하여 건축물의 설계단계부터 건물의 폐기단계까지 활용되는 기술이다. 이미 선진 외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용적용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초기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건축정보모델링 기술이 친환경 건축물 구축기술에 활용된다면, 친환경 건축물 구축 및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녹색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가 가능해 질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재에서는 지속가능한 설계와 건축정보모델링을 활용한 건축 환경 성능을 분석에 관한 내용을 주제별로 다루고 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atent Trend Analysis of Carbon Capture Storage Utilization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및 활용에 대한 디자인 고찰)

  • Yoon, June;Jin-Oh, Ki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6
    • /
    • pp.465-474
    • /
    • 2022
  •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t is necessary to commercialize and popularize carbon dioxide capture technolog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suitable for public environment. In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carbon capture and environmental purification, the application of carbon capture technology in air, the application of carbon capture and adsorption materials, and carbon reduction recycling are selected for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is study develops a new concept of public facility desig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ublic facilities in public space. From this point of view, it has great enlightenment significance. Public facilities adopting carbon-neutral technology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public facilities that conform to the times, and can be installed in parks, roads and other spaces. With the rest of citizens and the role of communit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Applic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Industry (발전산업 연계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적용방안)

  • Jang, Dong Woo;Choi, Gye Woon;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3-373
    • /
    • 2018
  •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단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탄소자원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자원화 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이지만 최근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로 인하여 탄소자원화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응축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응축된 물의 최적 활용과 사용처 지향적 효율적 물순환을 위한 시설 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SWG) 개념의 물분배 시스템은 발전 산업 내에 탄소자원화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SWG는 시설 내 용수공급 관리에서의 관망 운영, 물 수요 관리 등 ICT를 활용한 종합적인 물 분배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SWG 물순환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조사를 통해 발전 산업 시설 내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물의 재이용 시스템을 포함한 SWG 기술, 지능형 관망 운영 기법 기술, 실시간 수질 감시 체계 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ICT 기반 용수공급 정보 관리 기술과 수운영 모니터링 기술을 통하여 SWG가 발전 산업 연계 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SWG 시스템을 적용한 산업 인프라를 통하여 산업적 파급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인력과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저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력과 글로벌 물 시장진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응용한 개질 제강 슬래그의 Cs 및 Co 이온의 제거 특성

  • 김민길;원휘준;현재혁;김계남;오원진;정종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122-123
    • /
    • 2004
  • 산업체에서 폐기물로 발생되는 제강 슬래그를 사용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고온 고압에서 전처리를 통해 얻어진 제강 슬래그를 이용하여 토양 제염 후 발생하는 방사성 폐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가운데 방사성이 높은 성분인 Cs 이온과 Co 이온을 제거하는데 활용함으로서 폐기물의 재활용에 의한 방사성 이온 제거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환경보호 차원뿐만 아니라 폐기물 자원 회수라는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New Technology - High Pressure Carbon Dioxide Pasteurization of Solid Foods :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Outlooks (해외 기술 - 고체식품에 대한 고압 이산화탄소 살균법 : 최근 연구현황과 미래에 대한 전망)

  • Kim, Jong-Ch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4 no.3
    • /
    • pp.415-427
    • /
    • 2011
  • 지난 수십 년간 발표된 연구결과와 특허 수를 감안하면 식품에 적용된 고압 이산화탄소(high pressure carbon dioxide, HPCD) 기술은 특이한 과학적 관심을 받아 왔다. 하지만 주로 액상식품에 대한 HPCD의 미생물 억제 효과만 증명되어 왔을 뿐 고체식품에 대한 활용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체식품에 적용된 HPCD 관련 연구사례를 전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또한 미래 전망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연구자들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Optimal Site Selection of Carbon Storage Facility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위성영상과 GIS를 활용한 CO2 지중저장 후보지 선정)

  • Hong, Mi-Seon;Sohn, Hong-Gyoo;Jung, Jae-Hoon;Cho, Hyung-Sig;Han, Soo-H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7 no.1
    • /
    • pp.43-49
    • /
    • 2011
  • In the face of growing concern about global warming,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One method to mitigating the release of carbon dioxide is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CCS includes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industrial emission in plants, transport to a storage site, and long-term isolation in undergrou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alyses on optimal site selection, surface monitoring, and additional effects by the construction of CCS facility in Gyeongsang basin, Korea. For the optimal site selection, necessary data; geological map, landcover map, digital elevation model, and slope map, were prepared, and a weighted overlay analysis was performed. Then, surface monitoring was performe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s a result, the candidate region was selected inside Gyeongnam for carbon storage. Finally, the related regulations about CCS facil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legal question of selected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