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러닝 시스템

Search Result 1,27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linear Regression Empirical Formula and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on of Two-dimensional Transverse Dispers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경험식과 머신러닝모델의 2차원 횡 분산계수 예측성능 평가)

  • Lee, Sun Mi;Park,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2-172
    • /
    • 2022
  • 분산계수는 하천에서 오염물질의 혼합능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자이다. 특히 하수처리장 방류수 혼합예측과 같이 횡 방향 혼합에 대한 예측이 중요한 경우, 하천의 지형적, 수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2차원 횡 분산계수의 결정이 필요하다. 2차원 횡 분산계수의 결정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는 추적자실험결과로부터 경험식을 만들어 횡 분산계수 산정에 사용해왔다. 회귀분석을 통한 경험식 산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2차원 추적자 실험 건수가 충분치 않아 신뢰성 높은 경험식 산정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MOTE기법을 이용하여 횡분산계수 실험데이터를 증폭시켜 이로부터 횡 분산계수 경험식을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경험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고, 횡 분산계수 산정에 적합한 머신러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추적자실험 데이터로부터 하폭 대 수심비, 유속 대 마찰유속비, 횡 분산계수 데이터 셋을 수집하였으며, SMOTE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회귀분석과 머신러닝 기법 적용에 필요한 데이터그룹을 생성했다.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 셋을 포함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횡 분산계수 경험식을 결정하였으며, 새로 제안한 경험식과 기존 경험식에 대한 정확도를 비교했다. 또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결정된 경험식은 횡 분산계수 예측범위에 한계를 보였기 때문에 머신러닝기법을 적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에 대한 예측성능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 머신러닝 기법으로서 서포트 벡터 머신 회귀(SVR), K근접이웃 회귀(KNN-R), 랜덤 포레스트 회귀(RFR)를 활용했다. 세 가지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도출된 횡 분산계수와 경험식으로부터 결정된 횡 분산계수를 비교하여 예측 성능을 비교했다. 이를 통해 제한된 실험데이터 셋으로부터 2차원 횡 분산계수 산정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기법 및 횡 분산계수 산정에 적합한 머신러닝 절차와 최적 학습기법을 도출했다.

  • PDF

A Study on the Logging System Design Suggestion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사용한 로그수집 시스템 설계 제안에 관한 연구)

  • Seo, Deck-Won;Yooun, Ho-sang;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9-301
    • /
    • 2017
  • 현대사회에서는 사이버 해킹 공격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공격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방어하고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OpenIOC, STIX, MMDEF 등과 같은 공격자의 방법론 또는 증거를 식별하는 기술 특성 설명을 수집해 놓은 표현들을 기반을 머신러닝과 logstash라는 로그 수집기를 결합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pc에 공격이 가해졌을 때 로그 수집기를 사용하여 로그를 수집한 후에 로그의 속성 값들의 리스트를 가지고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시켜 분석을 진행한다. 향후에는 제안된 시스템을 실시간 처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필요로그정보의 구성을 해주면 자동으로 로그정보를 수집하고 필터와 출력을 거쳐 학습을 시켜 자동 침입탐지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Improve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penMind system based on PSO algorithm (PSO 알고리즘 기반 OpenMind 시스템 개선 및 효과 검증)

  • Won, Tae-Yeon;Yang, Seung-Yun;Kim, Jung-Myoung;Weon, Ill-Young;Kim,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836-839
    • /
    • 2019
  •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는 딥러닝은 학습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가의 장비들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저사양 머신들을 이용한 분산 러닝 시스템들이 연구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 PSO 알고리즘을 이용한 분산 딥러닝 시스템" 을 개선했고, 그 결과 개선한 시스템의 머신 개수가 1 대 일 때 정확도가 92.8%까지 향상되었고, 머신 개수가 10 대 일 때 정확도가 93.4%까지 향상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저사양의 머신들을 결합한 분산 러닝 시스템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utomated Integrated Security Control System Model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된 통합보안관제시스템 모델 연구)

  • Wonsik Nam;Han-Jin Cho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3
    • /
    • pp.45-52
    • /
    • 2024
  • In today's growing threat environment, rapid and effective detection and response to security events is essential.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respond to security threats by introducing security control systems. However, existing security control system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omplexity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security event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utomated integrated security control system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based on deep lear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provides effective detection and processing functions for various security events. To this end, the model applies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and machine learning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curity control systems. The proposed model reduces the operator's workload, ensures efficient operation, and supports rapid response to security threats.

Application of Ontology technology for Adaptive Learning in e-Learning (적응형 학습을 위한 온톨로지 기술의 적용 방안)

  • Choi, Sook-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6
    • /
    • pp.53-67
    • /
    • 2009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antic Web and ontology technology, analyzing the studies which applied ontology to e-Learning.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odel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daptive learning, analyzing the existing adaptive learning system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m, we sought the ways to apply ontology for supporting the adaptive learning in the e-learning system, designing an ontology-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e system mad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ontology-based learning systems. That is, it appropriately diagnoses learners' knowledge level of learning concepts, classifying the learning styles in detail, and providing their corresponding learning methods and content. By adapting the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style and knowledge level, this system would support their learning more efficiently and more effectively.

  • PDF

Study on Memory Performance Improvement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반 메모리 성능 개선 연구)

  • Cho, Doos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615-619
    • /
    • 2021
  • This study focuses on memory systems that are optimized to increase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in many embedded systems such as IoT, cloud computing, and edge computing, and proposes a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The proposed technique improves memory system performance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at are widely used in many applications.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supervised learning, and can be applied to a data classification task used in improving memory system performance. Data classification based on highly accurat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enables data to be appropriately arranged according to data usage patterns, thereby improving overall system performanc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DA Learning System for Ubiquitous Learning (유비쿼터스 러닝을 위한 PDA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Jee-Young;Lee, Young-Seok;Cho, Jung-Won;Choi, Byung-U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9-37
    • /
    • 2005
  • 유비쿼터스 러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결과 관리와 다양한 기기에 적합한 콘텐츠 표현 방안 그리고 이 기종 시스템들 간의 동기화 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DA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PDA 상에서 학습을 할 수 있게 한 후,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서버로 동기화 할 수 있는 PDA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PDA 학습 시스템은 학습을 위한 PDA 어플리케이션과 학습 결과 처리를 위한 PDA 서버로 구성된다. PDA 서버는 XML형태의 문제 파일을 생성하고, PDA 어플리케이션에 이를 제공하며, PDA내의 학습 결과를 서버의 학습 결과와 동기화 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해 나간다면 유비쿼터스 러닝을 실천하기 위한 기반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EEP-Talk: Deep Learning-based English Education Platform for Personalized Foreign Language Learning (PEEP-Talk: 개인화 외국어 학습을 위한 딥러닝 기반 영어 교육 플랫폼)

  • Lee, SeungJun;Jang, Yoonna;Park, Chanjun;Kim, Minwoo;Yahya, Bernardo 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93-299
    • /
    • 2021
  • 본 논문은 외국어 학습을 위한 딥러닝 기반 영어 교육 플랫폼인 PEEP-Talk (Personalized English Education Platform)을 제안한다. PEEP-Talk는 딥러닝 기반 페르소나 대화 시스템과 영어 문법 교정 피드백 기능이 내장된 교육용 플랫폼이다. 또한 기존 페르소나 대화시스템과 다르게 대화의 흐름이 벗어날 시 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대화 주제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는 CD (Context Detector) 모듈을 제안하며 이를 적용하여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PEEP-Talk의 각 모듈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더불어 CD 모듈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성능 평가지표인 CDM (Context Detector Metric)을 기반으로 PEEP-Talk의 강건함을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PEEP-Talk를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하여 배포하였다.

  • PDF

Efforts to Improve the E-Learning Center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Survey on Us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대한영상의학회 이러닝 센터 발전을 위한 노력: 대한영상의학회 회원 설문조사)

  • Yong Eun Chung;Hyun Cheol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3 no.6
    • /
    • pp.1259-1272
    • /
    • 2022
  • Purpose As part of ongoing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e-learning center, a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us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Materials and Methods Radiologists (n = 454/617) and radiology residents (n = 163/617)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were asked to answer a survey via email. The questionnaire asked for basic user information as well as user experiences relating to the e-learning center, such as workplace, frequency of use, overall satisfaction levels, reasons for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nd othe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Results Annual members and all members of the e-learning center reported above average satisfaction levels of 67% and 42%, respectively. Approximately 30% of respondents viewed e-learning center lectures more than 5 times a month, with residents having a particularly high usage frequency. There was a high demand for additional lectures covering more diverse specialties (e-learning for annual members only: n = 28/97, e-learning for all members: n = 72/166), a smoother and more convenient searching platform/interface (n = 37/97 and n = 58/166, respectively), and regular content updates. In addition, many of the members suggested the addition of user-friendly functions such as playback speed control, a way to save viewing history, as well as requests for improved system stability. Conclusion Based on survey results, the educational committee plans to continue its efforts to improve the e-learning center by increas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available lectures, and increasing technical support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e-learning digital system.

Exploratory Case Study for Developing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e-Learning on Social Welfare Education (사회복지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운영전략을 위한 탐색적 사례연구)

  • Suh, Sang-Hyun;Kim, Kyo-Je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7
    • /
    • pp.104-11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e-Learning.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were attended to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e-Learning in K center between first semester, 2006 and first semester, 2007 as well as professors and system operator. It is important meaning to performance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which is on the e-Learning of social welfare studies. As a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systematic preparation process, study contents which is centered field,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study management in time efficiency, technological supports for system improvement are significant factors on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e-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