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동형 병원 C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일개 국가지정 의료기관의 이동형 병원 CT 활용 사례 (Application of Mobile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in a State-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und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ituation by Example)

  • 신형호;이정호;김광훈;김병진;진성찬;박현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2호
    • /
    • pp.71-7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cess of providing important medical images for the diagnosis of pneumonia caused by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hrough the only mobile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CT) in Korea. Since January 28, 2020, medical imaging examinations have been provided to confirmed and suspected COVID-19 patients, and the quality of imag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In order to prevent the transmission in the hospital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to medical staff and general patie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worn and the separate route was used blocking human infection factors. For 11 weeks, a total of 185 tests were performed for 98 confirmed patients and 72 suspected patients. The average time to complete the test was 33 minutes. In the course of the test, no cross-infection cases were examined. During the outbreak of the COVID-19, the only mobile hospital CT room of Korea provided medical imaging examinations without infection among medical staff and patients and also provided adequate medical image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pneumonia progression compared to a stationary in-hospital CT.

전산화단층촬영검사 시 검사실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의료인의 간접 피폭선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rect Radiation Exposure of the Medical Personnel Who is Responsible for Patient Safety in CT Examination)

  • 최민혁;장지성;이기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2호
    • /
    • pp.105-111
    • /
    • 2019
  • A medical personnel could be placed beside a patient together in CT room to do Ambu-bag for a seriously ill patients or emergency patient. At this time, the medical personnel can be exposed indirect radiation unnecessarily.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ndirect radiation dose levels and methods to reduce them using actual clinical CT protocols such as Chest, Abdomen, and Brain CT. We researched surface radiation dose with or without radiation protectors such as apron and goggles according to different distances far from gantry using two different CT scanners (Fixed MDCT and mobile CT). As a result, for Chest, Abdomen, and Brain CT with Fixed MDCT, indirect radiation dose on thorax portion were 0.047, 0.089, 0.034 mSv without apron. Also, those with apron were 0.007, 0.012, 0.006 mSv. In case of mobile CT, it was 0.014 mSv without apron and 0.005 mSv with apron. By using protectors and increasing the distance, we could reduce it to 97%. Systematic manag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measured data in order to minimize radiation damage due to indirect exposure dose.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 삽입 시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고 우심방 내 위치시키는 방법의 타당성과 안전성 (Feasibility and Safety of a Technique Intended to Place the Catheter Tip in the Right Atrium without Abutment Against the Cardiac Wall during Implantation of the Totally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

  • 박혜진;서태석;송명규;양우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61-170
    • /
    • 2024
  • 목적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 이식 시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으면서 우심방 내 위치시키는 기술의 타당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를 삽입하고 추적관찰 CT를 시행한 환자 총 33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정맥 접근 포트는 절개선에서 직접 액와정맥으로 접근하는 단일절개법을 적용하여 이식하였다. 카테터 팁을 자르기 전 정맥 환류를 확인하여 우심방 내벽에 닿지 않도록 위치를 확인하였다. 카테터의 길이 및 연관된 합병증은 의료영상 그리고 의료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카테터 팁은 심벽과의 닿음과 기능장애 없이 성공적으로 위치 조정되었다. 카테터 팁의 위치는 cavoatrial junction 기준으로 fluoroscopy에서 15.3 mm, 첫 번째 CT에서 6 mm 원위부에 있었다(중앙값). 카테터 팁은 fluoroscopy 대비 첫 번째 CT에서 10.4 mm 머리 방향으로 이동하였다(중앙값). 추적 CT에서 우심방과 상대정맥에서 각각 1건씩의 혈전증이 발견되었다. 결론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으면서 우심방 내 의도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혈전증 발생률이 낮고 기능장애가 없는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맞춤형 Si-Bolus의 위치 오차 효과 평가: 자궁경부암 방사선 치료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Position Error of a Customized Si-Bolus Produced using a 3D-Printer: Cervical Cancer Radiation Treatment)

  • 홍성표;정지오;이승재;최병진;김청모;정수일;신윤성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5권
    • /
    • pp.7-13
    • /
    • 202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이 자궁과 함께 몸 밖으로 돌출되었을 때 맞춤형 Bolus를 사용하는 것이 치료계획에서 선량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환자 set-up에서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치료 계획은 Eclipse Treatment Planning System (Version 15.5.0, Varian, USA)을 사용했으며 치료기는 VitalBeam (Varian Medical Systems, USA)을 사용하였다. 방사선 치료 기법은 3D-CRT로 AP/PA 방향으로 6MV 에너지를 이용하였다. 처방 선량은 1.8 Gy/fx이고 총 선량은 50.4 Gy/28 fx이다. 이온챔버는 Semiflex TM31010 (PTW,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각 위치 이동 및 종양 중심 선량에 따른 계획선량과 측정된 선량을 비교하여 선량 분포를 분석 및 평가하였다. 첫 번째 측정은 팬텀에 맞춤형 Bolus를 적용하여 중심에서 수행하였으며, 위치 오차를 가정하여 중심에서 X, Y, Z축 방향으로 -2 cm ~ +2 cm 범위에서 이동하면서 측정하였다. 0.5 cm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Y축 방향은 ±3 cm까지 측정하였고 Bolus가 잘못 set-up된 상황도 측정하였다. 측정된 선량은 팬텀의 air cavity 대신 실리콘의 CT Hounsfield Unit (HU) 240으로 보정된 선량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위치 오차는 모든 X, Y, Z축에서 최대 ±2 cm까지 약 -1%이다. Y축의 경우 +3 cm의 차이가 발생했을 때 -9.73%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Bolus가 피부에 올바르게 부착되지 않았을 때 -2.6%, 완전히 제거되었을 때 3.92%의 오차가 있었다. 결 론: 맞춤형 Bolus를 사용한 경우 치료 선량 분포가 균일했으며, 위치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처방 선량과 실제 측정값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기존 시트형 Bolus는 몸 밖으로 튀어나온 불규칙한 모양의 종양을 보완하기는 어렵지만 맞춤형 Bolus는 치료 선량을 균일하게 전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 PDF

국내 동물병원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관계종사자 안전관리에 관한 융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for radiation workers and diagnostic radiation-generator devices of animal hospital in Korea)

  • 강경묵;서태영;김용상;윤선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5-61
    • /
    • 2020
  • 다양한 종류의 방사선 발생장치가 동물병원에서 사용되면서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의 안전이 중요해지고 있으나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 대한 안전관리 정보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검사기관 및 측정기관, 시·군·구에서 조사되어진 방사선 발생장치 및 관계종사자, 피폭선량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최근 6년간 동물병원에서의 방사선 발생장치와 관계종사자 수는 각각 2,138대에서 2,972대, 2,644명에서 5,733명으로 증가하였다. 2019년 방사선 발생장치의 수는 일반 X-ray, CT, C-arm, 이동형 X-ray, 치과용 X-ray는 각각 2,204대, 58대, 67대, 770대, 14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9년 방사선 관계종사자 수는 수의사 4,236명, 수의간호사 1,080명, 업무보조원 404명, 기타 13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8년 방사선 관계종사자 연간평균피폭선량은 표층선량 0.21mSv, 심부선량 0.18mSv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물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1998{\sim}1999$년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ectal Cancers Patterns of Care Study for the Years of $1998\~1999$)

  • 김종훈;오도훈;강기문;김우철;김원동;김정수;김준상;김진희;길학재;서창옥;손승창;안용찬;양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22-31
    • /
    • 2005
  • 목적 :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도의 2년간 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 직장암 환자의 전체적인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 내용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자의 기준은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직장 선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환자로서 육안적 잔여 병소 없이 근치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직장암이외의 다른 암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각 병원별 치료환자 수에 비례하여 해당 병원의 입력 환자수를 정한 후 PCS본부의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하여 입력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환자는 웹 기반 PCS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병원에서 직접 자료를 입력하였다. 결과 : 전국의 19개 병원에서 총 309명의 환자 자료가 입력되었다. 남녀 성비는 59 : 41이었으며 하단연 기준 종양의 위치는 항문연 6 cm 이내가 $46\%$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전 CEA검사는 $79\%$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43\%$에서 6 ng/ml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직장내초음파검사는 50명($16\%$)에서만 시행되었으며 CT 등을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은 274명에서 가능하였으며 stage II가 $32\%$, III가 $48\%$를 차지하였다. 수술 후 조직소견에 의한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II가 $34\%$, III가 $63\%$였다. 수술의 방법은 복회음부절제수술이 $38\%$, 저위전방절제술이 $59\%$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는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병소와 함께 절제되었다. 절제연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가 13예였으며, 수술 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91\%$였고 $80\%$의 환자는 정맥주사, $9\%$의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는 5FU와 leucovorine의 조합이 212명($69\%$)으로 가장 많았고 시행횟수는 6회가 140예($45\%$)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치료자세는 복와위자세가 251예($81.2\%$)로 나타났고, 치료 조사야 수는 박스형 4문조사가 75예($24.3\%$)로 가장 많았으며 3문조사(후방-양측방)가 201예($65.0\%$)로 그 뒤를 이었다. 치료 시 소장을 조사야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소변을 참는 등의 조치는 $40.1\%$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선량의 처방점은 회전중심점이 140예($45.3\%$), 등선량곡선이 123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치료된 조사선량은 $180\~7,740$cGy의 분포를 보였으며 목표선량의 $90\%$이상이 투여된 경우가 287예($92.9\%$)였다. 결론 : 전국 각 병원들의 환자를 종합하여 관찰된 내용은 문헌상 권장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의 범위와 항암화학치료의 방법은 병원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의 방사선치료 내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탓에 방사선량과 조사야의 선택에 있어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처방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