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장치

Search Result 2,68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patial Dose Distribution from Portable Hand-Held Dental X-Ray Equipment (이동형 치과 X선 발생장치의 공간선량 분포)

  • Han, Gyeong-Soon;Ahn, Sung-Mi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5 no.3
    • /
    • pp.254-258
    • /
    • 2015
  • To compare the stationary dental X-ray generator and the portable dental X-ray generator and to understand spatial radiation dose depended on locations by measuring spatial radiation dose of the portable dental X-ray generator. The researchers used an Ionization chamber to measure spatial radiation dose which was generated while applying X-ray radiation to real bone skull phantom with both portable and stationary dental X-ray generator. There were 4 measurement locations which were immediate anterior, right, left and posterior. Distance of measurement was 50 cm in every location and the recorded result is an average of two applications of X-ray radiation to the maxillary molar area under the condition of 70 kVp, 3 mA, 0.1 sec. Average spatial radiation dose of portable X-ray generator was $37.51{\mu}Sv$, much higher than that of stationary X-ray generator which was $10.77{\mu}Sv$ (p<0.001). The result of the spatial radiation dose of the portable X-ray generator showed a huge difference depending on types of units which varied from $17.77{\mu}Sv$ to $68.90{\mu}Sv$ (p<0.05), also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location, immediate anterior resulted in the highest radiation dose of $54.14{\mu}Sv$ and immediate right was the lowest of $13.60{\mu}Sv$. Immediate left and posterior, however, resulted in similar radiation dose which were $42.12{\mu}Sv$, $40.18{\mu}Sv$ (p<0.01). With this result, we claim that usage of portable dental X-ray generator should be restricted to patients who can't move and exposure to radiation should be minimized by wearing lead-apron.

The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MPA) depending on vertical facial patterns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 비교)

  • Ryu, Young-Kyu;Lee, Kee-Joon;Oh, Chang-H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2 no.6 s.95
    • /
    • pp.413-424
    • /
    • 2002
  • Preadolescent children with deficient maxillae are suitable candidates for the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MPA). The theoretical effect of the MPA is protraction or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maxilla. However, it is known that complex effects such as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maxillary teeth, down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linguoversion of the mandibular anterior incisors, are known to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Cl III malocclusion. There have been much studies with regard to maxillary protraction, but the different effects of MPAs depending on the vertical facial pattern are not known precisely. This study was based on 67 patients (31 males, 36 females) aged from 6 years 6 months to 13 years 3months, who visited the Dept. of Orthodontics at Yonsei Univ., Dental Hospital and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with maxillary deficiency.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low, average, high angle groups) depending on genial angle and the SNMP (Go-Gn) angle, respectively.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MP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 significantly large amount of backward movement of the B point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a low SNMP angle. Those with a high SNMP angle had significant forward movement at A point. 2) The patients with low genial angle had the least forward movement at the A point, and those with a high angle had more forward movement. 3) In comparing the arcTan of the A point, the high angle group showed more horizontal movement while the low angle group showed more vertical movement. 4)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he treatment duration of the SNMP and the Genial angle groups.

KT-1 장치에서 언저리(edge) 플라즈마의 특성

  • 박준교;정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929-934
    • /
    • 1998
  • KT(KAERI Tokamak) 장치의 언저리 영역에서 삼중정전탐침을 이용하여 플라즈마밀도, 전자온도 및 부유(floating)전압을 측정하였다. 토카막 방전조건에 따라 고정된 위치에서의 측정값들은 시간에 대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플라즈마 밀도 값 <η$_{e}$>은 약 두 배까지의 시간에 따른 변화 폭을 보였다. 반면에 밀도 섭동량(fluctuation) $\delta$η$_{e}$/<η$_{e}$>은 다른 섭동량과 마찬가지로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냈다. z 방향에 대해 측정한 proafile 결과는 모두 z/a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섭동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유전압 및 압력구매에 의하여 발생되는 poloidal 방향의 drift속도를 profile 결과로부터 얻었으며, 언저리 영역에서 섭동량은 이온 diamagnetic 방향으로 최대 + 2 $\times$$10^{5}$ cm/sec의 속도로 이동함을 예상할 수 있었다 섭동량 자체에 의해 유기되는 전기장 \ulcorner(equation omitted) 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속도는 측정한 부유전압의 섭동량에 대한 z 방향 profile로부터 언저리 영역에서 $\upsilon$$_{r}$가 최대 + 1.2 $\times$ $10^{5}$ cm/sec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언저리 영역에서 섭동량이 장치 벽쪽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진행 속도 값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었다.있었다.

  • PDF

An Optimal Path Planning of the Autonomous Guided Vehicle in the Environment with Dynamic Obstacles (동적 장애물 환경에서 자율운송장치의 최적 경로 계획)

  • Lee, Yun-B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3
    • /
    • pp.343-353
    • /
    • 1995
  • The path navigation of autonomous guided vehicle(AGV) or autonomous mobile robot(AMR) assumed that the environment was completely known and the obstacles were fixed. So that, in an environment only partly known or not known at all, the previous works were not successful since the path exploration techniques involved in the work were neither directly applicable nor extensible. In order to improve such problems, this paper was adopted the quadtree technique and proposed the algorithm for an optimal path planning autonomously in an environment and proved a validity through a simulation.

  • PDF

An Efficient Wear-leveling Scheme for Flash Memory File System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소거 횟수 평준화 기법)

  • 배영현;최종무;이동희;노삼혁;민상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580-582
    • /
    • 2004
  • 이동 기기의 저장 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해당 블록이 미리 소거되어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또한 각 블록은 소거 횟수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블록이 집중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부 블록의 수명이 일찍 다하게 되어 저장 장치로서의 구명도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입출력 성능뿐만 아니라 기록과 소거 동작이 특정 블록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 장치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소거 횟수 평준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기존에 제안된 소거 횟수 평준화 기법은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며 각 블록의 소거 횟수를 유지해야 하는 비용 등으로 인해 자원이 부족한 소형 이동 기기에서 구현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에서 구현과 동작이 단순하고 어떠한 데이터 접근 형태에 대해서도 평준화 성능이 우수한 효율적인 소거 횟수 평준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을 구현하여 기존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의 소거 횟수 평준화 성능과 비교 평가한다.

  • PDF

Portable Water Quality Measurement System with Real-time Monitoring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이동형 수질 측정 시스템)

  • Son, Gwangho;Shin, Kyungju;Park, Chanyong;Jeon, Jo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322-324
    • /
    • 2019
  • 하천과 호소수에서 상당 부분의 수자원을 얻는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하천 수질사고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할 수 있는 수질 측정 장치와 측정한 수질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수질 측정 장치는 모형 배 형태이다. 관리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질 측정 장치를 조종할 수 있다. 측정한 수질 정보를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수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현 결과, 가벼운 무게와 조종 가능한 특성으로 이동성의 개선과 웹페이지를 통한 실시간 시각화를 확인하였다.

A Study on M2M Identifi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이동통신 기반 M2M 식별자 연구)

  • Youn, JooSang;Hong, Y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495-498
    • /
    • 2012
  •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람 대 사람 통신에서 사람 대 사물, 사물 대 사물 통신으로 변화하고 있다. 여기서 사물은 네트워킹 기능을 가진 중, 소형 장치들을 의미하며 기존 센서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통신 기능이 부여된 센서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기반 M2M 서비스 기술 개발 현황과 M2M 서비스에 필요한 장치 식별자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botic Learning Map Development Method in Ubi-Home Environment (Ubi-Home 환경에서 로봇을 이용한 학습형 맵 작성기법의 설계 및 구현)

  • Choi, Kwang-Won;Kim, Dong-yuk;Kim, Nam-Hyung;An, Jung-Ho;Park,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663-665
    • /
    • 2009
  • Ubi-Home 환경에서 장치제어를 하기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 중 원격지에서 장치제어를 하기 위해 특정 기기(로봇)를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는 로봇과 장치들의 위치인식과 이동경로 설정에 따른 제약사항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위치인식 및 이동에는 미리 작성된 하나의 맵이 사용되므로 새로운 환경의 변화나 확장에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로봇과 장비의 위치인식과 이동경로를 위한 학습형 맵 작성 기법을 제안하며, 테스트를 위해 Atmega128v4 MCU와 AX-12+ Motor, AX-S1 Sensor, ZBS-200 Zigbee, CL-1L5/603LM Infrared Ray Sensor로 로봇을 제작하여 실내 환경 모형에서 테스트하였다.

뉴스퍼레이드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78
    • /
    • pp.50-66
    • /
    • 1994
  • PDF

Usability Comparative Testing of Pointing Input Devices on a Small-Sized Mobile Computing Device - Focused on Trackpoint and Touchpad - (이동형 컴퓨팅 기기에서의 포인팅 입력 장치의 사용성 비교연구 - 트랙포인터와 터치패드를 중심으로 -)

  • Jeong, Seong-Won;Lee, Kun-Pyo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4 s.62
    • /
    • pp.175-184
    • /
    • 2005
  •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laptop computer that are small sized mobile implements are typical devices which capable of using wireless internet. They seem to have a tendency to possess multi-function as well as to miniaturize in accordance with taking advantage of today's digital convergence circumstanc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ointing input device of these mobile computer that have PDA size and laptop's performance has to be added to something very small instead of 4-button, 5-button navigator and with the electric pen. The basic framework fo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the two input devices Trackpoint and Touchpad which regarded as a alternative pointing device for small sized mobile computer. 14 novice subjects compared a Trackpoint to a Touchpad across five curser-control tasks. The study found that subjects executed not more slowly with a Trackpoint input device than with the Touchpad. Observation shows that learning for Trackpoint appears to have had more than for the Touchpad. Subjects expressed preference for the Trackpoint in general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