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理)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Issue of Mind in Youlgok's Philosophy (율곡철학(栗谷哲學)에 있어서 '마음'의 문제)

  • Lee, Sang-i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5
    • /
    • pp.167-196
    • /
    • 2009
  • Youlgok's thoughts on mind are represented both in his one-road theory of mind, nature, emotion and will and in his one-way theory of Li riding on a dynamic Ki. The one-road theory has two meanings. First, it means that mind, nature, emotion and will are not separate things, but those three things other than mind belong to mind, which only different phases of mind. Second, it means that human desire and moral will, inborn nature and dispositional nature,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re not sets of mind opposing each other forever, but sets of mind which can be sublated in the end. The one-way theory of Li riding on a dynamic Ki explains the relation of mind and nature in terms of Li and Ki. In Youlgok's theory, Ki(mind) is the subject of operating dynamics and Li(nature) is the content of operated results. Nature appeared through operating mind is emotion. Li riding on a dynamic Ki means both that Li superintends Ki(operates Ki's standard), and that it realizes itself through Ki. In a word, mind is the subject realizing nature, and mind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nature. In this way, Youlgok pays attention on both Li's norm and Ki's dynamic.

여헌(旅軒)의 "이기경위(理氣經緯)" 사상에 대한 시론 - 한국 성리학의 또 다른 시각 -

  • 형려국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0
    • /
    • pp.121-138
    • /
    • 2013
  •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이다. 그는 한국 16-17세기의 저명한 사상가이다. 그의 사상은 퇴계와 율곡의 학설을 흡수하고 계승하였을 뿐 아니라 자신의 독창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는 퇴계와 율곡의 이기설을 극복하고 종합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이기경위설(理氣經緯說)"을 제기하였고, 그로 인해 한국 성리학의 특색을 갖춘 인물이 되었다. 그는 경위(經緯)의 구조(構造)로 이기(理氣)의 관계를 관찰하고 분석하였으며, "이(理)(경(經))"를 불변의 표준으로 삼고 "기(氣)(위(緯))"를 가변적인 작용(作用)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성리학의 이기(理氣)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세계 구성을 이기(理氣)의 측면에서 현상론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이기일물(理氣一物), 이기경위(理氣經緯)는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기경위설(理氣經緯說)의 전제(前提)는 분합론(分合論)으로 이어진다고 본 다. 합(선(先))-분(금(今))-합(후(後))은 시간적 순서, 형이상하적 구분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f Programming Interest analysis (프로그래밍의 흥미 분석 연구)

  • Jeon, Seong-Kyu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71-174
    • /
    • 2014
  • 다양한 학습 능력과 성격을 지닌 학생들은 대체로 프로그래밍에 많은 흥미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본질적으로 프로그래밍이 학생들에게 왜 흥미를 유발하는지 프로그래밍 그 자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생들에게 주는 의미를 발달상의 심리적 요인과 철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유아의 발달 과정에서 자기애 욕구를 프로그래밍을 통해 충족시킬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인간의 마음을 구성하고 만물의 근원인 이(理)와 기(氣)의 개념으로 프로그래밍 세계를 해석하였다.

  • PDF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의 철학이론과 유학정신

  • Nam, Myeong-Ji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05
    • /
    • pp.149-192
    • /
    • 2008
  •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1507-1582)는 500년 전에 출생하여 조선시대 중종, 인조, 명종, 선조의 4대에 걸친 75세를 일기로 생존했던 재조(在朝)의 선비로서 행정가요, 또한 학인이었다. 추파는 기묘사화의 참상을 직접 목도하고 본의 아니게 위훈이 하사되어 평생 마음의 질곡이 되었고, 또한 소위 양재역 벽서사건에 연루된 종형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를 구명(救命)하지 못한 그의 처신이 또한 역사 속에서 오해의 사단(事端)으로서 추파에게 큰 굴레로 작용되었다. 추파의 현실인식은, 사화로 사림이 사기저상되었고, 그로 인해서 치도와 강상이 붕괴되었으며, 재해가 출현하고, 민심의 흐트러짐이 모두 천명의 노여움으로 본 동시에, 그 처방을 요순지치인 치도(治道)를 확립할 것, 선진 성학으로서 학문을 진흥할 것과 그 실천 주체인 선비의 기상을 진작시킬 것에서 찾았던 것이다. 추파의 성리설은 이기관계론을 부상리(不相離)라는 주제만을 채택하여 존재론적으로 접근하였고, 그 결과 율곡보다 훨씬 앞서 '리기지묘(理氣之妙)'라는 표현을 쓰면서 리발(理發)보다는 발어리(發於理)라는 말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서 기발을 중심으로 말한 "기발어리설(氣發於理說)"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 그 뜻으로서의 천리(天理)를 밝혀 기(氣)로 발하는 구체적인 삶 속에 구현 하는 실천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추파의 학문은 바로 천리(天理)를 깨달아 실천궁행하여 가는 길로서 삶의 목표로 삼은 점이 특징적인 것이다. 즉 추파에 있어서 학문의 길은 리(理)의 본래적 뜻을 깨닫고 리(理)의 뜻을 심성의지(心性意志)를 통해서 구현하는 길인, 리(理)로 부터 발한 기발(氣發)을 몸소 역행실천(力行實踐)하는 길인 것이다. 이 길을 실제로 자신의 사명과 직결된 삶의 바른 길로 삼았던 것이다. 요컨대 추파의 학문사상의 궁극적 특징은 역행궁리(力行窮理)의 실천학에 있는 것이며, 따라서 결론적으로 사사(事事)(실사(實事))구시정신(求是精神)에 입각한 실천철학만이 그의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지가 되었던 것이다. 현실정치의 민생문제도, 역사적 이념으로서 선비정신 부양과 벽이단도 모두 이 사사구시(事事求是)의 시(是)를 통해야 되고, 이 시(是)를 통해서 구현하는 길이 추파학문사상의 궁극처인 것이다. 그리고 그의 언설과 삶 자체가 실사구시의 실천 그 자체 이었던 것이다. 학문사상사적으로 본다면 추파의 위상은 근본유학의 정신을 살려 그를 근간으로 하여, 한국 성리학의 개화기(開花期)에 새로운 개념으로서 이 기관계를 '리기지묘(理氣之妙)'라든가 발(發)의 근거를 리(理)에 두되 리(理)가 직접 발하는 것이 아니라, 발(發)하는 것은 기(氣)라는 '기발어리(氣發於理)'의 한길만을 중시한 점으로서 이기설의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 점이라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발론적(氣發論的)인 바탕에서 실천역행의 근거를 확립하게 됐다는 특징을 볼 수 있는 점이다. 또한 이것은 한국성리학의 기발일도라는 기발설의 선구적 주장이며, 또한 이(理)를 근거로 결국 사사구시(事事求是)의 경세실학(經世實學)을 제시함으로서 실학의 선구가 될 만한 문제제기(問題提起)를 했다고 평가할 만한 특징이라 하겠다. 이 연구가 그의 마음속에 얹혀져있던 멍에도, 그간 오해받은 역사적인 멍에도 벗겨질 수 있고, 한국철학사상장성기(韓國哲學思想長成期)(국유사상주류기(國儒思想主流期))의 학술사적인 위상도 바르게 드러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eaning Analysis (의미 분석)

  • 이건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419-423
    • /
    • 2000
  • 성공적인 의사소통의 경우에 성(性)이, 이(理)와 명(命)으로 나타난 것이 같다. 진리(aletheia)가, 언어(logos)와 운명(moira)으로 나타난 것들이 일치하는 것이 성공적인 언화행위가 된다. 측정대상(melos)과 본체(ousia)가 구분되는 것은 언어와 운명의 괴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체계적인 언어처리의 지식기반을 측정대상에 한정한다. (1) 철학의 시작은 더 옳은 언어표현의 정의(definition)로 이전의 잘못 사용된 언어처리를 대체시키는 것으로 소크라테스는 보았다. [R. Crossman] (2)잘못을 지적하는 등에(Tabanidae)의 역할과 옳은 지식의 상기를 돕는 산파법(maieutics)이 소크라테스의 의미분석의 방법이다. [R. Crossman] (3) 언어를 통하여 진리를 추구한다는 입장(via language)에서 한 언어표현이 그 진리의 운명으로 나타남과 어긋날 때, 운명을 택하는 것은 조화 보다 더 안정의 우위를 인정하는 논리적인 입장으로 합리성 보다 실용(pragma)의 우위를 인정하는 것이다. [W. Quine] (4) 공동체의 공통규범의 추구는 그 언어 속의 공통의 형식 또는 법칙의 추구에 기초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여기에서 그 언어사용은 그 기저의 법칙(underlying rule)에 개입한다는 입장에 기초한다. [J. Searle] (5) 진리의 언어표현과 운명적인 사태들 사이의 괴리를 처리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언어표현의 대상(The Young Tableaux)과 실제(The continuum)의 구분을 수용한다. [AMS(2000)]언어표현의 대상은 나타난 것(顯)이고 실제에는 나타나지 않은 것도 있다. [伊川, 明道] (6) 이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에 간격이 없다는 것(顯微無間)은 그 의사소통이 성공적인 것이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그 언어의 표현완전성(functional comple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 [J. Searle] (7) 수로 쓰인 것(象數)과 시로 쓰인 것(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틈도 없음을 말한다. [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 PDF

Okdong Lee Seo's Li(理)-Qi(氣)Dualism and Its Meaning (옥동(玉洞) 이서(李漵)의 이(理)·기(氣) 대립적(對立的) 사유(思惟) 양식(樣式)과 그 의미(意味))

  • Yoon, Jaehwan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49
    • /
    • pp.187-223
    • /
    • 2012
  • This study is planned to research the ways and structue of Okdong's thinking, which are the foundation of his academic world, based on the collection of his literary pieces. This study became interested in Okdong Lee Seo because he with some strong stimulation and shock is considered as the turning point of his family's academic tradition. His family's academic tradition before Okdong had been famous for literatures of its members, such a tradition shifted toward Confucian classical studies. Especially, Okdong was the third elder brother of Seongho Lee Yik who represented the academia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took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Seongho's study. Okdong is considered to have built the basic structure of Seongho's study. It seems that in the process he transmitted their family's academic tradition whose focus got shifted from literature to Confucian classical studies. Thus, this study has the basic meaning as elucidation about the fundamental of Okdong's academic world. However, the larger meaning of this study is the verification of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Seongho's study: Seongho's study stood on Okdong's study but overcame Okdong as an individual, and then became a academic standard of the late Joseon period. When the collection of Okdong's literary pieces is examined, it can be found that Okdong way of thinking rooted in the Confucian theory that human nature is originally good. Especially, Okdong maintained the li-qi dualism in which li and qi conflict against each other. For understanding and elucidating not-completely-good human mind, he understood li and qi within conflicting relationship. Okdong claimed that in order for a man to keep his life humane, the man should recover his moral completeness by cultivating his mind through sincerity and reverence. Okdong's goal was to build society and to realize human nature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cal Confucian ideology of filial piety and respect and of loyalty and trust. Here lies the fundamental meaning of Okdong's way of thinking.

Statistic Model by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Prediction of Ginseng Root Yield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을 이용(利用)한 인삼근(人蔘根) 수량예측(收量豫測)의 통계적(統計的) 모형(模型))

  • Lee, Jong-Chul;Lee, Il-Ho;Hahn, Weon-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7 no.4
    • /
    • pp.371-374
    • /
    • 198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tatistic model by use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prediction of ginseng root yield. Twenty seven farmer's red ginseng fields from the ginseng growing area were chosen for this study. Root yield of 6-year old ginseng was $1.85{\pm}0.54Kg$ per $3.3m^2$, and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ield and porosity, content of clay, clay and silt, organic matter,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field soils, respectively, b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vailable phosphate. Prediction of root yield was possible with equation combined with porosity($X_1$), content of clay($X_2$), clay and silt($X_3$), available phosphate($X_4$), CEC($X_5$), the equation is $Y=-1.175+0.033X_1-0.04X_2+0.012X_3-0.001X_4+0.171X_5$. Standar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0.3799 in CEC, 0.1550 in content of clay, 0.0890 in porosity, 0.0599 in content of clay silt, and -0.0138 in available phosphate.

  • PDF

Studies on the Desorption of $Sr^{90}$ from Paddy Soil (답토양(畓土壤)에서 Strontium-90의 탈착(脫着)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Jae-Sung;Lim, Soo-Kil;Lee, Young-Il;Cheong, Kyu-Ho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6 no.2
    • /
    • pp.31-38
    • /
    • 198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hysical,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on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r^{90}$ from absorbed soil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adsorbed $Sr^{90}$ was exchangeable and water soluble. $Sr^{90}$ extracted by ammonium acetate was very high compared to the water soluble fractions, and the ammoun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alcium application, but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increase of $Sr^{90}$ treatment. 2. The distribution of $Sr^{90}$ in paddy soil depend on the soil type. Average-distribution rates of water soluble, exchangeable and non-exchangeable fractions of $Sr^{90}$ in the soils were 28.6%, 59.3% and 12.1% respectively. 3. The non-exchangeable from of $Sr^{90}$ was high in the soils of high illite and low vermiculite content. 4. The desorption of $Sr^{90}$ from adsorbed soil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 and ex-cations of the soils, but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in the soil.

  • PDF

Toegye's Tao-hsueh and the Theory of Governance (퇴계(退溪)의 도학(道學)과 경세론(經世論))

  • Kang, Heui Bo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41
    • /
    • pp.71-92
    • /
    • 2014
  • A series of the tragic 16th-century Sahwas sent Toegye into the depths of despair. In the face of the ensuing social disruption in which any criterion or direction is utterly lost, he could not but to reexamine the problem of human nature and good and evil. For Toegye, criterion or direction is connected with Principle, and human nature and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are related with Mind. In other words, these problems are none other than the question: "As the subject of history and society, how a human being can set principle in a real world and realize it? How one can successfully control his wants and feelings with his rationality?" Toegye proposes that while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reformed when they are outdated, good laws and regulations are not necessarily to be discarded. He also warns that ideal governance is not likely to be realized if only too conservatives take the lead while radicals, depended upon exclusively, would create too many problems.

Choi Han-gi's Change of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aradigm (최한기의 존재와 인식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 Rhee, Myung-Su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7
    • /
    • pp.9-30
    • /
    • 2018
  • The paradigm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was changed in the context of modernity in Choi Han-gi's thought, in which the resource of all things and all affairs was not li but ki and li could be guessed from ki. And there are lis in the sphere of recognition as well as in that of existence in Choi Han-gi's thought, which might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thought system such as Neo-Confutionism. li is called Yuhaenguili in his ontological theory and Chucheukuili as one epistemological part. At anyhow there are many lis, which may be approached as the meaning of mechanism, in his philosophy. Besides there are, not only ontologically but also epistemologically, energetic factors, named as Unhwaki, whch are generating, moving, changing and altering. In his Kihak as an ki categorical thought, above all one's experience is of importance. He believed moral act, for example the expose of saving mind that was called Cheukeunjisim by Mencius, could be derived from social experience or contact. And he thought that the recognition of moral act might be achieved by the action of mysterious energy names as sinki of the essence of mind. Like these aspects, all things and all ones have their active, movable, and changeable natures in the sphere of both existence and recognition in Choi Han-gi's thought. In this way he got out of the previous ideas and presented practical and modern way of life to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