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용공학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8초

의용생체공학

  • 박상희
    • 전기의세계
    • /
    • 제28권5호
    • /
    • pp.33-36
    • /
    • 1979
  • 오늘의 학문은 너무나 세분화되고 있으며 또한 그경계가 불확실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생명활동과 전기현상에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학문분야가 점차로 체계화되고 의용생체공학(biomedical engineering)으로 집약되어가고 있다.그러면 여기서는 의용생체공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생체의 전기현상을 몇가지 소개하고 이것을 배경으로 의용생체공학에서 취급하고 있는 분야를 살펴봄으로서 이 학문의 위치를 확인하고져 한다.

  • PDF

의용생체공학과 전기공학과의 관련

  • 박상희
    • 전기의세계
    • /
    • 제23권1호
    • /
    • pp.29-33
    • /
    • 1974
  • 의용생체공학은 생체시스템에 대한 생물학적, 의학적인 지식과 공학기술을 응용하여 이들 개개의 시스템을 조화시키고, 도 생체시스템과 공학시스템간의 기능조화를 시키며, 양 시스템에 존재하는 환경의 조화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이렇게 볼때 응용생체공학에서 다루는 분야는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게 된다. 1. 생체시스템의 계측, 진단 및 치료에 공학적 수법(수단, 기술, 장치등)을 사용하는 분야.. 의용전자공학, 2. 생체시스템을 공학적으로 해석하고 미지의 생체부분을 예측 또는 해명하는 분야, 사이버네틱스, 3. 생체시스템의 우수한 기능을 모방해서 새로운 공학시스템을 창조하는 분야, 바이오닉스, 4. 공학적 수법을 사용하여 생체기능에 적합한 공학시스템 또는 환경을 개량하는 분야, 인간공학, 환경공학, 그러므로 여기서는 의용생체공학에 속한 여러문제가 전기공학과 더불어 발전하여 온 과정을 먼저 더듬어 보고 전기공학분야와 관련을 갖고 다루어지고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져 한다.

  • PDF

최근 생체공학의 연구동향과 그의 교육현황 (Status of Research & Education in Recent Biomedical Engineering)

  • 박상희
    • 전기의세계
    • /
    • 제20권5호
    • /
    • pp.43-46
    • /
    • 1971
  • 생체계통과 그 제어기구는 지구상의 여러가지 조건에 조화하려고 점차로 진화되어 왔으며, 현대기술문명의 발달은 인공적으로 자연과의 불조화로 생긴 문제를 해결하도록 계속 노력하고 새로운 생체계통은 모방할 수 있게 연구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생체공학은 의용전자공학의 범위에서 벗어나 medical engineering, biological engineering,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으로 영역은 확장하여 왔으며, 지금 여기서 이야기하고져 하는 생체공학은 bioengineering에 해당하게 그 영역을 정하여 보았다. 본문에서는 생체공학에서 취급되고 있는 분야를 간단히 살펴보고 주로 의용공학에 가까운 영역에 대한 연구동향과 교육현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의용생체공학 (1)

  • 홍승홍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46-51
    • /
    • 1984
  • 우리들은 현재 3차산업혁명이라고 하는 정보화시대에 생활하고 있으며, 급격한 과학의 진보는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커다란 혁명을 초래하여 왔다. 이로써 인간이란\ulcorner 생체란\ulcorner 생명이란\ulcorner 무엇인가에 대해 반문하게 되는 기회가 많아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생물물리, 생물화학, 생체공학, 의료공학의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사회의 부유화, 국민의 건강의식의 증대, 복지지향사회의 심화를 배경 으로 의료는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고도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고도화하고 광범한 공학기술이 발전하게 되었으며, 의용생체공학의 연구개발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점차로 커져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의용생체공 학의 정의에서부터 학문영역, 전망까지 소개하기로 한다.

  • PDF

차세대 디지털 병리를 위한 Label Free 디지털염색 알고리즘 비교 연구 (The Novel Label Free Staining Algorithm in Digital Pathology)

  • 황석민;정연우;김동범;이승아;조남훈;이종하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6-81
    • /
    • 2023
  •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H&E(Hematoxylin&Eosin) 염색이 필요하다. 병리 염색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최근 이러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자 디지털 염색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리 H&E 염색의 디지털 변환 방법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 번째 알고리즘은 Pair방법이다. 본 방법은 FPM(Fourier Ptychographic Microscopy)으로 촬영된 염색된 Phase 영상과 염색되지 않은 Amplitude 영상을 학습하여 염색된 Amplitude 영상으로 변환한다. 두 번째 알고리즘은 Unpair방법이다. 본 방법은 염색된 형광현미경 영상과 염색되지 않은 형광현미경 영상을 학습하여 모델링하여 디지털 염색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를 활용하여 디지털 염색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Pair방법과 Unpair방법 모두 우수한 성능의 디지털 염색 결과를 확보하였다.

Fourier Ptychographic Microscopy 영상에서의 딥러닝 기반 디지털 염색 방법 연구 (Deep Learning Based Digital Staining Method in Fourier Ptychographic Microscopy Image)

  • 황석민;김동범;김유정;김여린;이종하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97-106
    • /
    • 2022
  • 본 연구에서 세포를 분별하기 위해 H&E 염색이 필요하다. 그러나 직접 염색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H&E 염색되지 않은 세포의 Phase image에서 H&E 염색이 된 세포의 Amplitude image로 변환 하는 것이 목적이다. FPM으로 촬영한 Image data를 가지고 Matlab을 이용해 매개변수를 변경해 Phase image와 Amplitude image를 만들었다. 정규화를 통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이미지를 얻었다. GAN 알고리즘을 이용해 Phase image를 기반으로 Real Amplitude image와 비슷한 Fake Amplitude image를 만들고 Fake Amplitude image를 가지고 MASK R-CNN을 이용하여 세포를 분별하여 객체화를 통해 구분했다. 연구 결과 D loss의 max는 3.3e-1, min은 6.8e-2, G loss max는 6.9e-2, min은 2.9e-2, A loss는 max 5.8e-1, min은 1.2e-1, Mask R-CNN max는 1.9e0, min은 3.2e-1이다.

후두내시경 영상에서의 라디오믹스에 의한 병변 분류 연구 (Research on the Lesion Classification by Radiomics in Laryngoscopy Image)

  • 박준하;김영재;우주현;김광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53-360
    • /
    • 2022
  • Laryngeal disease harms quality of life, and laryngoscopy is critical in identifying causative lesions. This study extracts and analyzes using radiomics quantitative features from the lesion in laryngoscopy images and will fit and validate a classifier for finding meaningful features. Searching the region of interest for lesions not classified by the YOLOv5 model, features are extracted with radionics. Selected the extracted features are through a combination of three feature selectors, and three estimator models. Through the selected features, trained and verified two classification models, Random Forest and Gradient Boosting, and found meaningful features. The combination of SFS, LASSO, and RF shows the highest performance with an accuracy of 0.90 and AUROC 0.96. Model using features to select by SFM, or RIDGE was low lower performance than other things. Classification of larynx lesions through radiomics looks effective. But it should use various feature selection methods and minimize data loss as losing color data.

실시간 목 자세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두개척추각 추정 (The Estimation of Craniovertebral Angle using Wearable Sensor for Monitoring of Neck Posture in Real-Time)

  • 이재현;지영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278-283
    • /
    • 2018
  • Nowdays, many people suffer from the neck pain due to forward head posture(FHP) and text neck(TN). To assess the severity of the FHP and TN the craniovertebral angle(CVA) is used in clinin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onitor the neck posture using the CVA in daily life. We propose a new method using the cervical flexion angle(CFA) obtained from a wearable sensor to monitor neck posture in daily life. 15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pose FHP and TN. The CFA from the wearable sensor was compared with the CVA observed from a 3D motion camera system to analyze their correlation.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between CFA and CVA were 0.80 in TN and 0.57 in FHP, and 0.69 in TN and FHP. From the monitoring the neck posture while using laptop computer for 20 minutes, this wearable sensor can estimate the CVA with the mean squared error of 2.1 deg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