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상디자인 교육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ICT교육 기반의 사이버 의상디자인 교육과정 설계 (Design of Cyber Fashion Design Curriculum based on ICT Education)

  • 김이영;정은숙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5-102
    • /
    • 2005
  •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의류산업 현장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양질의 의상디자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교과가 개설되어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ICT소양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육내용 중 상당부분을 ICT교육에 할애해야 한다. 이는 초 중등 교육과정 및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에서 ICT교육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산업 환경과 그에 따른 교육환경에서 의상디자인 전문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ICT소양능력을 규정하고, 그러한 ICT소양능력이 갖추어졌다는 전제하에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ICT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 PDF

양방향 웹기반 의상디자인 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System for Fashion Design)

  • 김이영;박민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3-43
    • /
    • 2004
  • 원격교육에서는 교수(敎授, teaching)와 학습(學習, learning)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수자(敎授者)와 학습자(學習者)가 만족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WBI 시스템은 저비용으로 개발이 용이한 텍스트위주의 원격교육용 교재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의상디자인 교과는 이론교육 뿐만 아니라 직접 실습해보며 익히는 실기교육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실기교육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텍스트 위주의 교수-학습이론이나 방법은 물론 디자인 전 과정에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기교과의 교수-학습방법이 효과적으로 내재된 웹기반 의상디자인 원격 교육시스템을 설계, 제안하고,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을 중심으로 구현된 사례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별된 실험집단의 평가를 통하여 학습 효과를 규명하고 의상디자인 교육의 원격교육 가능성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경향 -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 Universities)

  • 최현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38-647
    • /
    • 1993
  • 현재 미국에서 컴퓨터 디자인(Computer aided design)은 의류산업과 의류학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전반적인 CAD 교육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인 자료와 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의 CAD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 5월, 총 19문항의 질문지가 124개 대학 의류학관련 학과에 우편으로 배포되었으며 71부가 회수되어 57%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71개 학교)중 56%가 CAD를 커리큘럼에 포함시켰다. 특히 의상디자인 전공을 가진 학과의 79%가 CAD를 도입하여, 의상디자인 전공이 없는 학과(28%가 CAD를 도입)보다 그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의류학 교육에서 CAD의 도입은 1988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강의는 의류학분야 교수진에 의해, 의류학과 시설물내에서 이루어졌다. CAD를 독립된 과목으로 강의하는 경우 대부분 필수과목으로서 한 학기 코오스가 많았으며 3학년부터 시작되었다. CAD를 다른 의류학 과목에 포함시켜 일부분으로 강의할 경우 영역 별로는 복식 의장학 분야의 과목에, 시간 별로는 한 학기 중 "몇 주" 정도로 가르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전체 CAD 강의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패턴 메이킹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패턴 그레이딩, 마커 메이킹, 직물/패턴 디자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의상디자인 순이며 스토어 레이아웃 상품전시 및 디스플레이 계획이 가장 적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CAD를 강의하고 있거나 앞으로 CAD를 커리큘럼에 도입하려는 한국 의류학 분야 교육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실기 중심 의상디자인 교과 원격교육 도입방안 연구 -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for Fashion Illustration)

  • 김이영;박민여
    • 복식
    • /
    • 제55권3호
    • /
    • pp.150-163
    • /
    • 2005
  • Distance Learning Education has been adopt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to actively face the changing educational field. Fashion design education essentially requires not only a theoretical but also a practical process in which feedback comes through personal interactions between an instructor and a student. Hence, the existing WBI system exemplifies its limitations by applying only a one-way methodology that limit interactions based only on the theoretical tex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ffects of an originally designed Distance Education program factoring in a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that addresses the practical demands of a fashion design program. So It analyzed the pre-existing condition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472 students and 60 fashion design instructors to determine how the traditional fashion design education is different from other programs and which method is being applied. then, It designed and applied an original web-based distance educational system specifically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fashion design curriculum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패션 테크니컬 디자인 교육 모형 (Fashion technical design education models applying the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 임민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5-129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ethods for technical design education that can b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industrial field. For this, technical design jobs performed in the field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industries and their required competences were examined, and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onstructivism were proposed. Korean fashion technical designers' works were identified, and then the fashion technical designer's responsibilities and qualific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global employment sites. On the basis of the collection and analysis, hands-on staff members and education experts were interviewed about required competences for the actual business and possible suitable methods for educ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US, job systems and relevant duties for technical designers were clearly defined by clothing brands, whereas in Korea, businesses were systematized around vendors, not brands, and as a result the businesses of technical package composition and specification proposals were not performed properly. This study organized the contents of technical design education into fit development and specification, the composition of technical design packages, the evaluation and approval of samples, fit schedule management and fitting, block pattern setting and pattern correction, sewing specifications appropriate for styles and materials, grading, technical terms, and production management. As for the technical design education models,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resource-based learning, the problem-based and anchored model, and the problem-based and resource-based models were proposed.

의류학 관련 교양과목 <영화로 만나는 패션> 개발과 운영사례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ashion & Film" in the liberal arts related to apparel science)

  • 신혜원;김희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52
    • /
    • 2021
  • This case study developed and operated "Fashion & Film" as a fashion-related liberal arts course. The class was designed to include fashion styles exhibitted in films, fashion-related PPL, fashion design through film, fashion images of movie characters, considering gender & color images expressed in movie costumes, and the history of western costumes and asian folk costumes in films. The class was counducted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s, student's presentation of movie plots, and team discussions, which created a student-led class. The team presentations at the end of the term we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ashion through movies. The results of subjective lecture evaluation of "Fashion & Film" show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cation with professor. Students said that it was good to understand fashion through film. They expressed a burden with the team project; howev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team project outcomes. Students said that PowerPoint was used very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prevelent opinion that the content of PowerPoint and workbook did not match. To address this inconvenience, a textbook called "Fashion in Film" was published and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multiple-choice evaluation showed that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shion & Film" class.

대학 교육서비스품질에 따른 교육만족도가 학교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학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School Convers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service - Focusing on Beauty Department -)

  • 전홍신;방효진;고경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school convers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To survey the percep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partment of Beauty on both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beauty education, we distributed 600 questionnaires and utilized them as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60 unreturned or defective papers. As a result of t-test and one-way ANOVA,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education satisfaction and school transfer inten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n the education service,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n the school conversion intention, and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influenced the school convers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education,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related to the beauty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nd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 PDF

휠체어 장애아동을 위한 유니버설 패션디자인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Universal Fashion Design for Handicapped Children)

  • 배지혜;최정욱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1-114
    • /
    • 2024
  • Currently, in Korea, the number of handicapped children receiving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is expanding. In the inclusive education field, the most important tasks are personal needs support, such as toilet assistance, meal assitance, and support for wearing and taking off various assistive devic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upport work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is related to clot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universal fashion designs for handicapped children at school where inclusive education is implemented.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s,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fashion desig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established research principles. In this study, two fact-finding surveys were conducted. Next, a total of 10 universal fashion designs were proposed considering both the preceding survey results and the principles of universal fashion design Among them, the four designs that were considered most suitable were selected for universal fashion design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conducted by experts. The four selected designs were made by referring to the size framework based on the '6th Human Body Size Survey Report of Korea'. The completed experimental clothes were proposed as the final universal fashion design for handicapped children by conducting external evaluation through a virtual clothing system and real clothes.

패션디자인을 위한 AI 생성 이미지 색상 비교 연구 -미드저니의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of AI-Generated Images for Fashion Design -Focused on the Use of Midjourney)

  • 박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43-348
    • /
    • 2024
  • 오늘날 AI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은 패션 상품 광고, 맞춤형 패션 스타일 제안, 디자인 개발 등 패션 산업 분야의 세분화된 목적에 알맞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색상은 강력한 조형 요소로서 상품이나 패션 스타일 제안을 위한 이미지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AI 이미지 생성 도구 중에서 미드저니를 사용하여 생성한 의상 이미지에 나타나는 색상과 배색 관계에 중점을 두어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미드저니의 활용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드저니에서 생성한 초기의 이미지는 명령어에 지시한 색상보다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사용한 기존의 이미지 색상에 더 의존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둘째, 미드저니에서 생성된 이미지의 의상에 나타난 배색의 특징은 의상의 구조에 따라 구분되는 부위별로 다른 색상이 표현된 분리배색과 의상의 한 부위에 다른 색상들이 무늬 형태로 표현된 혼합배색이 생성된다. 분리배색에 표현된 색상들의 비율은 명령어에 지시한 색상 순서의 영향을 받는다. 혼합배색에 조합되어 나타난 색상 수는 미드저니에서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사용한 기존의 이미지 속 의상의 색상 수와 명령어에 지시한 색상 수의 총합보다 적은 수의 색상으로 조합되어 나타난다. 셋째, 미드저니는 생성하는 이미지의 배경도 색상 표현을 위한 대상으로 인식하며 이에 따른 배경색의 변화는 이미지 속의 의상에 대한 사용자의 색지각과 의상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가 패션디자인 교육과 실무에 있어 미드저니에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색상 배색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통하여 미드저니의 활용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