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인식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4초

중.고등학생의 교복 재활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utilization of Used School Uniform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신희선;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1-155
    • /
    • 2009
  • 교복 재활용 시장을 통한 교복 구매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성장기의 청소년이 경제적으로 자신의 치수에 맞는 교복을 구매하고 착용할 수 있어 의복에 관한 만족감을 높일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의 교복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8개교의 중 고등학생 741명을 대상으로 교복 구매 행동, 교복 재활용 시장에 대한 인식, 교복 재활용 시장 운영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복 만족도는 현재 자신의 치수에 맞는 교복을 착용할수록 높게 나타나므로 교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신에게 맞는 치수의 교복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이 높을수록 교복 재활용 인식이 높게 나타난다. 교복 재활용 시장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환경 교육과 재활용 행사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셋째, 재활용 교복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는 재활용 시장의 접근성과 위생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복 재활용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의복구매행동,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을 고취할 수 있는 환경교육과 재활용 행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하고, 재활용 교복 시장의 접근성과 홍보, 세탁과 수선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

  • PDF

Subjectivity study on the perception types of body shape in the pregnant wome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01-108
    • /
    • 2019
  • 본 연구는 임산부 스스로가 자신의 체형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유형화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유형별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임산부의 체형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복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Q방법론으로 이루어졌으며, QUANL pc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임산부의 체형에 대한 인식유형은 가는 팔다리 중앙 반구형 복부 체형, 처진 복부 돌출 체형, 굵은 윗팔 중앙 돌출 복부 체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체형 분석을 통해 인식체형과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여중생과 여고생의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 이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14-922
    • /
    • 2014
  • 본 연구는 여중생과 여고생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내면화, 인식), 신체이미지(외모평가, 외모지향,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여중생과 여고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청소년의 외모관리 지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하고 있는 여중생 186명, 여고생 198명이 선정되었다. 여중생과 여고생의 사회문화적 태도 중 내면화와 인식을 비교한 결과 여고생의 내면화와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중생보다 높았다. 신체이미지 중 외모평가, 외모지향 역시 여고생이 여중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체만족도는 여고생이 여중생보다 낮았다. 여고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체중관리, 의복관리, 얼굴관리 모두 다 여중생보다 관리를 더 하고 있었다. 여중생의 외모관리행동을 회귀분석 한 결과 40.5% 설명하였고,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와 인식, 신체이미지 중 외모지향이었다. 여고생은 외모관리행동을 20.1% 설명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체이미지인 외모평가, 외모지향, 신체만족도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춘기 여학생을 위한 외모와 관련된 교육이나 상담 시 여중생과 여고생에 따라 다른 접근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 조하경;이주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체형인식과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 및 신체이미지가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matotype, Self-Esteem, Body Satisfaction and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 Focused o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 정수진;추미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7-13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body satisfaction, body image and clothing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and somatotype. Also the paths for the clothing attitude affected by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210 male and 180 female college students. Body image is categorized as three factors, 'interest in appearance', 'concern about weight', and 'satisfaction in appearance'. And clothing attitude is categorized as five factors, 'fashionability', 'status symbolism', 'modesty', 'conformity', and 'manageability'.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y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and concern about weight than male students. Thin somatotype showed high self-esteem interest in appearance, and fashionability. Fashionability was indirectly affected by gender, somatotype,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and was directly affected in the cases of high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appearance. Status symbolism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cases of female students and high interest in appearance. Modes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cases of female students and low satisfaction in appearance. Conform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cases of high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ability was indirectly affected by gender, somatotype and self-esteem, and was directly affected in the cases of low interest in appearance.

  • PDF

남녀 대학생의 VMD 의식성이 VMD 구성요소의 중요성 인식과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MD Consciousness on Importance of VMD Component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 이미숙;송경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21-73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MD consciousness on importance of VMD component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was survey and subjects were 545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measuring instruments; VMD consciousness, importance of VMD component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attribu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X^2$ test, t-test,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had high VMD consciousness and attended to fashion trend, brand image, product information, and enjoyment of shopping, and felt appetite to purchase. Second, university students considered store arrangement and show window display as the important VMD components to purchase clothing. Third, university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3 consumer types(shopping/brand pursuit type, utilitarian information pursuit type, and trend/information pursuit type) by VMD consciousness. Forth, the consumer types by VMD consciousness showed many differences in importance of VMD component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Shopping/brand type considered show window display, cleanness and lighting/music/properties/color as more important VMD components, and used more money to purchase clothing and shopped more often than other consumer types.

Development of A Uniform And Casual Clothing Recognition System For Patient Care In Nursing Hospitals

  • Yun, Ye-Chan;Kwak, Young-T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45-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인안전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인물이 노인(환자복) 그룹인지 실무자(평상복) 그룹인지를 CCTV에 나타나는 의복을 기준으로 구별하는 것이다. Web Crawling기법과 요양병원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Image Generator와 Labeling으로 모델 학습 데이터를 만들었다. CCTV의 제한된 성능 때문에 높은 정확도와 속도를 모두 갖춘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므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ResNet 모델, 속도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YOLO3 모델을 각각 구현했다. 그리고 요양병원이 자신의 실정에 맞는 모델을 고를 수 있게 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환자복과 평상복을 적절한 정확도로 구별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실제 사용처에서 노인들이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요양병원 안전사고 감소에 이바지 할 것으로 평가된다.

소비가치와 의복구매전 의사결정과의 관계 (Relating Consumption Values to Pre-purchase Decision Making of Apparels)

  • 한희정;김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53-86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onsumption value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when purchasing apparel products among groups divided by consumption valu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50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from Sepember 29th to October 25th in 2001; 463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nsumption value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Practical/functional value, Social/conformitive value, Subjective/aesthetic value, Epistemic value and Conspicuous valu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consumption values: the Conspicuous, the Epistemic, the Social/conformitive and the Indiffer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selected motives in the problem recognition proc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groups in own taste & personality in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Significant difference were also found in the importance of design, color, price, coordination, fashion and self-image in the alternative evaluation process.

스마트 등산복에 대한 구매의도와 영향요인 분석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for Smart Mountaineering Garments :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박재민;이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261-275
    • /
    • 2012
  • 최근 등산객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등산복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의 스마트 등산복이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 등산복은 기존 등산복이 제공하는 착용감이나 소재적 특성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래 등산복 시장에서 주요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 스마트 등산복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61세의 등산 경험이 있는 남녀 641명을 온라인 설문조사하였다. 또 기존 TAM 연구에서 제시된 선행변인 외에 유행관여를 추가하고, 기술혁신성에 보건성이나 기계적 기능을 고려하여 확장된 TAM모형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의복관여는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유행관여는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모두에 영향을 주었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은 구매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등산복이 첨단제품으로서 고객의 자기효능감과 유행관여에 결합되어야 하고, 동시에 의복의 일종이라는 전통적인 이미지를 탈피할 때 스마트 등산복의 기능성과 유용성이 소비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ㅂ'자 자수형 도전사 UHF RFID 태그 안테나 (Embroidery 'ㅂ' Character Type UHF RFID Tag Antenna Design)

  • 정유정;김연호;이경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071-10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도전사를 이용하여 UHF 대역에서 동작하는 'ㅂ'자 자수 형태의 wearable RFID tag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T-정합 형태를 가지는 'ㅂ'자의 자수형 tag 안테나를 다양한 도전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기적 성질이 좋은 200D(데니아)의 도전사로 자수 형태로 의복에 직접 자수를 넣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의류 위에 전도성을 가진 도전사를 이용한 태그를 자수해서 넣음으로 해서 의류의 착용할 수 있고 구부러질 수 있으면서 인식이 가능하게 하였다. 도전사의 데니아(denier)별로 제작 가능한 실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기반으로 자수 형태의 RFID 태그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안테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반사 손실, 인식 거리 패턴 등을 측정하여 약 1.52 m의 인식 거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