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외관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09초

장애인을 위한 의복디자인(제2보) -휠체어 및 목발 사용자를 증심으로- (Clothing for the Handicapped(Part II) - Wheelchair & Crutch Users -)

  • Hong, Sung-Soon;Seok, Hye-Jung;Kim, You-Mi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91-1800
    • /
    • 2001
  •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움직이기 편하면서 외관이 보기 좋은 기능성 의복을 제작하는데 있다. 휠체어, 크러치를 사용하는 여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쟈켓, 바지, 휠체어 랩을 제작하여 외관상 기성복과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휠체어사용자 쟈켓은 어깨와 팔의 동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뒤 bodice 소매둘레부위에 artion pleats를 주었으며 팔꿈치 부위에 주름으로 처리하여 당김과 움직임을 수월하게 하였다. 바지는 허리선 위치를 수정하고 굽혀져 있는 무릎부위에 앞은 주름, 뒤는 다아트로 처리하였다. 둘째, 크러치 사용자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올라간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쟈켓 길이를 길게 하고 쟈켓 위에 조끼를 덧입은 것처럼 보이게 하였다. 바지의 허리선은 고무벨트를 달았으며 양쪽 옆트임을 하여 지퍼를 달았다. 셋째, 휠체어 랩은 방수와 방한을 대비하여 만든 옷으로 전체적인 외관이 롱 원피스 형이며 발부위에 사각형 발판을 만들어 바람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고, 양쪽 옆 지퍼를 사용하여 여밈 처리하였다.

  • PDF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 Lee, Sun-Jae;Kim, Eun-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a Bodice Prototype Drafting Method for 20s Obesity Males using 3D Simulatio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95-107
    • /
    • 2022
  • 본 연구는 표준체형과 구별되는 BMI 25kg/m2 이상 비만 체형을 가진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비만 남성의 체간부에 적합한 보디스 원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비만 남성의 상의 의류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대 비만 남성 보디스 원형에 대한 1차 외관 및 의복압평가를 통해 앞몸판 어깨선, 앞처짐분 등의 패턴을 수정하였다. 2차 외관 및 의복압 평가를 통해 뒤진동둘레, 뒤허리선, 앞처짐분의 추가 등의 수정을 실시하였다. 3차 외관 및 의복압 평가를 통해서는 2차 평가를 통해 추가하였던 앞처짐분을 제거하여 최종 패턴 제도법을 개발하였다. 20대 비만 남성체형의 경우 복부의 돌출 및 자세 등으로 앞뒤허리선 설정, 뒤진동다트, 앞어깨선 설정 방법에 있어 표준체형과 구별되는 제도법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20대 비만 남성의 체형에 적합한 보디스 원형제도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착의실험과 20대 비만 남성 상의에 적용시켜 의복 패턴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감성 의류제조를 위한 3-D 입체 트리밍 시스템 (A 3-D trimming system for bias-cut apparels)

  • 김주용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22
    • /
    • 2003
  • 경사의 사선방향으로 절단하여 봉제된 바이어 컷 직물로 제조된 의류는 일반 의류와 달리 우아한 외관을 타나낸다. 이 직물의 단점은 형태안정성이 나빠서 완전제품의 형태가 패턴의 형의 형태와 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밑단 부분이 불균일하게 쳐지므로, 가지런히 절단하는 트리밍공정을 부가적으로 거치게 된다. 현재의 봉제 공정에서는 트리밍 단계를 모두 숙련공들의 수작업에 의존한 평면 커팅 방법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에 따라 불량품이 양산되고 그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 요인도 높아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치수 조절 마네킹을 제조하여 실제 의복 착용 상태를 그대로 재현 한 후, 회전시키면서 스스로 회전하는 자동 커터에 의해서 공간상에서 트리밍 하는 3-D 입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된 의류는 트리밍 라인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안감이 밖으로 밀려나오는 경우가 없어 외관상 품위가 있는 외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작업에 비하여 제조 속도가 훨씬 빠르므로 봉제 후공정에서의 의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신속 생산 시스템의 요소로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 PDF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재킷의 개발 및 평가 - 미국 여성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mart Jacket for the Elderly -Focused on American Women-)

  • 백경자;수잔 애쉬다운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5-3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외관에서는 기성복의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부여한 노년 여성을 위한 스마트 재킷을 개발하였다.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시력은 약화되며 효과적인 체온조절도 저하된다. 이에 열과 빛의 기능을 제공하는 연구재킷을 제작하고 노년층 소비자들의 평가를 실시하여 그 수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킷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전문가 외관 평가 및 소비자 착용 평가로 실시되었으며 재킷의 피트성, 활동성, 디바이스의 기능성, 수용 가능성 여부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노년층에서도 충분히 미적요소와 기능성이 결합된 스마트 의류가 일상복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스마트 의류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디바이스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가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의복의 가능성과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A Comparison Study of New Hanbok Brand Skirt Pattern for Developing of Customizing System

  • Cha, Su-Joung;An, Myung-Sook;Heo, Seung-Yeun;Ra, Joung-Hei;Jeon, Woong-Ry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83-19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신한복 치마 패턴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신한복 브랜드의 치마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한복 6개 브랜드의 패턴을 분석하여 가상착의를 시킨 후 외관평가와 의복압 및 공극량을 평가하였다. 시판 신한복 브랜드 A, B, C, D, E, F의 허리치마 패턴을 분석한 결과, 같은 디자인의 free 사이즈 치마임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치수로 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치마의 패턴은 기존의 한복과 같이 평면적인 패턴으로 구성되었다. 외관평가 결과 앞면, 옆면, 뒷면 모든 평가항목에서 6개 브랜드의 패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외관평가 모든 항목에서 B 브랜드의 허리치마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의복압을 알아보기 위해 색분포도와 공극량을 살펴본 결과, 허리에 둘러서 착용하는 허리치마의 특성상 대부분의 부위에서 공극량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의복압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한복 활성화에 따른 치수 및 패턴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며, B브랜드 패턴을 기본으로 한 통일된 패턴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 : 직물 텍스쳐 매핑 (2D Image-based Virtual Wearing System : Textile Texture Mapping)

  • 오영걸;곽노윤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 /
    • pp.21-26
    • /
    • 2006
  • 본 논문은 가상 착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2D의류 모델 영상에서 의류 형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의류 형상 영역의 음영 및 조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는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의 직물 텍스쳐 매핑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작업을 최대한 제거한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실제 의복을 제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직물 원단의 디자인이 의복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에 따라 직물 디자이너의 창작활동을 도와줄 수 있고, 온라인상에서 직물 원단이나 의류를 거래할 시에 구매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B2B 또는 B2C 전자상거래 행위를 촉진할 수 있다. 더불어 기성복이나 맞춤복 모두에 대해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어울리는 직물 패턴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디자인하여 주문제작을 수행하는 거래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 PDF

직물의 역학적 특성으로부터 셔츠의 의복형성성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Clothing formability of Men's Shirts from Mechanical Properties)

  • 권오경;권헌선;장수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223-232
    • /
    • 2001
  • This study, by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properties and clothing formability, aims to propose functional data for tailoring performance of fabrics of good tailorability. The KES-FB system was used to measure factors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also the technique of stepwise-block-regression method was appli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n's shirks. As results of vasual inspection of men's shirts, it showed that good fabrics had higher value in the LT, bending properties, shear properties and RC than poor fabrics in Total Appearance Value(TAV). And finally, A formula was obtained for calculating the VIA of men's shirts from functional properties which were calculated from the mechanical properties.

  • PDF

안구운동 분석을 통한 의복의 시각적 평가의 객관화 (Methodology Development of Clothing Appearance by Eye Movement Analysis)

  • 박혜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92-1000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objective evaluation of clothing appearance by eye movement analysis. The visual clothing items used in this study were skirt, one-piece, pants and shirt with the style variation of silhouette and details. By observing eye movement during visual evaluation of clothing, we can achieve the basic fixation data of eye movement. Moreover, we developed the Matlab program to extract the fixation coordinate and number of eye fixation on each part of the clothing item. A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fixation time for each item and the fixation time was not different by styles within a clothing item. However, we could find differences in the fixation time within a style, in other words, we could select the important parts of the clothing by observing the fixation time in a certain clothing item. It is also noted that time required i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iffers depending on the item, and there was a region which contain more information independent with styles in the same item. By developing the objective method of visual evaluation that correspond to human's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ed in the retrieval program in internet shopping mall or in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advertisement of clothing.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 조현이;이주현;이충근;이명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