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가격차원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onsumer's Perception of Clothing Price (Part I) - Testing the Validity of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 (의복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격 (제1보) -의복가격 차원의 타당성 검증-)

  • 진병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3
    • /
    • pp.417-427
    • /
    • 1998
  • Price, one of the marketing 4p's, is a key decision variable affecting market share and the profitability of individual products. For consumers, since price is almost always known to and can be compared,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when they make a purchase decision making. With the consumers' increasing consciousness for price due to economic recession, and the saturation of domestic apparel market,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price on consumers' decision making would be greater than ever. This study, the first in two part series, focuses on testing the validity of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using Lichtenstein et. at. (1993)'s sugges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perception of each price dimension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64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Lisr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supported Lichtenstein et. al. (1993)'s suggestion. That is, consumers' perception of clothing price is not mini-dimensional, but has six dimensions: sale proneness, price mavenism, value consciousness, price consciousness, price -quality schema and prestige sensitivity. Demographic variables partially effect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f each clothing price dimension. The level of monthly pocket money, however, has influence on all price dimensions. Based on these results, marketing implications for apparel manufacturers were suggested.

  • PDF

The Study on Social Class and Conspicious Consumption Related to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사회계층과 과시적 소비 및 의복가격차원에 관한 연구 - 여대생을 중심으로 -)

  • 김수경;류은정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9 no.1
    • /
    • pp.169-178
    • /
    • 2001
  • In this study, we examined relationship among social class, conspicious consumption,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The data were obtained by 290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 of four parts,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conspicious consumption, clothing buying behavior, demographic factors. And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x^2$-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lass and their attitude on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Upper class consumers evaluate clothing price as Quality and dignity, on the other hand, lower class consumers perceived it as tendency for discount. Second, clothing selective standards was found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social class. Clothing symbolic factor was more important to the upper class then lower class. Third, upper class consumers had a tendency of purchasing more clothes than lower class, and spend more money on clothing.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picious consumption group and their attitude on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Fifth, when conspicious consumption tendency is higher, importance of clothing price is highl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 Sixth, Amount of clothing purchase and clothing expendi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spicious consumption group. Consumers tend to buy more clothes and spend more money on clothes when they had high tendency in conspicious consumption.

  • PDF

Consumers' Perception of Clothing Price(Part ll) -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Knowledge on the Perceptions of Each Dimension of Clothing Price (의복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격 (제2보) 제품관여와 소비자 지식이 의복가격의 각 차원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진병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5
    • /
    • pp.628-638
    • /
    • 1998
  • This study, the second in two part series, focuses on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knowledge on consumers' perceptions of six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price -quality schema, prestige sensitivity: sale proneness, price mavenism, value consciousness, and price consciousness. Additionally, correlation between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knowledge was examined. Multi-item measures of six dimensions of price,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knowledge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264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PC. In addition,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obtain qualitative data for the result interpreta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consumers' product involvement significantly affects consumers' perceptions of each price dimension except price consciousness dimension. Consumers' knowledge about cloth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erceptions of all price dimensions. Dimensions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knowledge were partially correlated. Marketing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 PDF

The Differences of Consumer Perception toward the Components of Apparel Store (의류점포 구성요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의 차이)

  • 김관일;김미영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6 no.1
    • /
    • pp.1-21
    • /
    • 2001
  • This study introduced the components of apparel store, which include product and service factor to reflect the modified conception of servi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the components of apparel store and to examine consumers' rating of importance on the components of apparel store.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lothing involvement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importance perception.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from young adult females in their twen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five dimensions of service factor: environmental service, salesperson service, attitude and policy service related to exchange and refund, policy service related to promotion, and policy service related to convenience. Factors related to product were identified price, quality, variety, fashion, design and brand. Attitude and policy service related to exchange and refun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nsumer perceived. Salesperson service and product quality were the second important factors. The relatively important factor in each service dimension was this : display in the environmental service, the ability of salesperson to resolve customer's complaints in the salesperson service, sales person’s courtesy in managing exchange or refund in policy service. Clothing involvement and demographic variables do affect consumers’perception on importance.

  • PDF

웹디자인 개발전략 수립을 위한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Go, Eun-Ju;Mok, Bo-Gy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111-131
    • /
    • 1999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시이트의 웹디지인 구성형식에 띠른 소비자의 쇼핑 프로세스의 차이점을 밝히고,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와 그 차원을 규명하고, 인터넷 편의성, 만족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조사법과 관찰법을 이용히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로, 남여 대학생 101명을 편의추출히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paired t-test,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인터넷사용과 인터넷 쇼핑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으며, 인터넷 정보의 질은 소비자들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정보 제공 시 사진과 설명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상품 홈페이지 구성의 중요도 중 속도와 정보의 질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 프로세스의 관찰 결과 처음 쇼핑을 시도할 경우 인석하기 쉬운 기능키나 단어로 된 메뉴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쇼핑 과정은 대부분 10번의 클릭으로 이루어졌고, 쇼핑과정 동안 쇼핑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마음에 들지 않거나 선호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 쇼핑을 중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매장구성은 텍스트보다는 그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 만족요소 중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되는 것'과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상품의 구색이나 가격, 유통업자 및 상품의 신뢰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만족/불만족 요인으로는 주문처리의 정확성/다양성, 인터넷 쇼핑의 편의성, 상품의 다양성/신뢰성, 주문 방법의 편의/경제성, 쇼핑 방법의 용이성의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편의성은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넷 쇼핑의 만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품의 다양성/신뢰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은 전형적인 의복구매행동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더 많은 정보와 서비스롤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보지 못하고 구매해야 한다는 데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많이 나타내고 쇼핑 시 즐거움에 대한 중요도도 높게 나타났다.

  • PD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lor selecting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binogi, the on-line game (마비노기에서의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Jang, You-Won;Doh, Young-Yi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51-655
    • /
    • 2007
  • 카툰 렌더링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RPG 게임인 마비노기에서는 게임이용자들이 염색 시스템을 통하여 의복아이템에 자신들이 원하는 색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색에 관련된 주목할 만한 현상은유행색이 존재하고 색에 따라 같은 아이템의 가격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유행색이 존재하는 것은 현실과 비슷하지만 같은 아이템이 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현실에서는 보기 드물다. 이는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심리적인 속성이 다른 사이버공간만의 특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마비노기에서 게임이용자들이 색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작용하는 심리기제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비노기에서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게임이용자 20명과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색 사용 경험을 추출하고, 추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18문항의 색 선택 행동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온라인 설문으로 129명의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색 선택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색 선택 행동은 4개의 요인-색채 둔감성, 유행추종, 개성표현, 캐릭터이미지와의 적합성-으로 구분되었다. 색선택 행동 4개의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색 선택 행동 유형은 각각 색 분화형, 유행추종형, 색 둔감형으로 구분되었다.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 하위 범주 중 부정적인 자기평가, 타인의 의견에 대한 걱정, 의존성의 세 가지 하위 범주에서 색 선택 행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의식 차원에서는 색 선택 행동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행추종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색 둔감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 존중감 수준이 높았다. 색 분화형은 유행추종형과 색 둔감형의 중간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볼 수 있었다. 유행추종형은 자기의 외부에서, 색 둔감형은 자기의 내부에서 색과 관련된 자신에 대한 가치감의 소재와 근원을 찾는 특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RPG 게임에서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 색 선택 유형별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추후에는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 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색이미지와 개별적인 색이미지 및 색이미지의 심리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색채감성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제작할 때 캐릭터 디자인과 아이템 디자인에 어떠한 색을 사용해야 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