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미작업

검색결과 1,140건 처리시간 0.023초

Kane: 의미정보 말뭉치 구축 도구 (Kane: Knowledge Annotation Tool for Semantic Information)

  • 배원식;차정원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9년도 제2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21-1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의미정보 말뭉치 구축 도구인 Kane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소 분석기나 구문 분석기, 개체명 인식기 등 자연어처리를 위한 기본이 되는 시스템에는 말뭉치가 필요하며, 말뭉치의 구축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일반적으로 말뭉치 구축 작업은 전용 구축 도구가 없이 문서 편집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말뭉치 구축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자연스럽게 구축되는 말뭉치의 품질도 낮아진다. 문서 편집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는 키보드를 이용한 기계적인 작업이 반복된다는 것이며, 키보드 입력에 따른 오타 문제 또한 발생한다. Kane에서는 기계적인 작업 및 키보드 입력을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소화하였으며, 마우스 조작으로도 쉽게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전을 이용한 이전 작업 내용 참조 기능을 지원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일관성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PDF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 작업 (Korean Semantic Tagged Corpus Construction working)

  • 이민지;이윤정;이정국;김종대;박찬영;송혜정;김유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9-103
    • /
    • 2012
  • 의미 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은 문장 내의 술어-논항 요소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가 필요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이 데이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Proposition Bank(이하 PropBank) 말뭉치와 세종 용언 격틀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 표지 부착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표지 부착 작업은 말뭉치의 의존 관계를 사람이 파악하여 적절한 의미 역 태그를 다는 과정이고, 이 과정으로부터 얻은 말뭉치는 의미 역 결정을 위한 기계 학습 방법론의 훈련 자료로 이용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구문 표지 부착 밀뭉치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구문표지 부착 말뭉치를, 그리고 언어자원으로는 한국어 PropBank의 frame file과 세종 용언 격틀 사전을 사용한다.

  • PDF

술어와 조사 정보를 이용한 논항의 의미역 변환 (Semantic Role Transformation of Arguments using Predicate and Josa Information)

  • 서민정;석미란;김유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4년도 제26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1-55
    • /
    • 2014
  • 의미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 은 문장 내의 술어와 이들의 논항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한다. 의미역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말뭉치와 다양한 언어 자원이 필요한데, 많은 경우에 PropBank 말뭉치가 사용된다. 한국어 PropBank는 다른 언어에 비해 자료가 적어 그것만을 가지고 의미역 결정을 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또한 한국어 의미 분석을 위해서 지금까지는 세종 말뭉치나 의미역이 활용되어 오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서는 한국어 PropBank 뿐만 아닌 세종 의미역 표지 부착 말뭉치의 구축 역시 요구되는데 말뭉치 구축 작업이 수동 부착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구축되어 있는 한국어 PropBank 의미역을 세종 의미역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동 변환을 위해서는 먼저 PropBank 의미역의 변환 후보 의미역을 구하여 이들 중에서 가장 적절한 의미역으로 변환한다. 자동 변환을 위해서는 크게 3 가지 특징을 활용하는데, 첫째는 변환 대상 논항의 의미 유사성이고, 둘째는 논항과 의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술어, 그리고 셋째는 논항과 결합되어 있는 조사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을 사용하여 정확한 의미역 변환을 위해 술어, 조사의 의미역 결합 확률 테이블을 구축한다.

  • PDF

Biaffine Average Attention 모델을 이용한 의미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Biaffine Average Attention Model)

  • 남충현;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662-667
    • /
    • 2022
  • 의미역 결정 작업은 서술어와 문장 내 행위자, 피행위자, 장소, 시간 등 서술어와 관련 있는 논항들을 추출하는 작업이다. 기존 의미역 결정 방법은 문장의 언어학적 특징 추출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데, 파이프라인 내 각 추출 작업들의 오류가 의미역 결정 작업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재는 End-to-End 방법의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역 결정 작업을 위해 Biaffine Average Attention 구조를 이용한 신경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특정 시점에 대한 레이블 예측을 위해 주변 시점 정보를 이용하는 LSTM 모델 대신 문장 내 서술어와 논항의 거리에 상관없이 문장 전체 정보에 집중할 수 있는 Biaffine Average Attention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F1 점수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BERT 기반의 모델들과 비교하였으며, 76.21%의 성능으로 비교 모델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레벨 기반의 유사도 계산을 이용한 PropBank 의미역과 Sejong 의미역 간의 자동 변환 (Automatic Transformation of Semantic Roles between PropBank and Sejong using Similarity Estimation based on Tree Level)

  • 윤영신;석미란;김유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4년도 제26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21-224
    • /
    • 2014
  • 의미 표지 부착 작업은 구문 표지 부착된 문장의 술어-논항 구조를 파악하여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 작업을 통하여 생성되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는 의미역 결정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원이 된다.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로는 세계적으로 PropBank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한국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PropBank 의미역과 Sejong 의미역 간의 자동 변환이 필요하다. 이전에 제안되었던 이종 의미역 간의 자동변환 방법에서는 명사 계층의 구조 정보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명사 계층구조를 반영하여 한국어 PropBank 의미역을 Sejong 의미역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PropBank와 Sejong의 맵핑관계 중에서 1:N으로 맵핑되는 PropBank 의미역을 기준으로 명사 계층구조에서 변환 대상 의미역을 가지고 있는 단어와 변환 후보 의미역을 가진 단어들의 개념번호를 뽑아 두 단어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레벨 당 가중치를 주어 유사도 계산을 하여 유사도가 적은 값으로 의미역을 자동 변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0.8의 성능을 보인다.

  • PDF

의미네트워크를 이용한 단어의미의 모호성 해결방법 (A Word Sense Disambiguation Method with a Semantic Network)

  • 나동렬
    • 인지과학
    • /
    • 제3권2호
    • /
    • pp.225-248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의미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지식베이스를 이용하여 단어 의미의 모호성을 해소하는 방법들을 소개 한다. 기본이 되는 방법은 입력문자의 의미해석이 진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지식베이스내의 경로(path)들을 추적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로들을 의미경로(semantic path)라고 부른다. 파싱과정에서 한 단어가 입력되면 이단어가 가질수 있는 의미 중에서 어느 의미 경로에도 이용되지 않은 것들이 제거된다. 각 제거는 의미 경로들을 통하여 전파되어 이미 입력된 다른 단어들의 의미의 제거를 유발한다. 이 박업은 더이상 제거되는 의미가 없을때 까지 반복 진행된느데 이를 recursive word sense removal 작업이라 부른다. 추상적인 개념의 구체화(conctetion) 작업도 단어 의미 모호성해소의 중요한 방법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경로조절작업(path adjustment operation)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이용하여 확장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의미사이의 연과성(semantic association)이나 구문분석으로부터의 정보를 위의 방법들과 관련지어 이용하는 방법도 살펴본다.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Parents Consultation Experiences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 박주영;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6-59
    • /
    • 2021
  • 목적 :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에 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여 추후 부모상담 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임상경력 8년 이상으로 사설센터에서 근무하는 아동작업치료사 6명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으며, 추가적인 내용 확인은 이메일로 받았다. 녹음된 내용은 전사 뒤 분석하여,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였다. 결과 :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화, 4개 주제모음, 2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2개의 범주화에는 부모상담의 중요성과 부모상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었고, 4개의 주제모음에는 부모상담의 의미, 부모-아동-치료사 간의 상호성, 치료사의 노력, 필요한 역량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초임 아동작업치료사에 의미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언어의 공동작업 속성 (Collaborative Attributes of a Visual Language)

  • 김경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71-17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공동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시각언어를 제안하고 생성되는 시각문장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속성과 컴파일 방법을 설명한다. 생성되는 시각문장은 객체 아이콘과 연산자로 구성되며, 각각은 공동작업 참여자와 참여자간 상호작용 시점에 따른 공동작업 관계를 의미한다. 생성되는 시각 문장은 객체 아이콘과 연산자의 결합 관계에 따라 다양한 공동작업을 지원한다. 또한, 동기 및 비동기 공동작업을 함께 표현함으로써 기존 공동작업을 위한 시각언어보다 효율적으로 공동작업을 지원한다.

  • PDF

IETF에서의 인터넷 보안기술 표준화 추세와 동향

  • 이광수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1-41
    • /
    • 2001
  • 인터넷 보안기술 관련 프로토콜의 제정과 표준화 작업의 거의 대부분은 IETF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여기서는 IETF의 조직 구성과 작업 방식, 문서 발간 절차 등을 알아보고, IETF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보안기술과 분야와 그 작업 동향을 조사·분석한다. 그리고, IETF의 전반적인 작업에서 보안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며, 향후 인터넷 보안의 발전 방향을 가늠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