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지리학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의료지리학: 개념적 역사와 역사적 전망 (Medical Geography: Its Conceptual History and Historical Vision)

  • 이종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18-238
    • /
    • 2013
  • 한국 지리학계에서 보건의료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양상에 비추어 볼 때, 의료지리학이 개념적으로 어떻게 발달해왔는지에 대한 역사적인 인식이 요청된다. 이 글의 목적은 의료지리학의 개념적 역사를 탐구하고 향후 의료지리학의 역사적 전망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근대 의료지리학은 유럽이 열대 식민지를 통치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되었던 열대 질병을 통제하는 과정에서 의료지형학의 이름으로 형성되었다. 영국에서는 환경위생 개혁의 명분으로, 프랑스에서는 문명화 사명의 구호 아래, 독일에서는 지리의학의 개념으로 각각 발달해왔던 의료지리학은 20세기에 크게 질병 생태학과 의료체계의 두 가지 흐름으로 발달되었다. 본 논문은 질병의 지도에 함축된 권력의 의미를 강조하면서, 의료지리학, 보건지리학, 건강지리학의 공통 지점과 서로 다른 지향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네팔 보건의료 정책의 현황과 과제 - 전문 의료 인력의 지리적 분포와 의료서비스 접근성의 관점에서 -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Public Health Policies in Nepal - Focus on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Health Workforce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 부혜진;김영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3-21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네팔 정부의 다양한 보건의료 프로그램 및 제도, 예산편성과 보건의료 시설의 설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무상의료 정책을 포함한 의료 정책과 정책 시행에 있어서의 시사를 얻고, 특히 농촌지역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개선을 위한 방향 제시이다. 네팔의 보건의료 정책은 1차 보건의료 서비스 확충을 통한 인구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질뿐만이 아니라 서비스 접근성에서도 개선이 시급하다.

  • PDF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Service Users and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 양호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
    • /
    • 2018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이용이 공간적으로 일치하는지를 파악하여 국내 의료전달체계의 공간적 효율성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DB를 이용하여 의료기관 특성, 이용자 특성, 이용 특성에 따라 거주 시도 내외의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데에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부분 거주 시도 내의 의료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2002년에 비해 2013년 거주 시도 내 이용 비율이 소폭 증가하였고 요양기간은 줄어들었으며 보장 정도는 높아졌다. 거주 시도 내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보다 외부 의료기관 이용하는 경우 상급기관 이용 비율과 고소득분위의 비중이 컸고 요양기간이 더 길었으며 보장 정도는 낮았다. 요양병원의 증가와 함께 초고연령층의 거주 지역 외부 기관 이용 비율이 줄어들었고, 거주 시도 외부 기관을 이용할 때 찾는 전문과목의 비중이 달라졌음을 밝혔다.

2SFCA를 활용한 노인과 소아청소년에 대한 병원 접근성 분석: 강원도 춘천시를 사례로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Hospitals for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Elderly Population Using 2SFCA: A Case Study of Chuncheon-si, Gangwon-do)

  • 정난주;강전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49-61
    • /
    • 2024
  •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 감소와 더불어 수도권 집중 현상과 지역개발정책의 불균형으로 인한 지방 소멸이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구 피라미드의 형태가 급변하는 데에 반해 주민의 생활이나 도시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물리적 요소인 기반 시설은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국민의 생활 편익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지역적으로 유연한 대처와 시설 활용 계획이 요구된다. 사회적 약자인 노인과 소아청소년의 의료 공급 부족 문제는 인구 고령화, 저출산과 맞물려 국가 사회적 차원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인구감소 지역 중 하나인 강원도의 의료 서비스 공급의 거점이 될 잠재력이 있는 춘천시 내 의료 접근성과 그 격차를 분석하고 의료취약지역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의 의료 공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2SFCA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2SFCA는 수요량과 공급량을 위치로서 반영한다는 점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공간 접근성을 파악하는 의료연구에 적합하므로 병원의 추가적 배치를 결정하는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2SFCA 결과로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을 판단할 수 있는 이변량 LISA 분석(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을 통해 환자 수요와 병원 및 전문의 공급을 고려한 춘천시 의료취약지도를 도출하였다. 공간적 불평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종적으로는 로렌츠 곡선에 기초한 춘천시 의료 접근성에 대해 지니계수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와 의료 취약지 선정에 기반하여 춘천 지역에서 공간 입지 접근성을 고려한 노인과 소아청소년에 대한 병원 추가 신설의 구체적 위치와 전문의 추가 배치 지역을 모색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제주지역 내 의료관광 기초 조사를 통한 추진 모형 수립 (A Model Building and Fundamental Research of Health Tourism in Jeju Region)

  • 김민철;문성종;부창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2-393
    • /
    • 2008
  •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관광산업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광산업 내 새로운 대안으로서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분야는 의료산업과 연계한 관광 개발이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의료관광을 전략산업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국내 외 사례들을 조사하고, 제주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의료관광에 대한 기초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가의 의견 수집을 통해 가장 적합한 제주형 의료관광의 추진모델을 수립하였다.

  • PDF

수도권 노인 주거.의료 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 생활의 공간적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 송경언;박삼옥;김상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417
    • /
    • 2008
  • 한국 사회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힘든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는 공간적 변화가 수반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와 노인 생활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입지와 그 이용자의 생활은 노인의 이동성뿐만 아니라 서울로부터의 거리, 거주환경 등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와 노인의 이동성이고, 이차적으로는 가족 거주지의 위치이다. 따라서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가 대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PDF

원주의료기기 클러스터 혁신역량 제고방안 (A Method for Increasing the Promotion of Wonju Cluster)

  • 이우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28-441
    • /
    • 2008
  • 원주클러스터의 역량 제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원주의료기기의 산업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설문과 심층면접으로 기업일반현황 및 입지요인, 경영환경, 기업경쟁력, 기업지원제도 등을 조사하였다. 원주클러스터는 '07말 기준 40만 평방미터의 부지에 79개 의료기기 제조업체가 입주하여 연구개발 및 생산중이며 시장점유율은 전국 의료기기 생산액의 9%, 수출액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원주클러스터 업체들의 혁신역량이 보완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지리적 집적, 의료기기 및 전후방 업체육성 및 유치, 고급인력공급, 기술개발지원, 기술 및 정보획득 지원, 주거 교육 등 기반시설 보완, 체계적인 창업보육 시스템구축, 자금조달지원, 마케팅 지원과 경영자의 자질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응급의료기관의 공간분포와 응급의료 서비스 수급의 공간적 격차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nd Spatial Disparity of the Demand-Supply Level fo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 이희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06-623
    • /
    • 2004
  • 응급의료 서비스는 국가가 형평성있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 공공성이 놀은 영역이라고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응급의료기관은 매우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력, 장비, 시설 면에서도 지역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된 연구에서는 응급의료 서비스의 수급 현황을 공간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여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잠재적 수요 표면도와 공급 표면도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응급의료 서비스 수요 표면도와 공급 표면도를 연산 기능을 이용하여 응급의료 서비스의 수급 표면도를 생성하였다. 그 결과 응급의료 서비스의 공간적 격차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수요력이 공급력보다 크게 나타난 지역은 응급의료센터의 추가 지정이 잠재적으로 요구되며, 수요력이 공급력보다 작게 나타난 지역은 응급의료 서비스의 과잉 공급으로 인해 병원운영의 어려움을 잠재적으로 안고 있다고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바람직한 응급의료 서비스의 제공과 적정 수준의 진료권의 범위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The Medicare Service Facility Location Problem)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1-84
    • /
    • 1998
  •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함께 경제.사회 정치적 상황과 의료제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의료서비스시설의 입지문제는 그 수요와 공급의 공간작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료서비스시설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토대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시설의 입지적 특성과 의료서비스의 공간배열의 원리를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특히 다른 서비스 시설의 입지문제와는 차별화 되는 입지결정 및 운영의 이원성과, 기능과 규모에 따라 입지원리가 다르게 작용하는 계층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역 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의료기관의 적절한 공간적 배분계획모형 수립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료서비스시설의 바람직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계획에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정 3SFCA 모형을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 분석: 충청남도를 사례로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Emergence Medical Services with a Modified Three-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odel : A Case Study of the Chungnam Province)

  • 박정환;우현지;김영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88-402
    • /
    • 2017
  • 본 연구는 중력모델 기반의 접근도 분석 모델을 수정 보완하여 연령별 응급의료 서비스의 접근도를 분석한 내용이다. 보건의료 접근도 분석에 적용되고 있는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2SFCA) 모델을 보완하여 임계거리 차별화, 거리조락 반영, 연령별 응급의료 이용가중치, 관내 응급의료기관 선택가중치 등을 반영하였다. 개선된 접근도 모델(Modified Three-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odel, M3SFCA)을 통해 충청남도 응급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소년층, 청장년층, 노년층 모두 응급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접근성이 높고, 임계거리가 중첩되는 지역에서 접근성이 높았다. 둘째, 시군 연령별 공간적 접근성은 연령대별로 지역차가 뚜렷하며, 전반적으로 북부지역이 남부지역보다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로 접근성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연령별 임계거리, 응급의료기관 이용비중, 관내 기관 이용비중이 각각 다르며, 연령별 총 인구수의 차이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응급의료 접근도 모델 개선을 통해 이론적 연구를 통한 실제 현장의 활용성의 가능성과 잠재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및 응급의료 관련 정책 개발 및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