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시설유형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U-City Service Taxonomy and Define for Construction of U-City Management Center (U-City 통합운영센터 구축을 위한 서비스 분류 및 정의에 관한 연구)

  • Baek, Nam-Seok;Kim, Byoung-Gun;Leem, Choon-Se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10-114
    • /
    • 2009
  • 최근 정보기술과 유비쿼터스기술을 바탕으로 도시를 미래화하는 유비쿼터스도시(U-City)구축이 범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8년 9월 25일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발표하였으며,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U-City Service)를 크게 행정, 교통, 보건 의료 복지, 환경, 방범 방재, 시설물 관리, 교육, 문화 관광 스포츠, 물류, 근로 고용 등의 분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 및 관리하는 시설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U-City Management Center)는 다양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도시정보를 통합, 분석하고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도시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구축은 운영조직구성, 운영비용확보, 통합서비스 제공방안, 법 제도 정비 등의 해결과제를 가지고 있어 구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유형을 제시하고 정의한다.

  • PDF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of Local Governments in the Prevention Stage in the Case of an Infectious disease Disaster (감염병 재난 시 예방 단계에서의 지자체 취약성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Seo, Ky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50-1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평시 또는 감염병 발생이전 지자체별 취약성 평가를 통해 감염병 발생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지표를 평가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코로나19 대처사항(각종 회의자료 및 보고자료 등), 선행연구 등을 기반으로 확산취약시설, 감염취약계층, 사회적 취약여건, 대응능력(보건·의료/재정적, 사회적 대응역량) 총 4개의 증감유형으로 분류한 후 세부 평가지표로 약 24개로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취약성 평가 결과는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감염병 대응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Vocabulary for Public Healthcare Facility (공공보건시설 환경색채이미지 어휘 특성)

  • Park, Heykyung;Oh, Jiyou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1
    • /
    • pp.171-1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image for establishing the color environment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public health in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and to utilize it as data of public health color plan and index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previous precedent studies were integrated and public health facilities were classified into medical facilities (general hospitals), health facilities (public health centers), and sub - healing facilities (elderly care facilities). We visited 18 public health facilities in total, measured the environmental color of with a spectroscopic, compared the results and the precedent studies results, and identified color image characteristics and future supplement poi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color image vocabulary of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it prefer comfortable, bright and positive image. Second, as a result of direct measurement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it is found that most of them use the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color of Y ser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vocabulary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of public health facilities, 'natural' imag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other images such as 'gentle' and 'decent' appeared.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image vocabularies of public health facilities. This study is a convergence study of color science and environmental design, and it extends the scope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design and it will be helpful in environmental planning on user's emotion.

A Review on End-of-life Care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국과 미국의 생애말기케어 시스템 비교 연구)

  • Choi, Ji-Won;Rhee, YongJ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301-31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eligibilities, services and delivery of services for the current end-of-life care and analyze the quality control of services for end-of-life care. We analyzed the literature and laws on end-of-life systems i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Current end-of-life car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is being provided mainly in hospital setting. Quality control for the services focuses on setting the criteria for structures in hospitals (i.e. staffing, facilities and equipment). Whereas American end-of-life care system has much broader eligibility for service beneficiaries and provides care mostly at home. Also quality control for services includes process (delivering service) and outcomes, such as monitor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consumer's satisfaction. This is linked to annual payment. The comparative analysis findings contributed to give the next direction of current Korean end-of-life care system. It is nessary to establish the better and extensive end-of-life care system in Korea in considering other countries' end-of-life care systems based on more future research.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Discussion about the Self Disposal Guideline of Medical Radioactive Waste (의료용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가이드라인에 관한 고찰)

  • Lee, Kyung-Jae;Sul, Jin-Hyung;Lee, In-Won;Park, Young-Ja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21 no.2
    • /
    • pp.13-27
    • /
    • 2017
  • Purpose In the procedure of domestic medical radioactive self-disposal, there are many requests of sup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on the screening process. In this regard, presentation of basic guideline will improve the work processing efficiency of medical institution radioactive waste. From 2015 to 2016, We reviewed and compared a supplementary requests of domestic fifteen medical institution radioactive self-disposal Plan & Procedure manual. In connection with this, we derive the details of the radioactive waste document based on the relative regulation of nuclear safety Act. The representative supplementary requests of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re disposal method of non-flammability radioactive waste, storage method of scheduled self-disposal waste, the legitimacy of self-disposal and pre-treatment of self-disposal, reference radioactivity of disused filter and output of storage period, attachment the evidential matter of measurement efficiency when using a gamma counter. Through establishing a medical radioactive waste guideline, we can clearly suggest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radioactive nuclide and the type of occurrence. As a result, we can confirm the reduction of examination processing period while preparing a self-disposal document and there is no spending expenses for business agency. Also, the storage efficiency of facility will better and reduce the economic expenses. On the basis of this guideline, we will expect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for officials who has a working-level difficulty of radioactive waste self-disposal.

  • PDF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노년기 근린환경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Kang, Eun Na
    • 한국노년학
    • /
    • v.37 no.3
    • /
    • pp.669-68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to verify whether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goal, I used'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data which surveyed the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and a total of 10,281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the time taken by walking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or places such as grocery stores, medical centers, administrative agencies, welfare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was used as an neighborhood environment indicators. As a results, there were six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 leisure-welfare walk-limited type(20.3%), a leisure-welfare long-distance type(15.5%), a balanced proximity type(7.8%), a store-traffic type(35.8%), a traffic proximity type(10.1%), and a marginalized area type(11.3%). Compared to the balanced proximity type, older adults living in a store-traffic type and a marginalized area type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life satisfaction. older adults wh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more educated, get higher household income, and have a spouses or partner. Moreover,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siblings, friends and neighbor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Finding from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late lif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building age-friendly community.

Accessability Analysis by Using QGIS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Small Town - Case of Cheongdo Gun in Gyeongsang Bukdo - (QGIS를 활용한 소도시 고령자 생활편의시설 접근성 분석 - 경상북도 청도군을 대상으로 -)

  • Son, Sungum;Kim, Hocheol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6 no.2
    • /
    • pp.37-49
    • /
    • 2020
  • Currently, the average aging rate has reached 14.8% in our country, despite the residents are aging or over the average aging rate has reached 31.8%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100,000.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town center, causing inconvenience to u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essability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n this area. This study builds on the population aging of the research target area and distribution of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based on MDIS data of the regional survey of the National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QGIS was used to visualize the status of the elderly, distribu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hot spot maps, and distance analysis, and also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and distance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e area where the elderly lived a lot was located in a location that caused severe inconvenience to the use of the elderly.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change facilities type and spatial reorganization by raising the need for space policy change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lderly convenience facilities, reflecting the serious aging of small towns such as the study area.

Local Adjustment and Geographical Knowledge of Foreign Immigrants in S. Korea (외국인 이주자의 지역사회 적응과 지리적 지식)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39-63
    • /
    • 2010
  • As foreign immigrants are rapidly increasing, how they without previous knowledge and experience adjust themselves to local circumstances where they come to live becomes a major social issue. In order to analyze their adjustment process, this paper suggests a model which consists of relationships with local environment and people on the one hand, and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imagination on the other.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suggests some findings. A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their local adjustment and felt difficulties among immigration types, nationalities, and dwelling regions, foreign immigrants‘ policies should be devised proper for their type and characters.

  • PDF

Analysis of the Needs of Field Experts for the Provision of Rehabilitation Sports Activities Services for the Disabled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활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장 전문가 요구도 분석)

  • Kang, Dong-Heon;Park, Ji-Young;Eun, Seon-Deo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8
    • /
    • pp.213-231
    • /
    • 2021
  • Due to the absence of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systems linked to post-discharge medical measures and rehabilitation, disabled people cannot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suitable for individual disability types,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unctions. In December 2017, the Act on the Rights of Health for the Disabled) was implemented to provide an institutional basis for disable people to address their needs for rehabilitation sports. Based on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collect the results of a demand survey conducted on experts who ar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providers and analyze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from a policy perspective. This study extracts the needs of expert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and presents the extracted content as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literature were selected based on studies related to "adaptive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sports for all for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sports"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the results of a demand survey on experts. The study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categories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programs, leaders, facilities, accessibility, cost/support/financial resources, and others) of field experts who ar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providers. In a future study, it will be necessary for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consumers who will provide actual services, to identify problems at the disabled sports site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