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실 이용환자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 의료기관 입원손상환자의 자체충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sufficiency for Hospital Injury Inpatients in Korea)

  • 이희원;박종호;강성홍;김원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79-5788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기관 입원손상환자의 지역별 자체충족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별 자체충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5년, 2008년 환자조사 자료, 건강보험공단의 지역별 의료이용 자료, 중앙응급의료센터 연보자료,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회귀분석 기법을 이용 하였다. 광역시 도 단위별 자체충족도는 2005년, 2008년 모두 충청남도가 가장 낮았으며, 경상북도, 경기도, 전라남도의 순으로 자체충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 군 구 단위별 거주지 의료 공급 현황에 따른 의료이용 자체충족도는 2005년, 2008년 모두 거주지에 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이 있는 지역 입원손상환자들의 자체충족도가 높았다. 또한, 거주지 응급의료기관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자체충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환자를 위한 국가 정책 추진시도 단위의 응급 의료 공급수준이 낮은 지역을 우선 사업대상지역으로 하고, 또한 응급실 의료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것이 자체충족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의 임상경로 개발 (Deveolping clinical pathways of acute appendicitis patients in emergency room)

  • 박철용;김윤년;최현석;신아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427-435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의 치료와 검사 항목에 대한 임상경로를 개발하였다. 임상경로 개발을 위해 먼저 Park과 Kim (2010)에 의해 제시된 처방 선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다음에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을 연관성이 있는 처방끼리 묶어서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처방 선택 방법은 향상도에 근거하고 있으며 빈도가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이것과의 향상도가 0.9에 못 미치는 음의 연관성 처방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처방들에 대해 연관성이 있는 처방들을 묶는 방법도 처방 선택 방법과 비슷하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처방 중 빈도가 높은 처방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이것과의 향상도가 1.1을 넘는 처방들을 연관성 있는 처방으로 고려하여 해당 처방 오른쪽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임상경로 그림에는 제일 왼쪽에는 연관성이 낮은 처방들을 빈도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배치하고, 제일 왼쪽에 있는 각 처방의 오른쪽에는 이것과 연관성이 높은 처방들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역시 빈도순으로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흉부외상 환자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의 효용성 (The efficacy of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for chest trauma)

  • 노환규;최호;김영진;김정태;소동문;류한영;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98-303
    • /
    • 1998
  • 초기에 외상성 뇌병변의 진단에 국한되었던 단층 촬영은 전산화 단층 촬영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흉부, 복부 및 척추, 그리고 안면부나 골반부의 외상에 의한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1년간 응급실에 내원한 흉부외상 환자 중 흉부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134명의 환자를 대 瓚막\ulcorner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결과와 단층 촬영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 외상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34명의 환자 중 45명은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 소견이 정상인데 단층 촬영을 시행받은 환자였고, 이중 24명은 단층 촬영 결과 역시 정상 소견을 보였다. 단층 촬영의 기흉과, 혈흉을 포함한 늑막삼출에 대한 진단률을 100%라고 가정할 때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기흉과 늑막 삼출의 진단률은 각각 46.2%, 62.9%로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전체 환자 중 흉관 삽관을 받은 환자는 63명이었는데 이중 45명(71.4%)이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만으로 흉관 삽관을 결정한 환자여서 치료 방침의 결정에는 단순 촬영의 효용성이 다소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흉부 외상에 대한 전산화 단층 촬영이 다소 남용되고 있음이 확인이 되었으나 단층 촬영은 소량의 기흉이나 종격동의 병변등, 임상적으로 중요하면서도 단순 촬영이 제공할 수 없는 병변의 진단에 결정적으로 유용하며 그 효용성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 PDF

도시와 농촌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 환자의 임상적 양상과 합병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inical Features and Complications of Snake Bite Pati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 홍성준;이주환;최우익;진상찬;전재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3호
    • /
    • pp.154-161
    • /
    • 2020
  •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독사 교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2013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7년간의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환자는 독사 교상이 발생한 지역에 따라 도시지역 그룹과 농촌지역 그룹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성과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체 77명의 연구대상 중 44명(57.1%)이 농촌지역 그룹으로 조사되었다. 도시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 환자보다 농촌지역 환자에서 평균 연령이 높았고, 중등도도 높았으며, 교상 장소에서 병원까지의 거리가 멀어 항뱀독소 치료를 포함한 응급처치 지연으로 급성 신기능 부전, 횡문근융해증, 혈액 응고 장애와 같은 합병증 발생이 많았다. 독사 교상에서 핵심이 되는 치료는 항뱀독소 치료로 교상 후 가능한 빨리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진행한 후에 항뱀독소를 투여할 경우, 초기투여 시보다 더 많은 양의 항뱀독소 투여가 필요하다. 농촌은 의료 취약 지역으로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고 고령의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나쁜 예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방의 중소형 병원에서도 항뱀독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그러지 못할 때는 빠르게 대형 병원으로의 이송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제도에 따른 중증외상 환자 특성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trauma patients by health insurance system)

  • 최미영;이효주;윤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9-313
    • /
    • 2022
  • 본 연구는 건강보험제도를 활용한 중증외상 환자의 응급실 이용현황을 분석해,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조사된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Community-based Severe Trauma Surveillance)'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보험종류에 따라 손상 후 장애 정도, 치료(수술, 외상색전술, 수혈) 시행여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의료보험종류에 따라 손상 전 장애정도와 손상 후 장애정도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국민의 안녕을 위해 자리하고 있는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검토가 지속되어야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안이 제시되어야할 것이다.

  • PDF

사고환자 응급실 이용 실태와 만족도 (A study on the Accidental Patients in Emergency Room)

  • 박호란;문정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0-83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significant features of accidental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emergency care who visited emergency roo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243 accidental patients and 249 patients with disease visiting emergency room of 4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g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february 1999.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sex, educational status, marrital status and job) in the accidental pati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most common group of age was 20-30 years of age and males predominated over female. 2. CD Fourty two $\%$ of accidental patients arrived within 30 mins. (2) Fifty seven $\%$ of patients was first-aided one. (3) An ambulanc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ransportation. (4) The time interval from arrival to initial emergency care was 10 mins. (5) Admission rates of the patients after treatment was $72.0\%$. (6) Time interval from arrival to completion was 3-4 hours. 3. The Mean score of the accidental patents' degree of satisfaction on emergency services was $3.26\pm0.64$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group.

  • PDF

서울지역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환자의 보험급종별 응급실 이용행태 분류 (Classification of emergency room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urance in patients visiting an emergency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 김무현;안형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6
    • /
    • 2020
  • Purpos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patients' medical benefits and health insurance based on disease severity classification. Methods: We examined 29,139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of K Hospital from January 1,2016 to December 31, 2016. Survey items included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classification of emergency and non-emergency situations ratio and type of insurance. Results: According to KTAS classification, 76.2% of patients exhibited an emergency condition and 23.8% exhibited a non-emergency condition. Emergency patients exhibited more trauma than non-emergency pati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urance coverage, the duration of stay in the emergency room was longer for patients with medical care than for patients with health insurance. Additionally, 119 ambulances us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tients with medical care. Conclusion: Policy discussions should address alternative ways to replace the 119 ambulances used by patients in this study. Additionally, health care administrators should identify alternative care agencies as potential alternatives to emergency room visits.

일부 지역 주민의 종합병원 응급실 이용 환자에 관한 특성 (Characteristics about Patients using the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of a partial area Residents)

  • 조현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1-7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about characteristics about patients using the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of a partial area residents. Method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used by SAS program(ver. 9.2). Chi-square test was used in analyzing degree of emergency of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Using cluster analysi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groups. Results: Urgent and emergent patients at the age of 40 or grea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under 10 years. the rates of urgent and emergent patients in male(3.2% and 3.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female(2.5% and 2.2%)(p<0.001). Urgent patients were the highest at 11 p.m.-3 a.m. and on Thursday and in winter. Emergent patients were the highest at 4 a.m.-8 a.m. and on wednesday and in winter. Patients as cause of disease was the highest in illness. Conclusion: Policy establishment and measures of government and public health authority were needed for emergent diseases at the age of 40 or greater of male and at midnight time and on thursday and wednesday and in winter.

FHIR를 이용한 심전도 자동 노티 연구 (Using FHIR, ECG Automatic notification Research)

  • 이진형;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4-346
    • /
    • 2016
  • HL7의 차세대 버전인 FHIR는 의료 환경에서 메시지 교환의 표준으로 이벤트 발생시점부터 데이터 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응급실 등 심전도 기기로부터 환자의 자동 판독 결과를 FHIR 메시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EMR 등 병원정보시스템에 전달하고 스마트 폰을 통해 해당 결과를 실시간으로 알려 줄 수 있음으로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사용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향후 SMART on FHIR로 확대되어,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병동에서 실시간 원격모니터링에도 활용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뇌손상 환자의 요중 Free Cortisol의 Circadian Rhythm (Circadian Rhythm of Urinary Free Cortisol in Brain Injuryed Patients)

  • 민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01
  • 뇌손상이라고 하는 과도한 stress를 받았을 때 free cortisol의 분비되는 양과 urinary free cortisol의 circadian 리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조군은 건강한 젊은 여성 6명과 실험군응 CT상 뇌에 손상을 받은 4명의 여성으로 30대 환자이었다. 담당의사와 중환자실 관리책임자의 동의하에서 시도되었으며, 실험기간은 2000년 7월 1일에서 7월 10일까지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뇨를 채취하여 뇨중 free cortisol 농도의 circadian rhythm을 알아보기 위해 채뇨 후 분석하였다. 채뇨는 뇌손상을 받고 응급실을 통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지 5시간 이내에 해당된 환자로 24시간 유지되는 foley catherization 상태하에서 12:00부터 3일동안 72시간을 2시간 간격으로 채뇨하였고, 대조군은 오전 12시부터 24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채뇨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cortisol의 정량은 solid-phase radioimmuoassay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재료는 Coat-A-Count(R) Cortisol kit(DPC, U.S.A.)을 사용하여 DPC사의 측정방법을 따랐다. 연구대상자의 free cortisol의 총량은 대조군에서는 $42.8{\mu}g$이었고, 실험군은 1일에 $991.2{\mu}g$, 2일에 $809{\mu}g$, 3일에 $544.2{\mu}g$으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p<.05), 실험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간별로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로는 모든 시간대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의 평균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Free cortisol의 circadian에서는 대조군에서는 정상인의 cortisol의 circadian의 경우와 같은 리듬을 보였으나, 손상을 받은 실험군의 경우 분비량은 현저하게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최고치가 제1일에 18:00과 다음날 10:00에 나타나 최고치가 2회 나타났으며, 제2일에도 제1일과 마찬가지로 18:00에 나타났고, 제3일에는 24:00에 나타나 제1일보다 제2일에는 최고치가 한 번 나타난 리듬을 보여주었고, 분비량은 2일에 감소하였다. 제3일에는 최고치가 8시간 지연된 나타난 리듬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최저치는 제1일, 제2일, 제3일 모두 24:00에 나타난 리듬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군인 뇌손상 환자군에서는 뇌손상이 과도한 stress로 작용하여 환자의 free cortisol 분비량과 circadian 리듬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뇌손상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스트레스상태인 것을 인지하여 환자 개개인에 필요한 간호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