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절 유형 차이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음운환경에 따른 서울말 악센트구초의 고성조 (High Tone of Accentual Phrase in Seoul Korean: with reference to phonological environments)

  • 전은;이숙향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329-332
    • /
    • 2000
  • 변수로서 악센트구 내 음절수,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음절 유형 (폐음절 대 개음절),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초성 자음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 3음절 무의미 단어 35개와 4음절 무의미 단어 35개를 사용하여 4음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서울말 악센트구의 성조에 대 하여 조사하였다. 이 실험의 발화에서는 1) 악센트구성조에 대하여 4음절과 5음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음절 유형은 첫째 음절의 초성 자음이 보통음일 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센소리일 때는 둘째 음절의 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3) 악센트구 성조에 대하여 첫째 음절의 초성 자음의 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음절의 초성 자음이 센소리일 때 악센트구 4개 성조 모두 보통음일 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 둘째 음절의 초성 자음의 유형도 자신의 성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센 소리로 시작하는 경우에 다른 유형의 자음에 비하여 자신의 피치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어 리듬의 음성학적 연구

  • 이현복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호
    • /
    • pp.31-48
    • /
    • 1982
  • 음악에서 뿐 아니라, 언어에도 리듬이 있고 그 유형은 말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심지어는 한 언어의 방언간에도 리듬에 차이가 나다. 가령 표준말과 경상도 말은 낱낱의 소리에서 뿐 아니라, 리듬에서도 큰 차이를 들어낸다. 이 글에서 필자는 표준말의 리듬 구조를 분석 기술한다. 한국어 표준말씨의 리듬은 '을 단위로 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말토막은 하나의 강세음절과 전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음절로 이루어지는데, 강세 음절은 강하고 길게 발음되고 약음절은 말토막의 끝에 오는 음절을 제외하고는 짧고 약하게 난다. 강세 음절을 리듬 단위의 핵이라 하고 핵의 앞에 오는 약음절을 머리, 핵의 뒤에 오는 약음절을 꼬리라고 이름하면, 한국어 리듬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말토막 $\rightarrow$ (머리+)핵(+꼬리) 또한 한국어의 리듬은 일부에서 말하듯이 음절(시간)중심이 아니고, 강세(시간)중심의 리듬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위의 공식은 설명하고 있다.

  • PDF

중국인 학습자 비음 종성 /ㄴ/, /ㅇ/ 음절의 발음 오류 재고 -한·중 음절 유형을 통하여- (A Study on Reexamination of the syllable errors of nasal consonant ending for Chinese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study)

  • 장찌엔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251-268
    • /
    • 2017
  • This study is based on differences of syllable typ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pronunciation. For example, Nasal consonant ending 【n】 and 【${\eta}$】 reside in both Korean and Chinese phonetics simultaneously. However, in experiential training, Chinese learners will make errors in pronunciation of the Korean syllable nasal consonant ending like 【n】 and 【${\eta}$】. In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of pronunciation errors were ofte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honological system and combination of the phoneme rules. However,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yllables category to indicate the cause of pronunciation erro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 the process of pronunciation of Chinese, nasal consonant syllable rime and its 【back】 tongue vowel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However, this rule does not apply in Korean pronunciation. Therefore, the Korean syllabic types like "앤, 응, 옹, 앵, 은, 온, 언" also exist in the Chinese language. When theChinese learners pronounce these types of syllables, the combination of the voweland nasal syllable rime rule will be taken, which will result in pronunciationerrors.

한글 낱말의 처리 단위 (The Processing Unit in Korean Words)

  • 이준석;김경린
    • 인지과학
    • /
    • 제1권2호
    • /
    • pp.221-239
    • /
    • 1989
  • 한글 낱말의 처리단의를 검증하기 위해 3개의 실험을 실시 하였다.예비 실험과 실험1은 한음절 글자, 실험 2는 2음절 이상 글자에서의 처리단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예비실험에서,자음유형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낱말 위치 효과는 유의미했다.Newman-Keuls 검증결과 초성조건과 중성조건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중성조건과 중성조건간의 차이는 유의미했다.실험 1에서는 낱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도 증가했다.낱말 위치 효과는 예비실험과 동일했다.실험 2에서는 종성유무와는 관계없이 음절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증가했다.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1)한 음절의 글자에서는 초성과 종성으로만 구성된 음절을 단위로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나 (2) 두 음절이상의 글자에서는 종성이 포함된 음절을 단위로 정보처리가 이루어진다.

읽기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동시조음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coarticulation feature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y)

  • 박성숙;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99-109
    • /
    • 2024
  • 동시조음은 제한된 시간과 공간 안에서 연속적인 조음기관의 움직임으로 인해 주위의 분절음과 다양한 중첩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다. 본 연구는 파열음, 파찰음과 모음(ᅡ, ᅵ, ᅮ)으로 구성된 CVC 음절과 VCV 음절에서 읽기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동시조음 특성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2-6학년 읽기장애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3명이었다. 읽기과제 음성 자료를 이용해 자음이 끝나고 모음이 시작되는 지점과 모음 안정 구간의 중간 지점에서 제 2 포먼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제 2 포먼트를 이용해 회귀분석을 실시해 집단별 조음위치, 발성유형에 따라 로커스방정식(LE) 기울기를 구하여 삼원분산분석(3-way ANOVA)을 실시하였다. CVC 음절에서 읽기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작은 LE 기울기 값을 보였다. 조음위치에서는 연구개음이나 양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과 비교해 더 가파른 LE 기울기를 보였다. VCV 음절에서는 집단, 발성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음위치에서 보인 유의미한 차이도 CVC 음절 결과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읽기장애아동이 음절구조에 따라 다른 양상의 동시조음 기울기를 보인다는 것과 읽기장애 아동의 높은 휴지 비율은 VCV 구조에서 동시조음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도(latitude)에 따른 한국산 박새(Parus Major) 소리(song)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 variation of song on Great Tit, Parus major of by latitude)

  • 강정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 /
    • pp.46-55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산 박새의 소리를 이용한 위도에 따른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이다. Note types은 2 음절에서는 low note가 16개, high note에서는 18개 type을 나타내었고, 3음절의 secondary-high note에서 11개의 유형을 나타내었고, low note에서는 대체로 Nm VFV type을 많이 사용하였고, high note에서는 특이하게 모든 sitedptj M type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도에 따른 지역적이 변이는 해안지역이 내륙지역보다 더 많이 나타났고(MANOVA , p<0.001) , factor 별 공유정도는 phrase와 phraserks duration, low note의 frequency range, high note의 frequency range에서는 차이를 보였고 (ANOVA, p<0.05), 다른 factor들에서는 대부분 factor의 유형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의미와 경계성조의 상관성에 대한 지각연구 (A perceptu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Korean polysemic ending and its boundary tone)

  • 윤영숙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1-10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어 동형다의 종결어미 '-(으)ㄹ걸'의 의미 변별에 작용하는 경계성조와 선행음절의 음높이와의 상관성을 지각실험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으)ㄹ걸'의 의미변별에 관여하는 핵심 운율변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으)ㄹ걸'은 추측과 후회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동음다의어인데 이 두 의미가 동일한 통사·형태구조를 지닌 서술문의 형태로 제시된다. 이러한 연유로 의미 변별을 위해 문장 경계 억양의 역할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전통적으로 추측은 오름의 경계성조로, 후회는 내림의 경계성조로 실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경계성조의 유형과 더불어 선행음절과의 음높이 차이 또한 '-(으)ㄹ걸'의 의미 변별에 핵심적 운율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계성조 형태가 '-(으)ㄹ걸'의 의미를 변별하는 유일한 운율변수가 아닐 수 있다는 가정하에, '-(으)ㄹ걸'의 마지막 두 음절의 음높이차가 경계성조 형태와 어떤 양상으로 상호작용하는지 한국어원어민 화자를 대상으로 한 지각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지각 실험에 사용된 문장은 추측문장의 경계성조의 음높이를 선행음절의 평균음높이와 -5 Qt-15 Qt 차이로 조절한 21문장에 원 자료를 포함한 22문장과 후회문장의 경계성조의 음높이를 선행음절의 평균 음높이와 -10 Qt-10 Qt 차이로 조절한 21문장에 원 자료를 포함한 22문장, 그리고 이들 문장을 혼합한 44문장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각실험은 이들 각각의 실험자료를 별개로 하여 3단계로 이루어졌다. 지각실험 참여자들은 청취하는 문장이 얼마나 추측(1단계) 또는 후회(2단계)에 가깝게 들리는지와 추측 또는 후회(3단계) 중 어떤 문장으로 지각되는지를 5단계로 평가하였다. 지각실험에는 30명의 한국어원어민 화자가 참여하였다. 지각실험 결과 추측과 후회로 발화된 문장의 경계성조 H%와 L%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그 평균 음높이가 선행음절보다 높으면 추측으로 낮으면 후회로 지각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즉 경계성조의 평균 음높이가 양의 방향으로 커질수록 추측으로, 음의 방향으로 작아질수록 후회로 지각되었다. 추측과 후회로 발화된 모든 문장의 경계성조의 형태가 동일한 H% 또는 L%로 고정되었지만 선행음절과의 음높이 차이에 따라 청지각적 판별은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계성조의 형태만으로는 '-(으)ㄹ걸'의 두 의미를 충분히 변별할 수 없음이 관찰되었다.

제 2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리듬 실현양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Aspects of Korean rhythm realization by second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of Korean)

  • 윤영숙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27-3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낭독발화에서 나타나는 리듬의 변화양상을 한국어 모국어화자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모국어화자와 구별되는 리듬의 물리적 속성을 고찰하여 목표어의 리듬 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국인학습자들의 발화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리듬 유형론적으로 다른 범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어는 음절박자언어와 강세박자언어의 모습을 모두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어는 음절박자언어로 분류된다. 두 언어는 음절구조, 어휘강세나 모음약화 현상의 부재 등 음운론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보이지만 세부적인 차이도 존재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한국어 리듬 실현에서 모국어인 중국어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가 모두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어를 구사하는 한국어 원어민화자 5명과 한국어 숙달도 고급 수준의 중국인한국어학습자 10명이 발화문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다섯 문장으로 구성된 한 단락의 담화이다.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리듬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V, VarcoV, nPVI_V, nPVI_S값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V와 VarcoV의 값에서 두 그룹은 모두 음절박자언어의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중국인학습자들은 한국화자와는 유의미한 차이로 낮은 %V와 높은 VarcoV를 보여 보다 강세박자언어에 가까운 리듬구조를 보였다. nPVI_S값에서는 유사한 면이 관찰되었으나 nPVI_V에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그룹에서 나타난 리듬구조의 차이는 무엇보다 모음 길이의 변동의 차이로 귀속될 수 있고 그 원인은 중국어에 존재하는 모음 위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모국어의 발화습관이 한국어 리듬구조에 영향을 미쳐 보다 강세박자언에 가까운 속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다른 청지각적 리듬 차이를 유발한다고 할 수 있다.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음절 형태를 중심으로 (Variables affecting Korean word recognition: focusing on syllable shape)

  • 민수영;이창환
    • 인지과학
    • /
    • 제29권4호
    • /
    • pp.193-220
    • /
    • 2018
  • 시각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단어 빈도, 단어 길이, 이웃단어, 단어 형태 등이 밝혀진 바 있다. 단어 형태 변인은 한글이 영어와는 글자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형태 정보가 단어 처리에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게스탈트의 연속성 원리를 한글에 적용하여 한글 단어의 처리 단위를 알아보고, 음절 형태가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3음절 단어를 사용하여 음절 유형(평소 읽기방향이 연속성 원리에 부합하는 '가로집자'형(예: "가"), 부합하지 않는 '세로집자'형(예: "고")과 글자 제시 방향(가로, 세로)을 조작하였다. 어휘 판단 시간의 분석 결과, 제시 방향에 상관없이 '가로집자'형의 처리 속도가 '세로집자'형보다 빨랐다. 실험 2에서는 차폐 점화를 사용하여 음절유형('가로집자'와 '세로집자'형) 및 점화 자극과 목표 자극의 시각적 관계(동일, 유사, 상이)를 조작하였다. 점화자극과 목표자극의 음절집자 형태에 따라서 수행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음절 형태가 단어 재인에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특성에 관한 연구 (A Prosodic Study of Korean Using a Large Database)

  • 김종진;이숙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26
    • /
    • 2005
  • 본 연구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한국어의 운을 특성 규명을 시도하였다. 남녀 화자 1명씩 각각 낭독한 650개의 뉴스기사 문장 (총 1,300 개)은 분절음 레이블링과 운율 레이블링을 한 후, 각 운율단위의 성조유형과 크기, 상위운율단위의 크기와 하위 운율단위 수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강세구의 하강곡선과 상승곡선의 기울기와 F0 값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운율단위의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와 하위 운율단위의 수는 화자뿐만 아니라 운율단위 위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운율단위의 수는 상위 운율단위의 음절수와 지속시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강세구 내의 하강곡선의 기울기는 강세구 음절수와 반비례 관계를 보였으며 강세구 첫 성조의 유형에 따라 기울기 값에 차이가 있었다. 이 차이는 고성조로 시작한 강세구 성조의 F0 상승과 성조 간 상승 폭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었다. 강세구 경계의 하강곡선은 일정하면서 강세구 내의 하강곡선에 비해 다소 급격한 기울기를 보였다. 강세구 내의 두 상승곡선은 유사한 기지값을 보였으나 강세구 시작 상승곡선의 F0 변화량이 끝 상승곡선의 F0 변화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나의 상승곡선이 강세구를 이루는 L Ha의 경우에는 강세구의 음절수에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