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절체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인의 한국어와 영어음절 분석 특성 (How do Koreans represent Korean and English Sub-syllabic Units\ulcorner)

  • 권혜원;윤여범;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136
    • /
    • 2002
  • 한국어 CVC 음절의 하위 단위는 초성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체(body)와 종성자음(coda)으로 이루어져 있고, 영어 음절은 초성(onset)과, 모음과 종성자음을 포함하는 각운(rime)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영어의 음절을 한국어 음절 정보처리 방법으로 정보처리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조건으로는 음절체 일치 조건(예, 각-감, cap-cat), 각운 일치 조건(예, 남감, pat-cat), 그리고 두 자음 일치 통제조건(예, 김-감, cut-cat)과 무관련 통제 조건(예, ***-감, ***-cat)이 사용되었다. 실험 과제로는 점화 어휘판단 과제(primed lexical decision task)를 수행하였다. 만약 음절체 일치 조건에서의 점화효과가 각운 일치 조건에서의 점화효과보다 크다면 한국인의 음절분절 단위가 음절체-종성(body-coda) 구조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각운 조건에서의 점화효과가 더 크다면 그 단위가 초성-각운(onset-rime)구조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험 결과, 한국어 음절의 경우 각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가 음절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보다 크게 나타나 음절체-종성 구조로의 하위 단위 분석을 지지했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에는 각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가 음절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보다 크게 나타나 초성-각운 구조로의 분석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한국인이 시각 단어를 재인할 때에는 언어 특정적인 분석을 수행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한국어 단어 산출에서 음절 내 부호화 II (Within-syllabic Encoding in Korean Word Production II)

  • 구민모;남기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9년도 제2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73-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단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음절 내 부호화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2개의 단어번역과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국어 산출에서 종성점화효과를 검증한 실험 1에서 종성 반복 조건과 통제조건 간에 단어번역시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실험 2에서는 11ms의 부적인 중성점화효과를 보였다. 구민모와 남기춘(2009)과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1) 한국어 산출 어휘집에서 음절은 "음절체+종성"의 위계적인 내적 구조로 표상된다. (2) 음절 내 부호화는 음절체와 종성이 계열적인 순서로 진행된다. (3) 음절체를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이 계열적인 순서로 음절구조에 삽입된다.

  • PDF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모양이 한글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eungzo and Saemmul fonts on Hangul recognition)

  • 김호영;정찬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2년도 제4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59-267
    • /
    • 1992
  • 단어모양이 한글 시각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명조체와 샘물체로 된 한음절 글자, 두음절 단어, 세음절 단어의 정확인식율을 비교하였다. 명조체는 자모의 모양과 크기가 글자의 고정된 사각틀에 맞게 변형되므로 단어모양이 글자의 자모조합 유형과 음절길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샘물체는 자모조합 유형에 따라 글자의 사각틀이 변형되므로 부가적인 단어변별 정보가 단어모양에 포함되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단어모양 정보가 명조체에 비해 더욱 두드러진다. 이처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의 시각적 구조는 각각 다른 근거에서 한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 명조체의 정확인식율이 샘물체보다 높았으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명조체와 샘물체에 상관없이 정확인식율이 향상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단어의 외곽모양 변이가 영어의 경우보다 한글 시각정보처리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한글 단어 재인에 있어서 음절체의 역할 : 점화과제를 사용하여 (The Role of Antibody in Korean Word Recognition: Using the Priming Task)

  • 이창환;최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680-1684
    • /
    • 2009
  • 한글 단어 재인에 있어서 음절 내 단위가 음절체인지에 관한 실험증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점화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으로 음절체가 중복되는 조건 (예: 섬질 -> 성직), 각운이 중복되는 조건 (예: 헝칙 -> 성직), 초성과 종성이 중복되는 조건 (예: 생적 -> 성직), 그리고 아무런 철자도 중복되지 않는 조건 (예: 찬멸 -> 성직)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목표자극의 글자 유형을 <각> 형과 <곡> 형으로 구분하여 차별적인 점화효과가 일어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각> 형의 목표자극에서만 유의미한 억제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특정 유형의 단어에 한하여 한글의 단어 재인의 단위가 음절체 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며 보다 다양한 글자 유형에 대하여 점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어 낭독체 담화문의 운율적 특징 (A PZros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ead Sentences in Discourse Context)

  • 성철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제15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KSCSP 98 15권1호)
    • /
    • pp.209-213
    • /
    • 1998
  • 50개의 담화단독 문장과 연속발성 문장을 대상으로 무장의 첫 어절과 마지막 어절에서의 첫 음절과 마지막 음절의 운율특징을 조사하였다. 이를 체계적으로 살펴 보기 위하여 각 어절에서의 마지막 음절의 음향변수에 대한 첫 음절의 음향변수의 비율을 얻은 뒤 이를 대상으로 하여 평균값과 분포를 구하였다. 지속시간의 경우 두 스타일 간에 주목할 만한 큰 차이점은 없었으나 담화 연속 문장의 문두에서 화자의 조음시간 프로그래밍이 약간 조화롭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Fo는 마지막 어절 부분의 비율값이 두 스타일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율자질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에너지는 Fo와 유사한 분포경향을 보인다. 문미 어절의 마지막 음절이 첫 음절의 약 85% 정도의 힘으로 발성됨을 알 수 있고, 담화 연속 발화의 마지막 어절에서 단독 발화문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조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LECTRA 모델을 이용한 음절 기반 한국어 개체명 인식과 슬롯 필링 (Syllable-based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Slot Filling with ELECTRA)

  • 도수종;박천음;이청재;한규열;이미례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37-342
    • /
    • 2020
  • 음절 기반 모델은 음절 하나가 모델의 입력이 되며, 형태소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에서 발생하는 에러 전파(error propagation)와 미등록어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개체명 인식은 주어진 문장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단어를 찾아 개체 범주로 분류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며, 슬롯 필링(slot filling)은 문장 안에서 의미 정보를 추출하는 자연어이해 태스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도메인 슬롯 필링 데이터셋을 구축하며, 음절 단위로 한국어 개체명 인식과 슬롯 필링을 수행하고, 성능 향상을 위하여 한국어 대용량 코퍼스를 음절 단위로 사전학습한 ELECTRA 모델 기반 학습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국립국어원 문어체 개체명 데이터셋에서 F1 88.93%, ETRI 데이터셋에서는 F1 94.85%, 자동차 도메인 슬롯 필링에서는 F1 94.74%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의미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움직임 궤적 분석 기반의 원거리 판서 기술 (Remote Drawing Technology Based on Motion Trajectories Analysis)

  • 임승민;정현석;김성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29-23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 손 위치를 추적하고 움직임 궤적을 분석하여 원거리에서 판서가 가능한 기술을 제안한다. 3차원 공간에서 손으로 입력하는 한글 음절은 글자 획과 이동 획이 구분되지 않아 음절의 종류를 구분하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글 음절을 구성하는 획을 글자 획과 이동 획으로 구분한 후 이동 획은 제거하고 글자 획만을 출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필기체 음절의 궤적에서 획의 끝 점을 검출하고, 검출한 끝 점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음절을 획 단위로 분리한다. 음절 집합으로부터 8가지의 획 패턴을 정의한 후 분리한 획에 대해서는 방향 코드를 기반으로 획 패턴을 분류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획의 유형을 글자 획과 이동 획으로 분류한다. 분류된 획의 유형을 기반으로 입력된 음절에서 이동 획은 제거하고 글자 획만을 출력하여 가독성이 있는 음절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360개의 음절 집합에 대해 정확도를 측정하여 획의 패턴은 88.3%, 획의 유형 구분은 91.1%의 정확도를 얻었다.

한국어 경량형 띄어쓰기 교정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 Lightweight Spacing-Error Correction System for Korean)

  • 송영길;김학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7-9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규칙 기반 방법과 통계 기반 방법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메모리 사용량이 적은 한국어 띄어쓰기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철자 오류와 조사 생략이 빈번히 발생하는 모바일 구어체에 강건하도록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서 일반 구어체 말뭉치로부터 가상의 구어체 말뭉치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새로운 음절 패턴에 대한 적용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음절 유니그램 통계 정보를 이용하며,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음절 바이그램 이상의 오류 교정 규칙을 이용한다. 가상의 모바일 구어체 문장에 대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 시스템은 1MB 내외의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면서도 92.10%(일반 구어체 말뭉치에서 93.80%, 일반 균형 말뭉치에서 94.07%)라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보였다.

  • PDF

Multi-channel CNN을 이용한 한국어 감성분석 (Multi-channel CNN for Korean Sentiment Analysis)

  • 김민;변증현;이충희;이연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8년도 제3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79-83
    • /
    • 2018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장의 형태소, 음절, 자소를 동시에 각자 다른 합성곱층을 통과시켜 문장의 감성을 분류하는 Multi-channel CNN을 제안한다. 오타를 포함하는 구어체 문장들의 경우에 형태소 기반 CNN으로 추출 할 수 없는 특징들을 음절이나 자소에서 추출 할 수 있다. 한국어 감성분석에 형태소 기반 CNN이 많이 쓰이지만, 본 논문의 Multi-channel CNN 모델은 형태소, 음절, 자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더 정확하게 문장의 감성을 분류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모델이 형태소 기반 CNN보다 야구 댓글 데이터에서는 약 4.8%, 영화 리뷰 데이터에서는 약 1.3% 더 정확하게 문장의 감성을 분류하였다.

  • PDF

한국어와 영어 음절의 지속시간에 대한 비교연구 -음절체와 각운을 중심으로- (Duration of bodies and rhymes in Korean and English syllables)

  • 백은아;노동우;정옥란;강수균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169-1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the acoustical differences of one syllable words spoken by speakers with different language backgrounds. 20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English were asked to read 7 one-syllable words written in their native language. The phonetic and phonemic characteristics of 7 words were similar between two languages. The ratio of duration of the body (onset+nucleus) and the rhyme(nucleus+coda) relative to the duration of each syllable were calculated using CSL (Computerized Speech Laboratory). The results corresponds to the body-coda structure of the Korean syllable which is supported by the recent experimental psychological studies. More acoustic studies on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are required to establish clinical foundation for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