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성측정기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실험적으로 유발한 구개인두부전증의 비음도와 음향학적 분석 (Nasometric Acoustic Analysis of Korean Vowels in Experimentally Induced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김광현;성명훈;윤자복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6년도 제6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96-96
    • /
    • 1996
  • 구개인두부전증(velopharyngeal insufficiency, VPI)에 의한 발음이상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비강측정기(nasometry)에 의한 비성수치(naslance score)의 측정과 spectrography에 의한 음향분석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유발한 VPI군의 음향학적 결과와 비강측정기의 결과를 정상군과 비교함으로써 VPI환자의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의 방법과 지표를 얻고자 하였다. (중략)

  • PDF

경음-연음 분류법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MG study of the feature 'tensity' with reference to English and Korean)

  • 김대원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11-11
    • /
    • 1993
  • 현존하는 문헌에 의하면, 입술근육의 수축과 운동시간의 측면에서 영어의 자음을 경음-연음분류를 할 수 있는 음성학적 실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근육운동 측정기를 사용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양순 정지음의 발화시 근육(orbicularis oris superior muscle)운동을 측정하였다. 영어의 강세음절에서는 기존의 주장과 같이 /p/와 /b/의 발화시 근육운동에 차이가 없거나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강세음절에는 기존 이론과 달리 근육운동수축에 있어서 /p/가 /b/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중략)

  • PDF

태양전지 interconnect ribbon용 Sn-Bi계 무연솔더 연구

  • 강인구;김혁종;김도형;김진식;김효재;원수현;조성훈;이상권;하정원;최병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3.2-113.2
    • /
    • 2011
  • Sn-Ag계 합금은 대표적인 무연 솔더 조성으로 전자제품의 실장 및 접합에 적용되어 왔으며, 태양전지 분야에서도 모듈의 전극과 bus바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Ag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솔더 접합부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Ag의 함량을 줄이고 다원계 합금 조성의 무연 솔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1.0Ag-0.5Cu-0.4In 4원계 무연솔더 조성에 Bi를 첨가하여 최적의 융점과 용융구간을 가지는 5원계 Sn-Ag-Cu-In-Bi 계 솔더 합금을 설계하였다. 이 설계된 합금은 기존의 유연 솔더인 Sn-Pb와 대표적인 무연 솔더인 Sn-3.5Ag와 각각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젖음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wetting balance tester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고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분석하여 젖음 정도와 조성 분석 및 고상점과 액상점 등의 녹음 거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성별 전단응력에 따른 파괴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비음측정기를 이용한 한국어를 사용하는 정상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비음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Gender Differences in Nasalance Scores in Korean Speaking Adults)

  • 권호범;최송언;장석우;이석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19-2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비음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후천적 구개부 결손환자의 보철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을 위해 정상 비음도를 획득하는 것이다. 음성언어 표본으로 선정된 단순모음, 이중모음, 반복자음, 그리고 비음의 비율이 높은 문장, 비음의 비율이 중간인 문장, 비음의 비율이 낮은 문장에 대해 비음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남녀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t-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실험자들은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남자 15명과 여자 15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들 중 남자 피실험자들의 나이는 24세에서 38세까지 분포하였고 평균나이는 26.3세였다. 여자 피실험자들의 나이는 19세부터 33세까지 분포하였고 평균나이는 24.4세였다. 비음측정기 Nasometer II 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로 /이/ 모음을 포함하는 일부 반복 자음을 제외하고는 모음, 반복자음, 문장을 이용한 음성언어표본에서 남녀 간 비음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비음측정기는 음성언어표본이 달라짐에 따라 비음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비음치 비교 (Age and Sex Differences in Nasalance Scores)

  • 김민정;임성은;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45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nasalance score measured by Nasometer is a supplementary data for the perceptually rated nasality by a trained speech pathologist. The nasalance score varies with subject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nasalance scores as a function of age and sex. Materials and Method : This study used 20 normal chidren aged from 3 to 8 and 40 normal adults aged from 21 to 37(male : female= 1 : 1) as subjects. The nasalance scores were analyzed in 3 different phonetic contests(nasal, /i/ vowel,/a/ vowel) and 4 different sentence lengths(1, 2, 4, 8 syllable). Results : The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nasalance scores in short sentences an the adults. The female subjects had significantly higher nasalance scores in nasal sentences and in short sentences than the male subje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sex and age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nasalance score in nasal sentences or in short sentences.

  • PDF

바이오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BIO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 김주환;유형열;정신성;천세미;오태원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3-476
    • /
    • 2009
  • 통신 서비스는 음성, 문자, 영상 등으로 발전해 왔고, 이모티콘, 플레시콘 등 점점 더 다양한 통신 서비스로 발전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신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문자, 음성, 영상 데이터에 인간의 감성 데이터를 부가한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인간 감성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야 하며 여기서는 그 측정기를 구성하는데 있어 가능한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의 감성을 나타내는 생체신호로는 맥박, 혈압, 긴장도 등등이 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 중 하나인 맥박신호를 적용하였고 인터넷상에서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바이오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구성 하였다.

  • PDF

수제 접촉각 측정기와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표면에너지의 측정 (Determination of Surface Energy by Means of Home-Made Goniometer and Image Analyzing Software for Contact Angle Measurement)

  • 조서린;조한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2-438
    • /
    • 2013
  • 기초 화학 실험에서 쉽게 만들고 운용할 수 있는 접촉각 측정기를 구성했다. LED 손전등과 시료 거치대, 디지털 카메라를 광학보드에 고정했고, 시료부는 양쪽에 구멍이 뚫린 암실 상자로 덮었다. 공개된 영상분석 프로그램(ImageJ)과 플러그인(Drop_analysis)을 이용해서 고체 표면 위에 형성된 액체 방울의 사진으로부터 접촉각을 측정했다. 구성된 측정기와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러 액체와 다양한 표면에서의 접촉각을 측정해 측정기의 성능을 확인했다. 측정된 $H_2O$$CH_2I_2$ 접촉각으로부터 결정된 고체의 표면에너지들은 알려진 값들과 대체로 일치하며 표면의 특성과 개질, 비극성 및 극성 기여도 등을 충실히 보여준다. 이 논문에 소개된 수제 접촉각 측정기와 측정법을 활용해 기초 화학을 배우는 학생들이 젖음성, 친수성, 발수성 등 표면 특성들과 분자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관련된 힘의 평형, 광학, 수식의 전개 등을 경험할 수 있다.

VSELP 부호화기의 음질 및 주기탐색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Voice Quality and Pitch Searching of the VSELP Coder)

  • 성기철;문상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40-749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SELP음성 부호화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혼합 방법에 의한 주기추출법을 제안하여 기존의 PSELP음성 부호화기의 피치 주기 탐색시간을 줄였으며, 장기 필터(long term filter)의 출력 여기신호에서의 양자화 오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기추출 오류를 개선시켰다. 또한 주기성을 향상기키고 잡음을 줄이기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주기성 향상 필터를 복호기의 여기신호에 적용하여으며, 합성된 음성신호에서 음의 명료도를 높이기 위해 적응 일차 필터를 적용하였다. 작시한 방식과 필터를 적용한 결과 주기탐색시간이 기존에 대해 26%로 줄었으며, 최종합성음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기에서 기존함성음은 3.19를 나타낸데 비해 개선된 합성읍의 4.04를 나타내었다.

  • PDF

비음 측정기, 전기 구개도 및 음성 분석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구개열 언어 장애의 특성 연구 (The Speech of Cleft Palate Patients using Nasometer, EPG and Computer based Speech Analysis System)

  • 신효근;김오환;김현기
    • 음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69-89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bjectively method of speech evaluation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s. To assess velopharyngeal function, Visi-Pitch, Computerized Speech Lab. (CSL), Nasometer and Palatometer were used for this study. Acoustic parameters were measured depending on the diagnostic instruments: Pitch (Hz), sound pressure level (dB), jitter (%) and diadochokinetic rate by Visi-Pitch, VOT and vowels formant ($F_1\;&\;F_2$) by a Spectrography and the degree of hypernasality by Nasometer. In addition, Palatometer was used to find the lingual-palatal patterns of cleft palate. Ten children with cleft palates and fifty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igher nasalance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s showed the resonance disorder. (2) The cleft palate showed palatal misarticulation and lateral misarticulation on the palatogram. (3) Children with cleft palates showed the phonatory and respiratory problems. The duration of sustained vowels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s was shorter than in the control groups. The pitch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s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s. However, intensity, jitter and diadochokinetic rate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s were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4) On the Spectrogram, the VOT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s was longer than control group. $F_1\;&\;F_2$ were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 PDF

심폐소생술 시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 간의 가슴압박 질 효과 (Effects of Chest Compression Quality between Rescuer's Simplified Verbal-Order Method and Continued Verbal-Order Method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백홍석;박상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20-330
    • /
    • 2013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 음성측정기를 활용하여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과의 가슴압박 질 비교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대상자는 C도 소재 응급구조과 재학생으로 심폐소생술 15주 교육과정을 이수한 89명(실험군 45명, 대조군 44명)을 무작위추출 하여 시행하였다. 집단 구분은 간소화된 구령집단을 실험군, 연속적 구령집단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측정 기간은 1차(2011년 11월 10일, 11월 28일)와 2차(2012년 9월3일-9월4일)로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가슴압박(회, %)은 실험군(102.86회, 67.79%)이 대조군(85.31회, 55.84%) 보다 가슴압박 질 효과가 높았다(p<.05). 반면, 약한 가슴압박(회) 시행은 실험군(35.54회) 보다 대조군(61.13회)이 높았다. 성별에 있어서는 실험군의 남자가, 체중에 있어서는 실험군의 60kg이상이 적절한 가슴압박을 보였다(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