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독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76초

세정제 음독후 발생한 역류성 식도질환 및 연하곤란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Dysphagia Caused by Ingestion of Detergent)

  • 김영지;박정수;성현경;이주아;김담희;고호연;공경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55-862
    • /
    • 2016
  • The recent increased interest in hygiene has led to the use of a variety of detergents everyday life. Accordingly, accidents occur frequently, but proper precautions or treatmen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for these occasions. The patient in this case had accidentally ingested basic detergent, after mistaking it for a drink. This had caused acid reflux swallowing distress. Treatment in a western medical hospital had resulted in improvement in inflammation, as observed with an esophageal endoscopy test, but the patient still found it almost impossible to drink or eat. Following treatment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 patient’s food intake increased and the pain and dysphagia were diminished. We cannot generalize based only on this one case study, 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학년별 독서방식이 어린이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1-271
    • /
    • 2007
  • 본 연구는 음독, 묵독, 다독, 정독, 통독, 발췌독 등의 독서방식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12개 반의 전체 어린이 28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어린이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독서방식은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2학년의 경우에는 통독, 4학년과 6학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Glyphosate 음독의 임상양상 (Atypical Clinical Course of after Glyphosate Herbicide Intoxication)

  • 김용원;김현;차경철;신형진;차용성;이강현;황성오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3
    • /
    • 2011
  • Purpose: Although glyphosate-surfactant herbicide intoxication is relatively mild toxic in humans, we encountered an atypical clinical presentation. We performe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atypical clinical cours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evere intoxication after glyphosate ingest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61 patients (male 43, mean age $54{\pm}18.8$ years) who were presented with glyphosate ingestion between March 1997 and March 2011. The severe intoxication group was defined as patients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less than 90 mmHg, respiratory distress needing intubation, or altered mental state. Results: Of the 61 patients, 22 patients (36.1%) had a severe clinical course, 1 patient (1.6%) had died and 1 patient (1.6%) had moribund discharge.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nausea with or without vomiting which occurred in 30 patients (49.2%). Twenty-seven patients had metabolic acidosis that was the second most common medical complication. Advanced age, pH, base excess, $HCO_3$, Sat, creatinine, X-ray abnormalities and ECG abnormalities were significant factors. Hemoglobin, platelet, $pO_2$, $pCO_2$, BUN, sodium, potassium and AST levels were not different comparing the laborato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evere and mild intoxication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vere intoxication occurred in 22 patients (36.1%) after glyphosate intoxication. Advanced age, pH, base excess, $HCO_3$, Sat, creatinine, X-ray abnormality and ECG abnormalities wer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severe intoxication in patients with glyphosate surfactant herbicide poisoning.

  • PDF

식이 식초 음독 후 발생한 부식성 손상 (Corrosive Injury Due to Edible Vinegar)

  • 김도현;이성우;남궁인;박종학;김수진;홍윤식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4-38
    • /
    • 2011
  • Vinegar is a very popular ingredient used in many cuisines. It is also known for its beneficial health, beauty and possible weight-loss properties. The authors report on a patient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unstable vital signs complaining of generalized abdominal pain after ingestion of 450 ml of apple cider vinegar. We documented a case of corrosive gastrointestinal injury with persistent metabolic acidosis occurring after ingesting apple cider vinegar with an acetic acid concentration of 12~14%. Toxic damage to the liver and kidney were also observed, peaking on post-ingestion day 3. The patient received supportive care and hemoperfusion for three days without much clinical improvement and died in the seventh day of intensive care due to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nd multi organ failure. Edible vinegar, when taken in large amounts, is capable of inducing corrosive injuries of the GI tract as well as severe systemic toxicities, such as metabolic acidosis. Safety precautions regarding vinegar deserve more public attention and clinicians also should be astute enough to recognize the potential damage accompanying vinegar ingestion.

  • PDF

제초제 음독 후 발생한 신경학적 후유증으로 사지마비, 인지저하를 호소한 환자의 한의치료 증례보고 1례 (A Case Report on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Quadriplegia and Impaired Cognition as Neurological Sequelae after Ingestion of Herbicides)

  • 심상송;안재윤;진효원;윤종민;문병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904-915
    • /
    • 2021
  • This study is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quadriplegia and impaired cognition as neurological sequelae after ingestion of herbicides. A 59-year-old man with toxic encephalopathy and hypoxic encephalopathy after the ingestion of herbicides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Hyulbuchuko-tang mixed with Ondam-tang-gami (血府逐瘀湯合溫膽湯加味), cupping, moxibustion, and rehabilitation. Clinical symptoms were measured with the Manual Muscle Test (MMT), Korean Mini Mental Status Exam (K-MMS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After three months of treatment, clinical symptoms improved. The motor function improved (MMT on both sides, Gr. 3+F/4G→Gr. 4-G~4G/4+G), cognition improved (K-MMSE, 13→21), and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also improved (FIM 41→74; MBI 20→63). Korean medical treatment could effectively treat neurological sequelae after ingestion of herbicides in this case.

의도적 음독후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입원과 관련된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ospitalization of Patients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 노우식;김혜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10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ED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between March 2017 and December 201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Fifty-seven in the hospitalization and 236 in the discharge group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in the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group was 48.8±20.4 and 41.8±19.1, respectively (p=0.020).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0), mental status (p<0.001), request for help (p=0.046), chronic disease (p=0.036), substance ingested (p<0.001), and risk rescue-rating scale (p<0.001) between the two groups (hospitalization group and discharge group).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predicting the hospitalization of patients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the Risk-Rescue Rating Scale (RRRS) was identified (OR=1.493, 95% confidential interval=1.330-1.675, p<0.001).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analysis of RRRS for the decision to hospitalize showed a cut-off value of 38.9, with a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rea under the curve of 96.4%, 77.0%, and 0.949,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RR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hospitalization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ED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Nevertheless, multicenter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generalisability of these results.

진정수면제 음독 후 의식저하로 내원한 환자의 급성중독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decreased Mental state Patients after Overdose with Sedative-hypnotics)

  • 오승재;조수형;류소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how sedative-hypnotics affect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the patient's symptoms. In addition, we conducted a study to determine the type of patients who reacted severely and required hospitalization; patients were accordingly classified as hospitalized patients and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room. Method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we investigated the demographics, drug information, history, laboratory tests, and severity of patients who visited our emergency department and were diagnosed with benzodiazepine, zolpidem, and doxylamine succinate overdose. We further compared detail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discharged patients. Results: Subjects who had overdosed and visited the ED included 120 for benzodiazepine, 147 for zolpidem, and 27 for doxylamine succinate. Comparisons between the three groups revealed differences in their early diagnosis, psychiatric history, and sleep disturbanc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lso determined for mental state, poisoning history, treatment receiv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intubation and ventilator support. In cases of benzodiazepine overdose, we obtained a high hospitalization rate (40.0%),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24.2%), and intubation rate (18.3%). Comparisons between hospitalized patients and discharged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transferred patients, early diagnosis, and mental state. Conclusion: Patients poisoned by sedative-hypnotics are increasing every year. In cases of benzodiazepine and zolpidem, the hospitalization rates were high, and benzodiazepine overdose resulted in hospitalizati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pneumonia in a majority of cases. Therefore, active treatment and quick decisions in the emergency room are greatly required.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에 의한 백색질뇌증 환자의 임상양상과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linical Features of Chlorfenapyr-Induced Toxic Leukoencephalopathy: A Case Report)

  • 김종혁;박노혁;박지연;김선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985-989
    • /
    • 2020
  • 클로르페나피르는 널리 사용되는 살충제이며 인간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그러나 중추신경계 침범을 동반한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은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이전까지 드물게 보고된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에 의한 백질뇌병증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약 2주 전에 클로르페나피르를 음독한 71세 남자 환자가 내원 2일 전부터 시작된 양측 하지위약감과 배뇨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행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는 뇌량, 속섬유막, 뇌줄기를 포함하는 영역에 양측성의 광범위한 뇌백질의 이상을 보였고, 척수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전반적인 척수에 고신호를 동반한 종창을 보였다.

부식성 식도염에서의 조기 식도경술의 의의 (Significance of Early Esophagoscopy in Corrosive Esophagitis)

  • 임병석;봉정표;박순일;문태용;윤강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2-13
    • /
    • 1983
  • 화학 독극물의 오염 및 음독으로 인한 부식성 식도염의 처치 및 치료법은 지금까지도 논란이 심한 부분이며 아직도 뚜렷한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나 1960년대 부터 소위 “적극적 진단 방법 (VDA)”으로 집약되는 조기 식도경술 혹은 응급 식도경술의 개념이 이 질환의 진단에 도입되면서 여러 치료방법의 선택에 선행하여 식도 부식의 유무 확진 및 부식 정도를 분류하는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Kaplan(1961), Hanckel (1951), Davis(1956), Alford(1959), Daly(1968), Welsh(1978)] 조기 식도경 술의 장점은 \circled1 병변부위 및 화상 정도의 정확한 진단. \circled2 치료방법의 선택. \circled3 입원기간단축. \circled4 병의 예후판정 등을 들 수 있다. 이 질환에 관한 많은 연구자들은 실제로 조기 식도경술을 시행한 결과 약 25 %~45 %에서만 식도병변이 존재 하였을 뿐 많은 경우에서 병변이 없거나 경미한 예가 많았다는 보고들이 있어 [Waggonor (1958), Kaplan(1961), Yarington (1964), Hawkins(1980)] 이 질환의 치료방법의 선택은 조기 식도경술로 병변부위 를 확진하지 않고 치료하는 것이 얼마나 중대한 오류를 범하는지에 대한 좋은 설명이라 생각된다. 특히 식도협착의 예방을 위한 Steroid투여는 아직도 학자간에 찬반의 논란이 많고, 더욱 다량의 출혈 및 천공의 위험성의 증대가 예견되는 Steroid 치료는 적용 예가 아닌 경우에도 투여함으로서 불필요한 합병증의 위험만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들은 1980년 1월 부터 1982년 12월 까지 원주기독병원에 입원하였던 부식성 식도염 환자 41명을 식도경 검사를 실시하여 식도ㆍ병변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대한 각각의 치료를 시도함으로서 몇가지 앞으로의 치료지침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 분포는 남자 16(39 %), 여자 25 (61%)이었으며 1 : 1.5의 빈도를 보였다. 2) 연령 분포는 20대와 30대에서 남녀 모두 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부식제의 종류는 빙초산이 26명 (63.4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염산 7 (17.1 %) Lye 3 (0.7 %) 의 순이었다. 4) 음독후 12시간내에 식도경술을 받은 환자가 3명(0.7 %) 12-24시간에 받은 환자가 17명(41.5 %), 24 - 48시간에 받은 환자가 11명(26. 8%)으로 48시간 내에 시행받은 환자가 전체의 75.6%를 차지하였다. 5) 식도경 검사상 나타난 식도화상은 Grade I 11명 (26.8%) G.ade II 18(43.9%) Grade III 7명(17.1%) 이었으며 Grade II 인 경우가 18명(43.9%)로 가장 많았으며 Grade I 11명(26.8 %), Grade III 7명 (17.1 %) Normal 5명 (12.2 %) 순이었다. 6) 조기 식도경 검사에서 41명중 oral cavity burn이 없었던 경우가 15명(36. 1 %) 이었으며, oral cavity burn이 있었던 26명중 5명(19 .2 %)에서 Esophageal burn이 없었다 특히 Esophageal burn의 Grade II, III 25명 중 9명(29.6 %)에서 oral cavity burn이 없었다. 7) 식도 부식중 환자의 치료 원칙으로 Grade I, II, III에서 항생제 및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며 Grade I에선 oral feeding을 시켰고 Steroid는 경우에 따라 투여하였으며 Grade III에선 원칙적으로 사용치 않았다. 식도조영술은 Grade I II III에서 3주 후에 모두 시행하였다. 8) 3주 후 식도조영술을 실시한 결과 Steroid를 투여한 27명중 5명(18.5 %)에서 식도염이 계속 존재하는 음영을 나타냈으며 Steroid를 투여하지 않은 9명은 1명 (11.1 %) 만 식도염의 음영이 보였다. 9) 3개월후 추적검사는 Steroid 투여군에서 4명 (14 .8 %), 비투여군에서 3명(33.3 %)의 식도 협착을 보여 Steroid 비투여군에서 다소 식도 협착의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10) 평균 입원 기간은 식도경 검사에서 Normal로 나온 경우가 평균 4.2 일, Grade I은 13.8일, II는 25 6 일, III는 30.9일 이었다.

  • PDF

자살시도자와 자살 사망자의 자살 방법, 스트레스 요인 및 정신과적 진단 (Suicide Method, the Recent Stressors, Psychiatric Diagnosis of Suicide Attempters and Suicide Completers)

  • 오시현;안지혜;서지효;구혜린;김민정;장혜연;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9권1호
    • /
    • pp.15-20
    • /
    • 2022
  • 배 경: 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간 자살방법, 스트레스 요인, 정신과적 진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두 가지 후향적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여 680명의 의무기록을 수집하였고 한국생명존중재단의 심리부검과정을 통해 11,722명의 자살사망자 데이터를 제공받았다. 두 가지 자료의 자살방법, 스트레스 요인, 정신과적 진단에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 과: 자살사망자는 자살시도자에 비해 남성이 많았고 연령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방법 중 목 매달기나 농약 음독과 같은 방법이 자살사망자와 관련이 있었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둔기를 이용해 손목을 긋거나 약물을 음독하는 경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 요인이 자살사망자에게서 높았으며, 특히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가 자살사망자에게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진단의 경우 연령과 성별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자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간 차이를 규명할 수 없었다. 결 론: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사이에 자살 방법, 스트레스 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가 동반된 경우 자살 사망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